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7-20 13:28:34

에밀리아노 사파타

에밀리아노 사파타
Emiliano Zapata
파일:attachment/에밀리아노 사파타/에밀리아노.jpg
출생명 에밀리아노 사파타 살라사르
Emiliano Zapata Salazar
출생 1879년 8월 8일
멕시코 모렐로스 주 아네네쿠일코
사망 1919년 4월 10일 (향년 39세)
멕시코 모렐로스 주 치나메카
직업 혁명가

1. 개요2. 생애
2.1. 출생 및 1차 혁명 전후2.2. 2차 혁명 및 카란사와의 대립2.3. 암살2.4. 사후
3. 여담4. 참고자료

[clearfix]

1. 개요

멕시코의 혁명가. 판초 비야와 함께 멕시코 혁명의 상징적 인물이다.

2. 생애

2.1. 출생 및 1차 혁명 전후

1879년 8월 멕시코의 모렐로스 주에서 태어났다. 그의 집안은 원래 소규모 지주였지만 대농장주들에 의해 대대손손 물려받은 토지를 모조리 빼앗겼다. 1910년에 멕시코 혁명이 일어나자 그 역시 무장 게릴라를 일으켜 모렐로스에서 기의했다. 당시 그의 군대가 내걸은 슬로건은 '토지와 자유'였다.

그는 대농장주들의 막대한 토지 점유에 혐오하는 입장이었고 따라서 그는 대농장주들을 모두 다 죽여야 한다고 믿었다. 1911년 5월 13일 쿠아우트라 대전투에서 그의 군대는 멕시코 정규군을 격파해 멕시코 시티로 입성했고 그는 판초 비야와 함께 가장 유명한 혁명 지도자가 되었다. 디아스와 우에르타를 지지하던 지주들은 그를 남쪽의 아틸라(El Atila del Sur)로 부르며 증오했지만 농민들은 사파타를 영웅으로 추앙했다.

마데로 취임 직후, 사파타는 아얄라 계획을 발표하여 디아스 정권 때 농민들이 부당하게 빼앗진 토지와 재산 반환을 주장했다.

2.2. 2차 혁명 및 카란사와의 대립

당시 멕시코의 정세는 프란시스코 마데로 대통령이 이도 저도 아닌 정책으로 인해 대중의 지지를 크게 잃었고 그 틈을 타 군사령관 빅토리아노 우에르타가 반란을 일으켜 마데로를 죽이고 자기가 지도자가 되었다. 그러나 멕시코인들은 그를 멕시코 헌법을 위반하고 불법적으로 대통령직을 빼앗은 자로 여겼고 이에 따라 사파타를 포함해 판초 비야, 베누스티아노 카란사, 알바로 오브레곤 같은 혁명 지도자들은 우에르타에 반대했고 결국 그는 사퇴하고 멕시코를 떠났다.[1]

1914년 12월 4일, 사파타는 아과스칼리엔테스에서 비야를 만나 회담을 가졌고, 그들은 비야를 총사령관으로 하여 멕시코시티로 진격하는 데 합의하고 12월 6일에 카란사와 오브레곤을 내쫓고 멕시코시티 입성에 성공했다. 카란사를 대신할 대통령으로는 에울랄리오 구티에레스를 추대했다.

그러나 그들은 생각의 차이와 불신 때문에 끝내 연합하지 못했다. 거기다 비야의 정치력 부재도 한 몫 했다. 명색이 연합군 총사령관이란 사람이 승리에 취해 카란사의 숨통을 끊을 생각을 안해 반격의 기회를 주었고[2], 사소한 죄를 가지고 사람을 사형시키는 공포정치를 펴 구티에레스와의 사이도 틀어졌으며[3], 비야와 사파타를 따라왔던 혁명 지도자들이 대부분 오브레곤과 카란사 쪽으로 가게 되었고 이는 전력의 약화를 불러왔다.
파일:attachment/에밀리아노 사파타/Example.jpg
멕시코시티 입성 후 찍은 기념사진. 사파타는 비야 왼쪽에 앉아 큰 모자를 잡았다.[4]

오브레곤과 카란사가 다시 반격을 개시하자 비야는 오브레곤과 치열하게 싸웠으나 끝내 셀라야 전투에서 패배하고[5] 카란사를 공식 대통령으로 승인한 미국을 공격했지만 오히려 역관광당해 대참패를 하고 대부분의 병력을 잃는다.[6]

2.3. 암살

한편 미군이 멕시코에서 철수한 후 사파타는 남부에서 다시 군대를 양성해 게릴라전을 시작했다. 주로 철도, 다리, 공장 등 기반시설을 박살내는 전략이었는데 그는 이런 전략으로 카란사를 괴롭혔고 이에 맞서 카란사는 사파타를 지원하는 마을을 전멸시켜 지원을 받기 어렵게 했고 그의 목에 상금을 걸었다.

사파타는 당시 정부군 포병대 대령 구아자르도에게 탈영을 설득했는데 그의 상관인 파블로 곤살레스 가르사는 이것을 눈치채고 구아자르도에게 총살당할 건지 사파타 제거에 협력할 건지를 선택하게 했고 구아자르도는 후자를 선택했다. 구아자르도는 사파타에게 탈영하겠다고 말한 뒤 사파타를 만나게 되었고 사파타를 위한 경호대를 세워주었다. 그러나 이 경호대는 사전에 준비한 암살자들로 나팔소리를 신호로 일제히 사파타에게 총을 발사했고 1919년 4월 10일, 그는 그렇게 생을 마감했다.

2.4. 사후

하지만 판초 비야의 경우도 그렇고, 사파타 또한 그 세력은 건재한 상태로 우두머리만 암살당한 상태라 사파타의 죽음이 카란사 정권의 승리로 직결되는 건 아니었다. 당장 사파타 암살 당시만 해도 그 권력 기반인 모렐로 주만 하더라도 사파타 세력의 통제 하에 있었기 때문이다. 사파타 암살 당시 사파타 본인과 판초 비야를 상대로 카란사 제헌정부군을 이끌어 승리했던 알바로 오브레곤이 되려 카란사 정권과 척을 지게 되면서 사파타의 뒤를 이어 남부 반군을 이끌게 된 힐다르도 마가냐(Gildardo Magaña)와 헤노베보 데 라 오 (Genovevo de la O)는 그 세력을 고스란히 가지고 오브레곤과 동맹을 맺어 결국 1920년 오브레곤의 성공적인 쿠데타의 주축이 되었다.

오브레곤은 딱히 좌파나 우파에 속한 인물이 아니었으나 몰락 지주 가문 출신으로서 농민들의 비참한 현실과 토지문제에 대한 필요성은 상당히 깊게 인식하고 있었고, 이렇게 오브레곤 정권 성립과 이후 세속화 정책에 반대하여 들고 일어난 크리스테로 가톨릭 반란군 진압에[7] 사파타 세력이 큰 축을 차지하며 이웃한 미국과 달리 멕시코에서는 좌파의 정치적 지분이 상당히 커졌다. 디에고 리베라를 비롯한 사회주의 리얼리스트 계열 예술의 부상과 러시아 혁명 이후 정권 다툼에서 쫒겨난 레프 트로츠키의 망명 수용, 그리고 훗날 스페인 내전 때 공화파에 대한 지원 같은 전간기 멕시코 정부의 좌파적 행보는 이때 성장한 지분에 기반을 두고 있었으며, 본인은 마르크스주의를 비롯한 체계화된 이데올로기와는 거리가 멀었지만 이런 멕시코의 활발한 농민, 노동자 운동에 있어 사파타라는 역사적 기억은 하나의 크나큰 구심점이 되었다.

3. 여담

4. 참고자료


[1] 혁명군을 피해 도망친 우에르타는 미국으로 망명하였으나 멕시코 정부와 미국은 혼란을 원치 않았기에 그를 감금했고, 그는 1916년 1월 13일 텍사스엘패소에서 죽었다.[2] 당시 아과스칼리엔테스 군의 주력은 비야였으나, 후방에 남은 카란사군 세력을 소탕하느라 부대가 분산되었고 사파타군은 모렐로스 밖에선 전투력이 약했기 때문에 오브레곤은 병력을 모을 시간을 벌 수 있었다.[3] 구티에레스는 셀라야 전투로 전세가 카란사에게 기울자 미국으로 망명했다.[4] 멕시코 혁명에서 가장 유명한 사진 중 하나로, 두 혁명가의 표정이 다르며 관련 일화가 있는데, 멕시코 시티에 입성한 뒤 비야는 사진에 나온 자리에 앉아 본 후 사파타에게 앉아보라고 권했다. 하지만 사파타는 "나는 이 자리를 원한 게 아니라 토지를 얻기 위해 싸웠다. 우리는 모든 야심을 없애기 위해 그 의자를 불태워 버려야 한다"고 말했다고 한다.[5] 이 전투의 패배는 비야가 평원에서 자신의 장기인 기병대 돌격을 펼쳤지만, 오브레곤이 이를 대비해 참호를 파고 철조망을 깐 뒤 기병대의 돌격을 저지했고 기관총으로 단단히 무장했던 것이 이유였다. 이 전술에 비야군은 기병대가 패하였고 그 틈을 타 오브레곤은 대기해 놓은 기병과 보병으로 공격하여 대승을 거둔다.[6] 판초 비야도 미국을 도발했다가 분노한 미군에게 공격당하여 군대가 전멸당하고 미군이 철수할때까지 도망자 신세였다.[7] 이 와중 오브레곤 본인도 크리스테로 반란군에게 암살 당하나 정권의 기반과 권력 구조는 그 후임 플루타르코 엘리아스 카예스에게 계승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