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18 12:53:58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 의 일반 마법 카드.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일반=, 한글판명칭=야성 해방, 일어판명칭=<ruby>野性<rp>(</rp><rt>やせい</rt><rp>)</rp></ruby><ruby>解放<rp>(</rp><rt>かいほう</rt><rp>)</rp></ruby>, 영어판명칭=Wild Nature's Release, 효과1=①: 필드의 야수족 / 야수전사족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야수족 / 야수전사족 몬스터의 공격력은\, 턴 종료시까지 그 수비력만큼 올린다. 그 몬스터는 이 턴의 엔드 페이즈에 파괴된다.)]야수족 , 야수전사족 몬스터 1장의 공격력을 강화하고, 엔드 페이즈에 파괴하는 효과를 가진 일반 마법 카드로, 파괴 효과는 체인 블록을 생성하지 않는다.리미터 해제 와 유사해보이지만, 상승 수치가 수비력 만큼으로 고정되어 있는데다 몬스터 1장만 강화가 가능하기에 폭발력은 크게 뒤쳐진다. 일반 마법이라 배틀 페이즈에 발동할 수 있는 것도 아니므로, 발동 후 공격을 막거나 제거당해서 카드만 날리는 신세가 되기 십상이다. 자괴 효과는 엔드 페이즈에 적용하므로, 그 전에 각종 소재로 쓰거나 캐틀 뮤틸레이션 등의 효과로 맞바꾸면 이를 피해갈 수 있다. 아니면 오히려 이를 트리거 삼아 숲의 파수꾼 그린 바분 의 특수 소환으로 연계하는 것도 가능. 그래도 공격력 / 수비력 모두 우수한 몬스터에게 써서 그대로 피니셔로 써먹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효력을 발휘할 만한 야수족 / 야수전사족 몬스터로는 전황의 맹-조덕 , 열혈수왕 베어맨 , 지령신 그란소일 , 스핑크스 안드로주네스 , 마스터 오브 OZ 등이 꼽힌다. 대처당했을 때의 리스크가 있기는 해도 결속 UNITY , D2실드 , 단결의 힘 , 마도사의 힘 등을 중첩했을 경우 폭발력은 더욱 높아진다. 강화 후 No.64 늙은 너구리 삼태부 의 효과를 쓰면 강화한 몬스터의 공격력을 카피한 그림자 무사 너구리 토큰을 꺼낼 수 있다. 한때는 야수족 덱과 야수전사족 덱을 상징하는 카드 중 하나였으나, 현 시점에서는 종족 불문하고 강화가 가능한데다 자괴 디메리트도 없는 일기가세 , 컨센트레이트 등을 쓰는 편이 더 나은 실정이다. 우위성이나 독자성이 없는 건 아니지만, 디메리트와 범용성의 차를 메우기에는 영 마땅치 않은 상황. 특히 야수 덱은 수비력이 없는 링크 몬스터가 에이스인 트라이브리게이드 를 넣는 경우도 많아 유사 카드들에게 밀리는 신세가 이어지고 있다. 원래 능력치 상태에서 이 카드를 꺼낼 경우 최고 타점을 얻는 케이스는 공격력과 수비력이 모두 4000이라 8000 타점을 찍는 극성사랑 펜리르 가 있다. 그 다음은 합계 7900이 되는 마스터 오브 OZ 이다. 발동할 때마다 수비력의 수치를 공격력에 더하는 것이므로 여러 장 중복해서 발동해서 공격력을 계속 올리고 디메리트를 상쇄할 수 있다. 무제한이니 실제로 덱에 여러 장 넣어놓고 단숨에 중복 발동해 피니시를 낼 수도 있다. 이걸로 지박신 Cusillu 의 공격력을 올려서 직접 공격한 다음, 캐틀 뮤틸레이션 으로 회수하고 다시 특수 소환해서 다시 공격하면 원턴킬 이 성립된다.(2800+2400+2800=8000) 캐틀 뮤틸레이션이 함정이라 문제지. 그래선지 태그 포스에서는 디마크 도 사용해서 쿠시르의 공격력을 올리는 짓거리를 종종 하기도 한다. 상호 호환 카드로 소울 퓨전 에 수록된 컨센트레이트 가 있는데, 종족 제한과 자괴 디메리트가 없는 대신 자신의 턴에 발동하는 경우 해당 카드의 효과를 받은 몬스터만 공격할 수 있고 턴이 종료되면 공격력이 원래대로 돌아간다.유희왕 듀얼몬스터즈 GX 에서는 SAL이 유우키 쥬다이 와의 듀얼 중 사용하는 것으로 처음 등장. DNA 개조 수술 의 효과로 야수족이 된 애크러뱃 멍키 를 대상으로 발동하여 공격력을 강화시키고 엘리멘틀 히어로 프레임 윙맨 을 격파하는 데에 기여했다. 이후 마에다 하야토 가 크로노스 데 메디치 와의 듀얼 중 사용. 빅 코알라 를 강화시켜 앤틱 기어 골렘 을 격파한 뒤, 캐틀 뮤틸레이션 의 효과로 빅 코알라를 회수하고 다시 꺼내는 콤보로 디메리트를 피해갔다.에드 피닉스 가 유우키 쥬다이 와의 1차전 듀얼 중 패에 들고 있는 카드로도 확인되었지만, 당시 그는 팩을 뜯어서 나온 카드로 대충 짠 덱을 사용하고 있었기에 쓰이는 일은 없었다.유희왕 VRAINS 에서는 론리 브레이브 가 하노이의 기사 단원과의 듀얼 중 덱에 투입한 카드로 확인된다. 하노이의 기사가 발동한 패 좌절 의 효과로 뽑혔으나, 가뜩이나 최상급 몬스터만 잔뜩 잡힌 말림패였기에 아무런 도움도 되지 못했다. 일러스트는 분노 유인원 이 포효하고 있는 모습.3. 수록 팩 일람 수록 시리즈 2003-04-24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306-033 | 混沌を制す者 2005-03-17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EE2-JP033 | EXPERT EDITION Volume 2 2012-12-08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SD24-JP026 | ストラクチャーデッキ - 炎王の急襲 - 2004-03-01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IOC-033 | INVASION OF CHAOS 2005-10-20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DR2-EN033 | DARK REVELATION Volume 2 2007-05-15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CP03-EN017 | CHAMPION PACK GAME THREE 2013-02-08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SDOK-EN026 | ONSLAUGHT OF THE FIRE KINGS STRUCTURE DECK 2020-11-26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SBCB-EN054 | Speed Duel: Battle City Box 2023-04-21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IOC-EN033 | INVASION OF CHAOS (LC01 25th Anniversary Edition) 2005-06-28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IOC-KR033 | 혼돈의 지배 2006-11-17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HGP2-KR033 | 하이 그레이드 팩 Vol.2 2013-03-05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SD24-KR026 | 스트럭처 덱 - 염왕의 급습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