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3-28 03:44:42

올 엘리트 레슬링/선수 목록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올 엘리트 레슬링
1. 개요2. 로스터
2.1. 비레슬러
2.1.1. 운영진2.1.2. 해설자2.1.3. 링 아나운서2.1.4. 백스테이지 인터뷰어2.1.5. 백스테이지 헬퍼2.1.6. 매니저2.1.7. 심판
2.2. 남성 레슬러
2.2.1. 현역2.2.2. 태그팀 및 스테이블
2.3. 현역
2.3.1. 여성 레슬러2.3.2. 태그팀 및 스테이블
2.4. 기타
3. 과거 소속 되었던 로스터

1. 개요

2. 로스터

2.1. 비레슬러

2.1.1. 운영진

2.1.2. 해설자

2.1.3. 링 아나운서

2.1.4. 백스테이지 인터뷰어

2.1.5. 백스테이지 헬퍼

2.1.6. 매니저

2.1.7. 심판

2.2. 남성 레슬러

2.2.1. 현역

2.2.2. 태그팀 및 스테이블

2.3. 현역

2.3.1. 여성 레슬러

2.3.2. 태그팀 및 스테이블

2.4. 기타

파일:Elite-Logo-white_600-300x225.png
케니 오메가 영 벅스

3. 과거 소속 되었던 로스터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올 엘리트 레슬링/과거 소속 되었던 로스터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올 엘리트 레슬링/과거 소속 되었던 로스터#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올 엘리트 레슬링/과거 소속 되었던 로스터#|]][[올 엘리트 레슬링/과거 소속 되었던 로스터#|]]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 잭슨빌에서 진행된 창단식에서 첫 공식 프로듀서라고 나온다.[2] WWE에서 매우 오랫동안 활동했기 때문에 한국에서도 상당히 익숙한 얼굴. 특히 몬트리올 스크류잡 사건에서 빈스 맥맨의 지시를 받고 어쩔 수 없이 경기종료 링벨을 울린 심판으로도 유명하다.[3] AEW 합류 후 사석에서 얼 헤브너와 실제로 만나기도 했는데, 사정을 설명하자 매우 좋아해 주셨다고 한다.[4] 더블 오어 나씽 2019때 경기가 끝나지 않았는데도 벨이 울리는 사고가 발생했는데, 임기응변을 발휘해 상황을 잘 수습해서 팬들에게 좋은 인상을 남긴게 좋은 예.[5] 인스타그램 팔로워 16만 이상 / 트위터 팔로워 12만 명 이상으로 어지간한 연예인들보다 높은 수준이며, AEW 공식샵에서 그녀의 티셔츠나 액션 피규어 같은 상품을 절찬리에 팔고 있을 정도다![6] 22년 태그팀 챔피언십, 트리오 챔피언십[7] 이 소년은 코디를 링 위에서 핀하는 이벤트에 초청되기도 했다.[8] 초등학생 때부터 프로레슬러 생활을 해왔다.[9] 근데 출신지는 사우스 타운으로 표기되어있다. 아마도 극한류 공수도 일가와 성이 같아서 그런 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