,
,
,
,
,
,
,
,
,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내몽골 자치구 영도인 | |||
{{{#!wiki style="margin: -0px -10px;" {{{#ffff00 {{{#!folding [ 주석 ] {{{#!wiki style="margin: -6px -1px;" {{{#FFF | 내몽골 자치구 인민정부 주석 | ||
초대 | |||
우란푸 | |||
내몽골 자치구 인민위원회 주석 | |||
초대 | |||
우란푸 | |||
내몽골 자치구 혁명위원회 주임 | |||
초대 | 제2대 | 제3대 | |
텅하이칭 | 유타이중 | 궁페이 | |
내몽골 자치구 인민정부 주석 | |||
초대 | 대리 | 제2대 | |
궁페이 | 뵈그 | 울제이 | |
제3대 | 제4대 | 제5대 | |
윈부룽 | 오윤치메그 | 양창 | |
제6대 | 제7대 | 제8대 | |
바타르 | 부샤오린 | 왕리샤 | }}}}}}}}}}}}}}} |
{{{#!wiki style="margin: -0px -10px;" {{{#ffff00 {{{#!folding [ 중국공산당 지방위원회 서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FFF | 초대 | 제2대 | 제3대 |
우란푸 | 제쉐궁 | 유타이중 | |
제4대 | 제5대 | 제6대 | |
저우후이 | 장슈광 | 왕췬 | |
제7대 | 제8대 | 제9대 | |
리밍주 | 추보 | 후춘화 | |
제10대 | 제11대 | 제12대 | |
왕쥔 | 리지헝 | 스타이펑 | |
제13대 | |||
쑨사오청 | }}}}}}}}}}}}}}} |
우란푸 관련 틀 | ||||||||||||||||||||||||||||||||||||||||||||||||||||||||||||||||||||||||||||||||||||||||||||||||||||||||||||||||||||||||||||||||||||||
|
| ||
중화인민공화국의 제3대 부주석 | ||
정체 | 烏蘭夫 | |
한국식 독음 | 윈쩌 | |
출생 | 1906년 12월 23일 | |
청나라 내몽골 자치구 | ||
사망 | 1988년 12월 8일 (향년 81세) | |
중화인민공화국 베이징시 | ||
국적 | 청나라 → 중화민국 → 중화민국 → 중화인민공화국 | |
학력 | 중화인민항일군사정치대학교 | |
직업 | 군인, 정치가, 관료 |
[clearfix]
1. 개요
중화인민공화국의 군인, 정치인.2. 생애
|
우란푸와 내몽골 인민회의 대표들 |
이후 그는 데므치그돈로브와 다르게 공산군을 조직해 중일전쟁에서 내몽골로 진격하는 일본군과 싸웠고, 1941년 중공의 거점인 옌안으로 가 내몽골 대표로 활동했다. 그는 1949년 중국 공산당 집권 후 네이멍구자치구 당·정·군의 실세로 자치구 주석과 당위 제1서기, 인민대표대회 주임 등을 거쳐 중앙으로 진출해 부총리, 국가부주석, 전국인민대표대회 상무위원회 부위원장 등을 역임했고, 소수민족 출신의 몇 안 되는 국가급 지도자로서 몽고왕이라는 별명도 가지게 되었다.
그러나 1966년, 문화대혁명의 광기가 온 중국을 휩쓸면서 마오쩌둥은 내몽골에 대한 중앙정부의 통제를 더욱 강화하려는 목적에서 덩샤오핑을 내몽골로 파견했다. 덩샤오핑은 내몽골 자치구 정부주석을 맡고 있던 우란푸를 소환한뒤 분열주의자, 지역주의자라고 맹비난을 퍼붓고 실각시켜버렸다. 우란푸는 저우언라이가 보호해 이름을 왕자력이란 한족풍으로 바꾸고 나서 은거해 목숨을 부지할 수 있었지만, 내몽골 인민혁명당 숙청 사건이 발생해 중국 정부에서 이미 해체된 내몽골 인민혁명당이 다시 재결성되었다고 주장하면서 수많은 몽골인들이 이 내몽골 인민혁명당 분자로 간주되어 잇달아 검거 투옥당하는 사태가 발생했다.이후 내몽골 자치구는 정부가 폐지되고 인민해방군의 군정이 시행되었으며 1970년에는 주변 각 성에 갈갈히 찢어져 분배되는 상황에 이르렀다. 몽골어로 된 출판 행위도 금지되었다. 몽골인 학살 광풍은 여기에 그치지 않고 동북삼성, 신장 위구르 자치구, 티베트, 간쑤성 등에서 몽골인들을 닥치는대로 분열주의자, 지역주의자 누명을 씌워 체포 투옥한후 온갖 고문을 가한 끝에 살해하는 일이 비일비재했다. 몽골인들은 그 과정에서 혀와 코를 베이거나, 뜨거운 물을 맞거나, 이빨을 뽑히거나 목이 매달렸다. 이런 광풍은 1976년 마오쩌둥이 죽고 나서야 겨우 진정되었고, 우판푸도 1979년 복원되었다.
3. 가족
여동생의 남편도 네이멍구 성장을 맡았다.부인이 둘이었으나 자식은 모두 첫째부인이 낳았다.
3남 1녀를 두었다.
딸은 교사였고 이후에는 복지사업을 했다. 남편은 네이멍구 부성장을 맡기도 했다.
장남은 후허하오터시 시장, 네이멍구 성장을 맡기도 했다. 장남의 딸은 베이징대 법학과를 졸업했고 할아버지와 아버지처럼 네이멍구 성장에 임명되었다.
차남은 중국과학기술대학에서 기계를 공부했다. 이후 항공우주관련 국유기업에서 근무했다.
3남은 소련에서 물리학을 공부하고 국무원에서 근무했다. 바오터우시 시장, 산서성 부성장을 맡기도 했다. 10기 전국정협위원으로도 선출되었다.
둘째부인의 친척중에도 네이멍구 성장을 맡은 사람이 있다.
4. 여담
네이멍구의 집은 문물보호단위로 지정되어서 지방정부가 관리하고 있다. 기념관도 있는데 4A급 여유경구로 지정되어 있다.실존인물인 우란푸 문서보다 우란푸의 문서가 먼저 만들어지는 바람에 한동안 우란푸 관련 틀(중화인민공화국 국무원 부총리, 중국공산당 통일전선공작부장 등)에서 우란푸를 클릭하면 중국공산당 인물이 아니라 웬 소설 속 등장인물을 보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