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9-26 23:04:10

우니온 브레시아


파일:세리에 C 스카이 와이파이 로고.svg
그룹 A / 2025-26 시즌 참가 구단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2px"
{{{#555555,#aaaaaa
파일:노바라 FC 로고.svg
파일:돌로미티 벨루네시 로고.svg
파일:AC 레나테 로고.svg
파일:칼초 레코 1912 로고.svg
파일:FC 루메차네 로고.svg
파일:우니온 브레시아 로고.svg
파일:비르투스 베로나 로고.svg
파일:LR 비첸차 로고.svg
{{{#!wiki style="display: inline; background-color: currentcolor;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2px; font-size: 0.8em"
파일:FC 아르치냐노 발키암포 로고.svg
파일:UC 알비노레페 로고.svg
파일:알초네 밀라노 로고.svg
파일:ac-ospitaletto-logo.png
파일:FC 인테르나치오날레 밀라노 로고.svg
파일:AS 자나 에르미니오 로고.svg
파일:AS 치타델라 로고.svg
파일:AC 트렌토 1921 로고.svg
파일:US 트리에스티나 칼초 1918 로고.svg
파일:US 페르골레테세 로고.svg
파일:FC 프로 베르첼리 1892 로고.svg
파일:아우로라 프로 파트리아 1919 로고.svg
세리에 C 참가 구단
그룹 A · 그룹 B · 그룹 C
파일:세리에 B 로고 화이트 가로형.svg 파일:세리에 D 로고.svg
}}}}}}}}}}}} ||
파일:우니온 브레시아 로고.svg
우니온 브레시아
Union Brescia
<colbgcolor=#0032a0><colcolor=#fff> 정식 명칭 Union Brescia S.r.l.
별칭 Biancoazzurri (하양과 파랑), Leonessa (암사자)
창단 2025년 7월 17일 ([age(2025-07-17)]주년)
소속 리그 세리에 C 그룹 A (Serie C)
연고지 롬바르디아브레시아 (Brescia)
홈구장 스타디오 마리오 리가몬티 (Stadio Mario Rigamonti)
(16,308명 수용)
라이벌 - 데르비 롬바르도
구단주 주세페 파시니 (Giuseppe Pasini)
감독 아이모 디아나 (Aimo Diana)[1]
주장 다비데 발레스트레로 (Davide Balestrero)
영구결번
10
로베르토 바조 (Roberto Baggio)
13
비토리오 메로 (Vittorio Mero)[2]
공식 웹사이트 파일:우니온 브레시아 로고.svg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1. 개요2. 역사3. 여담

1. 개요

이탈리아브레시아를 연고로 하는 축구단. 2025년 브레시아 칼초가 파산하여 해체된 이후, 페랄피살로가 연고지를 브레시아로 옮기며 재창단한 클럽이다. 페랄피살로의 라이센스를 이어받아 재창단 된 구단이기 때문에 브레시아 칼초의 공식 후신으로 인정받지 못한 정신적 후신 구단이다.[3]

구단주는 브레시아의 3년 내 세리에 B 승격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지노 코리오니가 브레시아 칼초의 구단주로 역임하던 시절에 사용했던 구단 상표[4]를 되찾겠다고 밝혔다.

2. 역사

브레시아 칼초의 해체 이후, 브레시아 시는 도시의 축구 전통을 이어가기 위해 움직였다. 브레시아 시장 로라 카스텔레티는 브레시아 지역을 연고로 하고있는 세리에 C의 FC 루메차네, AC 오스피탈레토, 페랄피살로의 구단주들을 소집했다. 페랄피살로의 구단주 주세페 파시니는 브레시아를 대표하는 프로 축구 구단을 맡을 의사가 있음을 밝혔고, 자신의 구단 본사를 브레시아로 이전하겠다고 선언한다. 7월 12일, 페랄피살로 이사회는 FIGC와 협의하여 구단의 명칭 변경과 본사를 살로에서 브레시아로 이전하는 것을 공식적으로 결의한다. 구단명, 엠블럼, 홈 유니폼은 같은 달 17일 팔라초 델라 로지아에서 공개되었으며, 이는 브레시아 칼초 창단 114주년을 기념하기 위해 상징적으로 선택된 날짜로, 구단의 전통과 스포츠 역사를 명시적으로 계승함을 나타낸다.

3. 여담


[1] 브레시아 태생의 축구감독. 브레시아 칼초 유소년 팀 출신으로, 1996년 프로 데뷔. 이후 헬라스 베로나, 파르마, 레지나, 삼프도리아, 팔레르모, 토리노, 벨린초나, 루메짜네, 트렌토 등 여러 클럽에서 활약하며 총 415경기에서 28골을 기록했다.[2] 이탈리아의 前 축구선수.1998년부터 2002년까지 브레시아에서 뛰었다. 단, 2001년에는 테르나나로 잠시 임대되었다. 2002년 1월 23일 로바토에서 자동차 사고로 사망하였다. 향년 27세[3] NOIF 제52조에 따르면, 이탈리아는 기존 구단이 파산하거나 법인이 소멸하면, 같은 도시에서 새로운 구단이 창단될 수 있다. FIGC는 이때 새 구단이 기존 구단의 채무를 승계하지 않고, 도시와 팬의 축구 전통을 유지하는 것을 전제로 아마추어 리그부터 참가를 허용하며, FIGC가 공식 후신으로 인정할 경우 기존 구단의 역사를 승계한다. 대표적인 예로 파르마 칼초 1913이 있다. 우니온 브레시아는 파르마와는 다르게 다른 연고지에 멀쩡히 있던 팀을 바탕으로 창단되었기 때문에 브레시아 칼초와 연속성이 없는 구단임으로 공식적인 후신으로 인정되진 않는다. 하지만 우니온 브레시아가 브레시아 칼초의 여러 권리들을 사들인 뒤 FIGC에 인정을 받는다면 공식 후신이 될 여지가 있다.[4]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Bresciacalcio_new.png[5] 이들은 브레시아 시에 구단의 공식 인정과 경기장 사용 등 행정적 지원을 요청했으나, 같은 도시에 이미 프로구단이 있다는 이유로 거부당했다. 이러한 상황에도 불구하고, 칼초 브레시아 1911은 FIGC에 NOIF 제52조에 따른 아마추어 리그 가입을 직접 요청 하였으나 승인을 받지 못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