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계책}}}에 대한 내용은 [[연환계]]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연환계#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연환계#|]]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계책: }}}[[연환계]]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연환계#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연환계#|]]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1. 삼국지 11의 특기
連環코에이사의 게임 삼국지 11의 특기 가운데 하나.
능력연구나 무장편집을 하지 않은 이상, 기본 소유자는 방통 하나이다. 명칭 역시 적벽대전에서 선보인 연환계에서 따왔다.
1.1. 판정
적 부대에게 계략 성공시, 계략에 당한 부대에게 인접해 있는 적군 한 부대에게 다시 같은 계략을 발동하는 것.A부대에 계략을 걸고 성공하면, 대사컷이 한 번 더 뜨면서 인접한 B부대에게 같은 계략을 한 번 더 시도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아래와 같은 상황이 발생한다.
- 최초 A부대에 계략이 성공해도 B부대에 거는 계략은 실패할 수 있다.
- B부대는 A부대에 인접한 부대 중 무작위로 지정된다.
- 한 턴에 계략을 두번 걸기 때문에 기교 포인트, 지력 경험치가 두배로 오른다.
- 계략 대사 컷은 두번 뜨지만, 기력은 추가로 소모되지 않는다.
- 위보, 교란, 화계, 소화, 진정[1]에만 적용되며 동토, 복병, 요술, 낙뢰는 적용되지 않는다.
(화계는 "적부대 → 적부대"나 "불함정 → 적부대" 순으로는 연환이 발동하며, "적부대 → 불함정" 순으로는 발동하지 않음) - 같은 부대 무장의 신산, 허실, 경국 등 특기의 계략 성공률 보정에 영향을 받는다.
- 같은 부대 무장의 신산, 심모, 모계, 비책 등 특기의 계략 크리티컬 확률 보정에 영향을 받는다.
- 계략 대상 무장의 통찰 등 위보, 교란을 막아주는 특기에 영향을 받는다.
1.2. 응용
삼국지11의 계략은 계략을 걸고 받는 부대에 있는 무장의 지력과 특기로 성공확률을 계산한다. 그렇기 때문에 아군에 신산, 허실, 경국 등 계략 성공 확률을 100%로 만들거나, 그에 가깝게 만들어주는 특기가 있으면 규율, 침착, 통찰 같은 특기를 지닌 무장이 아닌 이상 안심하고 위보, 교란을 사용할 수 있다. [2]제갈량, 조조, 견씨 등으로 계략 성공률을 100%로 만들고, 마속, 순유 등의 백출로 기력 소모량을 1로 만들면, 군량 떨어지기 전까지 계속 계략만 걸고 돌아다닐 수 있다. 만일, 오나라로 플레이 한다면 백출보다는 효율이 떨어지지만, 주악도 좋은 조합이다.
본래 소유자인 방통의 지력이 높고, 주로 제갈량의 신산과 같이 사용해서 잘 느껴지지 않지만, 연환 보유자와 대상 무장간의 지력 차이 등으로 두번째 계략이 실패할 수도 있다.
능력 연구 등으로 연환을 주고싶은 경우 이 점을 고려하여 지력이 높은 무장에게 주거나, 지력 75이상의 무장을 능력연구의 한계치인 지력 95로 만들어서 활용하는 방법이 있다. 아니면, 위의 설명처럼 신산, 허실, 경국 등과 조합해서 쓰는 방법도 있다.
능력 연구에선 지력 트리의 매복 파생으로 등장 가능하며, 매복을 연구했는데도 특기가 안 뜨거나, 간파가 떴다면, 그 게임은 연환이 안 뜨는 판이다.
신산은 심모 파생으로 등장 가능하기 때문에 운이 좋으면 신산+연환 특기 부여가 가능하다. 신산과 연환은 3번씩 부여할 수 있으므로 해당 게임에서는 제갈량+방통 조합의 부대를 3부대, 오리지널 제갈량+방통을 등용했다면 4부대까지 운용하는 꿈의 플레이가 가능해진다.
2. 수학 용어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매듭이론#s-4|4]]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매듭이론#|]][[매듭이론#|]]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
호프 사슬(Hopf link, [math(2^2_1)]) | 어부 매듭(Fisherman's knot, [math(10^2_2)]) |
매듭이론에서 둘 이상의 매듭이 결합되어 분리할 수 없는 꼴을 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