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등장인물 ]
-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gcolor=#f6eddc><width=1000><-3><bgcolor=#e4c5ca><color=#211b14> ||
{{{#!wiki style="margin: -16px -11px; letter-spacing: -0.3px" <rowcolor=#211b14> [[연모/등장인물#김상궁| 김상궁]] [[연모/등장인물#홍내관|홍내관]] [[연모/등장인물#윤형설|윤형설]]
[[연모/등장인물#양문수|양문수]] [[연모/등장인물#박범두|박범두]] [[연모/등장인물#최만달|최만달]][[연모/등장인물#김씨부인| 김씨부인]] [[연모/등장인물#방질금|방질금]]
[[연모/등장인물#방영지|방영지]] [[연모/등장인물#구별감|구별감]]<rowcolor=#211b14> [[연모/등장인물#대비| 대비]] [[연모/등장인물#중전|중전]] [[연모/등장인물#원산군|원산군]]
[[연모/등장인물#창운군|창운군]] [[연모/등장인물#제현대군|제현대군]] [[연모/등장인물#빈궁|빈궁]][[연모/등장인물#신영수| 신영수]] [[연모/등장인물#노학수|노학수]] [[연모/등장인물#창천군|창천군]]}}} 그 외 등장인물 및 특별출연 등은 등장인물 문서 참고.
- [ 방영 목록 ]
- ||<tablewidth=100%><tablebgcolor=#f6eddc><width=1000>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10%" ||
방영 목록 전체 보기
- [ OST ]
- ||<tablewidth=100%><tablebgcolor=#675641><tablecolor=#cdaf87><width=25%> ||<width=25%> ||<width=25%> ||<width=25%> ||
[[연모/음악#s-2.1| Part 1
그림자 사랑]]
[[SUPER JUNIOR-K.R.Y.|{{{#!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5px 0px; color: #cdaf87"
2021. 10. 12.[[연모/음악#s-2.2| Part 2
알아요]]
린
2021. 10. 19.[[연모/음악#s-2.3| Part 3
IF I]]
백지영
2021. 10. 26.[[연모/음악#s-2.4| Part 4
I Believe]]
안다은
2021. 11. 02.[[연모/음악#s-2.5| Part 5
숨바꼭질]]
VROMANCE
2021. 11. 09.[[연모/음악#s-2.6| Part 6
티가 나]]
해윤 (체리블렛)
VROMANCE
2021. 11. 16.[[연모/음악#s-2.7| Part 7
안녕]]
로운
2021. 11. 23.[[연모/음악#합본| Full Track
연모 OST]]
Various Artists
2021. 11. 30.그 외 삽입곡 및 오리지널 스코어는 음악 문서 참고.
1. 개요
KBS 월화 드라마 《연모》와 그의 원작인 이소영의 만화 《연모》의 차이점을 서술한 문서.2. 원작 정보
역사 어디에도 남아있지 않은 숨겨진 여성 왕 휘와 그녀를 사랑한 남자 미수의 궁중 비화 로맨스 |
- 2011년~2014년에 이소영 작가가 잡지 이슈에서 연재한 순정만화가 원작이다. 예종 후기~성종 초기가 시대적 배경이다. 가상의 인물인 남장왕을 주인공으로 한 창작물이지만 주변에는 실존 인물들이 꽤 등장하고, 성종 초기인 수렴청정 시기에 기록된 실제 역사의 일화를 꽤 많이 반영하고 있다.
3. 주요 인물
3.1. 이휘
- 원작 여자주인공은 역사에 기록되지 않은 예종의 딸[1]이다. 과거 세자의 정비인 세자빈이 원손과 쌍둥이 여아를 낳는다. 왕실의 쌍생은 불길의 징조로 취급되었기 때문에 쌍둥이의 아버지인 세자가 남아는 살리고 여아는 죽이라고 명령하지만, 차마 자식을 죽이지 못한 세자빈은 갓난아기인 딸을 아무도 모르게 어느 절에 맡겨 살린 뒤 이 사실을 은폐한다. 그러나 3년 후 원손이 어린 나이에 죽게되자 딸을 잊지못한 세자빈은 원손의 여동생을 죽은 원손으로 위장시켜 키우다가 그해에 사망한다.
- 드라마의 이휘는 이름은 원작과 동일하지만, 10대 시절에 세손이 되는 것으로 각색되었다. 원작의 캐릭터는 유약하고 미령한 왕이었지만 드라마는 문무를 겸비한 포커페이스로 성격 또한 많이 바뀌었다.
3.2. 정지운
- 원작의 남자주인공은 경혜공주와 정종의 아들 정미수이다. 이휘의 친할아버지가 세조고 정미수의 외할아버지가 세조의 형인 문종이므로, 이휘와 정미수는 6촌 사이이다. 역적의 아들은 죽임을 당해야 했기 때문에, 여장을 하고 궁에서 이름 없이 '별궁 애기씨'로 자라다가 이휘를 처음 만나게 되고 '연선'이라는 이름을 선물받는다. 그러다 궁을 떠나고 몇년 뒤 성장해서 돌아와 이휘를 호위하는 호위무사가 되었다가, 이휘가 신원을 복원해주며 형조정랑에 봉한다.
- 드라마에서는 '정지운'이라는 이름의 가상의 인물로 각색되었다. 직책 또한 호위무사가 아닌, 일찍이 과거에 급제한 세자시강원 서연관으로 각색되었다. 따라서 원작과 거의 무관한 오리지널 캐릭터이다.
- 다만, 남주인공이 여주인공에게 '연선'이라는 이름을 줬다는 설정은 유지되었다.[2]
3.3. 이현
- 원작의 서브 주인공인 자을산군(이혈)과 그의 형인 월산군, 이휘의 숙부 창원군은 실존인물을 모티브로 한 캐릭터이다. 드라마에서는 가상의 인물 자은군(이현), 원산군, 창운군으로 각색되었다.
- 원작의 이혈은 이휘를 지키기 위해, 자신의 의지로 왕이 된다. 드라마의 이현은 왕이 되는 과정이 직접 나오지는 않았지만, 원산군과 제현대군 등 왕위 계승 자격이 있는 인물들이 모두 사망하고 대비의 지명으로 왕이 된 듯하다.
3.4. 김가온
- 이휘의 호위무사 김가온은 원작에는 등장하지 않는 캐릭터이다. 원작에서는 남자주인공 정미수가 이휘의 호위무사이다. 그래서인지, 원작 남주인공 캐릭터의 로맨스 요소를 제외한 설정들이 비슷하다. 아버지가 역적으로 몰려 억울한 죽음을 당하였다는 설정 등.
3.5. 신소은
- 원작에서는 남자주인공 정미수와 혼담이 오가는 상대가 직접적으로 등장하지 않는다.
- 드라마에서는 '신소은'이라는 주요 인물로 등장한다. 원작에서는 이휘와 정미수의 관계를 눈치챈 이혈이 정미수의 혼사를 추진하지만, 드라마에서는 정지운의 아버지 정석조가 추진한다.
- 또한, 원작에서 창원군에게 살해당한 여종 '고읍지'가 소은의 여종 잔이로 각색되어 등장하였다.
3.6. 노하경
- 원작에서는 이휘가 왕으로 즉위한 이후에 국혼을 치르기 때문에 바로 중전이 간택되고, 지아비인 이휘가 남장여자인걸 모른 채 사랑해서 독수공방한다. 중전은 노사신의 손녀라는 점 외에 이름은 따로 언급되지 않는다. 원작에서는 이휘의 기록을 지우는 과정에서 궁인들과 함께 살해당한다.
- 드라마의 노하경은 한기재 측 대신인 병조판서의 막내딸로 세자빈 초간택 장면이 나온 후 장면을 건너뛰어 14회에서 중전이 되어 등장한다. 성을 노씨로 설정한 것을 보면 원작의 설정을 어느 정도 참고한 듯 하다. 이휘가 남장여자인 것을 모른 채 외사랑을 하는 캐릭터라는 점은 원작과 동일하다. 한기재의 사병을 키우는 데 일조했다는 아버지 노학수의 역모로 폐서인의 위기에 처하지만, 이휘가 자신이 여인임을 밝히고 사과하며 중전이었던 기록을 지우고 출궁해서 살 수 있도록 해준다.
3.7. 혜종
- 이휘의 아버지 예종은 실제로 20살에 사망하였고, 원작에서도 휘를 남기고 요절한다.
- 드라마에서는 '혜종'이라는 가상의 왕으로 설정되었고 이 배역을 맡은 이필모는 40대 후반으로 나이 설정이 달라졌다.
4. 그 외 인물
- 원작은 실제 역사를 기반으로 한 픽션이기 때문에 한명회, 창원군 등의 악역이 사망하지 않고 역사대로 끝까지 생존한다. 월산군은 왕위를 노리기는 하지만, 마지막 순간에 남자주인공 정미수가 여자주인공 이휘에게 갈 수 있도록 도와준다. 드라마의 한기재, 창운군, 원산군은 권선징악의 결말로 사망했다.
5. 주요 서사
- 여자주인공과 남자주인공의 첫 만남부터 각색되었다. 원작에서는 이휘가 3살에 병사한 쌍둥이 오라비를 대신해 남장 세손이 된 후 궁에서 여장을 한 정미수를 처음 만나지만, 드라마에서는 10대까지 여자로 자라다가 궁녀가 된 뒤 정지운을 처음 만나게 되고, 어떤 사건으로 오라비 세손이 살해되면서 그 자리를 대신하게 되고 그로 인해 정지운과 이별하게 된다.
- 연선(蓮膳)이라는 이름은 원작에서는 여자주인공 이휘가 이름을 감춘 남자주인공 정미수에게 선물했다가, 훗날 정미수가 이휘에게 돌려주는 이름이지만, 드라마에서는 처음부터 남자주인공 정지운이 여자주인공 이휘에게 선물하는 것으로 각색되었다.
- 원작에서는 이휘가 왕위계승을 한 뒤 성인이 된 정미수와 재회하지만, 드라마에서는 세자시강원 스승으로 정지운과 재회한다. 그로 인해 세자 시절의 비중이 커졌다.
6. 결말
- 원작은 여주인공 이휘가 죽은 것으로 알려져 연선으로 숨어서 살아가는 결말이다. 그러나, 드라마에서는 정지운이 대비에게 병사로 처리되었던 담이의 신원을 살려달라 청하여 이휘는 세손이 되기 전 원래 자기 자신의 신원으로 살아가게 된다는 결말이다.
7. 모티브
원작 만화는 모티브가 된 실존 인물들의 이름을 그대로 사용하였지만, 드라마에서는 창작 서사의 비중이 커지면서 이름이 바뀌고 가상의 인물로 각색되었다. 아래는 모티브가 된 인물들과 관련된 문서이다. 그러나 모두 가상의 인물로 각색된 만큼 실제 역사와 다르게 전개되었고 결말 또한 달랐다. 또한 원작에 등장하지 않는 오리지널 캐릭터들은 정확한 실존 인물 모티브를 알 수 없다.7.1. 원작과 드라마에 등장하는 인물
- 인성대군: 이휘의 쌍둥이 오라버니의 모티브가 된 인물. 어느 날 갑작스럽게 요절하고, 여자주인공 이휘가 남장을 하며 이 인물의 인생을 대신 살아가게 된다.
- 이혈(자을산군): 이현(자은군)의 모티브가 된 인물.
- 한명회: 이휘의 외조부인 한기재의 모티브가 된 인물.
- 예종: 이휘의 부친인 혜종의 모티브가 된 인물.
- 정희왕후: 이휘의 조모인 대비의 모티브가 된 인물.
- 장순왕후: 이휘의 친모인 빈궁의 모티브가 된 인물.
- 월산군: 이휘의 사촌이자 이현의 형인 원산군의 모티브가 된 인물.
- 창원군: 이휘의 숙부인 창운군의 모티브가 된 인물.
- 제안대군: 이휘의 이복동생인 제현대군의 모티브가 된 인물.
7.2. 원작에는 등장하나 드라마에는 등장하지 않는 인물
- 정미수: 원작 만화의 남자주인공. 드라마의 정지운은 실존 인물과 관계없는 가상의 인물로 각색되었다.
- 노사신: 원작에서 직접 등장하지는 않지만 노하경의 조부로 언급된다. 드라마에서는 조부가 아닌 부친 노학수가 등장한다.
7.3. 원작에는 등장하지 않지만 혈연관계로 모티브를 추측할 수 있는 인물
[1] 쌍둥이 오빠 '이휘' 또한 가상의 인물이다. 모티브가 된 인물은 인성대군으로 추정된다.[2] 원작에서는 어린 시절 여주인공이 남주인공에게 지어 줬다가, 이후 결말에서 그 이름을 돌려받는다는 설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