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3-23 14:08:19

왕루이

파일:2018 평창 동계올림픽 로고.svg 2018 평창 동계올림픽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믹스더블 컬링 국가대표
바더신 왕루이

파일: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 로고.svg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여자 컬링 국가대표
스킵 서드 세컨드 리드 핍스
한위 왕루이 둥쯔치 장리쥔 장신디

<colbgcolor=#87ceeb><colcolor=#ffffff> 왕루이
王芮 | Wáng Ruì
파일:Wang_Rui.jpg
출생 1995년 2월 9일 ([age(1995-02-09)]세)
헤이룽장성 하얼빈시
국적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중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중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중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학력 하얼빈체육학원
종목 컬링
신체 153cm

1. 개요2. 선수 경력3. 수상 기록4. 기타

1. 개요

중국의 여자 컬링 선수이다.

2. 선수 경력

스키장 직원이었던 아버지의 영향으로 10살 때부터 스키를 비롯해 다양한 동계 스포츠를 접했고, 그러다 2009 하얼빈 동계 유니버시아드에서 컬링선수들의 활약을 본 후[1] 컬링으로 진로를 정했다.

주니어 시절에는 주로 세컨드나 서드를 맡았다. 당시 아시아태평양주니어선수권에서는 우승팀만 세계주니어선수권에 나갈 수 있었는데 한 번도 1등을 못하면서[2] 세계주니어선수권에는 출전하지 못했다.

이후 바더신과 짝을 이뤄 믹스더블에 도전, 세계믹스더블선수권에 2차례(2016, 2017) 출전해 은메달과 동메달을 획득했다.

2017년에는 왕빙위가 이끌고 있는 4인팀에 합류, 서드를 맡아 2017 삿포로 동계 아시안 게임에서 금메달을 획득했다.

앞서 믹스더블에서의 활약 때문에 중국 내에서 2018 평창 동계올림픽 믹스더블 종목 메달 기대주로 주목받았으나, 최종 4위[3]를 했다.

평창 동계올림픽 이후 오랜 기간 중국 여자 대표팀을 이끌었던 왕빙위의 은퇴로 중국 여자팀은 리빌딩 체제에 들어갔고,[4] 왕빙위는 메이지에 팀에 합류해 포스를 맡았다. 2019 세계선수권에 출전하지만 6위를 했다.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을 앞두고 중국 선수들은 자국 내에서만 훈련하며 대표팀을 선발했는데, 왕루이는 서드로 선발됐다. 올림픽 대회 진행 도중 기존 스킵 한위의 부진으로 결국 왕루이와 포지션을 맞바꿨고 최종 7위로 대회를 마쳤지만, 예선 라운드로빈 마지막 결과에 따라 중국이 4위로 진출하는 경우의 수도 있었다.

2024 범대륙컬링선수권에서 중국팀 스킵으로 오랜만에 출전해[5] 3위를 했고, 2025 하얼빈 동계 아시안 게임에서는 한국의 김은지 팀(경기도청 컬링팀)에 패해 준우승을 했으나, 2025 세계선수권에서는 동메달 결정전에서 김은지 팀을 꺾고 동메달을 획득했다.[6] 중국 여자 대표팀에게는 2011년 이후 14년만의 세계선수권 메달이었다.

3. 수상 기록

여성
세계선수권
동메달 2025 의정부 단체전
아시안 게임
금메달 2017 삿포로 단체전
은메달 2025 하얼빈 단체전
범대륙선수권
동메달 2024 라콤 단체전
아시아태평양선수권
금메달 2014 카루이자와 단체전
동메달 2015 알마티 단체전
동메달 2018 강릉 단체전
주니어 아시아태평양선수권
은메달 2014 하얼빈 단체전
은메달 2015 네이즈비 단체전
동메달 2012 전주 단체전
믹스더블
세계선수권
은메달 2016 칼스타드 단체전
동메달 2017 레스브리지 단체전

4. 기타


[1] 당시 중국 남자팀은 동메달을, 여자팀은 금메달을 획득했다.[2] 왕루이는 아시아태평양주니어선수권에 4차례 출전하는 동안 일본과 한국이 각각 2번씩 우승했다.[3] 원래는 5위였으나, 3위였던 러시아 출신 올림픽 선수팀이 도핑 적발로 실격 처리되며 순위가 올랐다.[4] 당시 장이룬, 메이지에 2팀이 주로 투어 대회에 출전했는데 정작 2019 아시아태평양선수권에는 한위가 중국팀 스킵으로 출전했다.[5] 베이징 동계올림픽 전후로 중국은 코로나 19의 유행으로 올림픽을 제외한 다른 국제대회는 출전을 포기했다. 그에 따라 2022년 범대륙선수권도 출전을 포기하면서 2023년 B디비전으로 강등됐다.[6] 공교롭게도 양팀이 각자 홈구장에서 승패를 주고 받은 셈이 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