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6-25 21:55:12
유희왕 의 상급 효과 몬스터 카드. 한글판 명칭 악령을 조종하는 퍼펫 마스터 일어판 명칭 [ruby(死霊操, ruby=しりょうあやつ)]りしパペットマスター 영어판 명칭 Puppet Master, Controller of the Dead (원작)Puppet Master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 효과 몬스터 레벨 속성 종족 공격력 수비력 6 어둠 악마족 0 0 퍼펫 마스터가 필드에 소환된 순간, 플레이어는 1000 포인트의 라이프를 잃는 대신 카드 무덤에서 악령 몬스터 세마리를 필드에 소환한다.
원작 배틀 시티 본선 편 에서 어둠의 바쿠라 가 어둠의 마리크 와의 듀얼 중 사용. 1000 LP를 지불하고 몬스터 3장을 부활시키는 매우 강력한 효과를 자랑했다. 이 효과로 최후라면 함께 의 효과로 묘지로 보냈던 다크 네크로피어 , 목없는 기사 , 게르니아 를 되살렸으나, 바로 1턴 후, 어둠의 마리크가 운좋게 데스티니 드로우 한 죽은 자의 소생 으로 라의 익신룡 을 특수 소환하고 2번째 효과로 공격력을 3999로 만들어 원턴킬 시키는 바람에 의미는 없었다.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배틀 시티 본선 편 96화에서도 원작과 같은 성능으로 같은 듀얼에 등장했으며, 효과로 목없는 기사 , 사령 백작 , 고블린 좀비 를 되살리고 라의 익신룡 의 소환을 위한 제물로 사용했다. 그러나 어둠의 마리크가 발동한 환희의 단말마 의 효과로 제물들의 공격력이 0이 되었기에 당연히 라도 공격력 0 상태로 소환, 반대로 어둠의 마리크의 LP는 2000+1450+1100, 곧 4550 올라가버렸다. 이후 다음 턴에 마리크의 드릴라고 의 공격으로 파괴되었다. 한글판 명칭 악령을 조종하는 퍼핏마스터 (비공식 번역명) 일어판 명칭 [ruby(死霊操, ruby=しりょうあやつ)]りしパペットマスター 영어판 명칭 Puppet Master 효과 몬스터 레벨 소환마족 종족 공격력 수비력 6 악마마족 악마족 0 0 자신 묘지에 게르니아 가 있을 때 LP 1000 사용해서, 사령을 3장 꺼내는 효과.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8 파멸의 대사신 에서 등장. 묘지에 게르니아 가 있을 때 다크 네크로피어 , 목없는 기사 , 게르니아 를 특수 소환하는 효과를 가졌다. 효과 발동 후 이 시리즈에만 존재하는 '버리기' 시스템을 이용해서 묘지로 보내버리면 0밖에 안되는 공격력이 노출될 우려도 없다.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 명칭=악령을 조종하는 퍼핏마스터, 일어판 명칭=<ruby>死霊<rp>(</rp><rt>しりょう</rt><rp>)</rp>操<rp>(</rp><rt>あやつ</rt><rp>)</rp></ruby>りしパペットマスター, 영어판 명칭=Puppet Master, 레벨=6, 속성=어둠, 종족=악마족, 공격력=0, 수비력=0, 효과1=①: 이 카드를 어드밴스 소환했을 때\, 2000 LP를 지불하고\, 자신 묘지의 악마족 몬스터 2장을 대상으로 하여 발동할 수 있다. 그 악마족 몬스터를 특수 소환한다. 이 효과로 특수 소환한 몬스터는 이 턴에 공격할 수 없다.)]어드밴스 소환 시 묘지의 악마족 몬스터를 2장 소생시키는 기동 효과 를 가진 상급 효과 몬스터. 악마족 몬스터 2장을 완전 소생시킬 수 있으며, 소생 제한만 충족시켰다면 가면마수 데스 가디우스 같은 특수 소환 몬스터도 부를 수 있다. 이 카드 자신의 능력치가 낮으므로 크리터 , 악몽 재발 등으로 서치 및 샐비지도 가능하다. 그러나 어드밴스 소환 성공시라는 발동 조건에 무거운 LP 코스트, 낮은 능력치 등 단점이나 리스크도 만만치 않으며, 특히 효과가 무효화되기라도 했다간 소환권과 LP만 날린 채 공격력 0짜리를 공격 표시로 세우는 꼴이 되어버린다. 따라서 몬스터 효과 무효화 효과의 대책이 필요하다. 되살린 몬스터는 공격 말고는 아무런 제한이 걸리지 않아 각종 소재로 활용이 가능하다. 랭크 6의 필그림리퍼 는 묘지 자원을 늘려주므로 이 카드의 소생 대상을 준비하기 좋고, 이 카드 자체가 랭크 6의 엑시즈 소재로 연계하기 쉬운 효과라서 서로 궁합이 좋다고 할 수 있다. 다른 엑시즈 소재라면 이 카드 혹은 어드밴스 소환 서포트를 공유할 수 있는 사 제왕 가이우스 정도가 적임일 것이다. 싱크로 소재로서 보자면 악마족에는 레조네이터 나 마굉신 등의 튜너가 자리잡고 있으며, 특히 높은 공격력의 몬스터와 함께 레드 레조네이터 를 되살리면 회복 효과로 LP 코스트도 보충할 수 있다. 변칙적으로는 이블 히어로 덱에서 이블 히어로 마리셔스 데블 의 융합 소재로 투입해보는 방법도 있다. 이블 히어로 마리셔스 에지 를 되살려서 손쉽게 다크 퓨전 을 통한 융합 소환이 가능해진다. 이 때 이블 히어로 헬 게이너 를 같이 살려주면 마리셔스 데블의 전투 서포트도 가능하다. 릴리스 요원으로는 자체 특수 소환이 가능한 이블 히어로 헬 블러드 정도가 있다. 특수 소환시 악마족 몬스터 3장을 요구하는 환마황제 라비엘 과도 궁합이 좋은 편. 특히 암흑의 초래신 은 이 카드의 어드밴스 소환을 서포트해주며, 릴리스된 초래신도 소생 대상이 되어주니 더더욱 궁합이 좋다. 이 덕분인지 스트럭쳐 덱 혼돈의 삼환마 에서 재록되었다. 또한 악몽 재발 을 공유할 수 있는 진마수 가젯트 는 소생시킨 몬스터의 공격력을 활용할 수 있으며, 효과가 무효화되었다면 대응하는 덱 파괴 바이러스 코스트로 쓰거나, 영왕 듀크셰이드 의 릴리스로 소비하고 이 카드를 회수하는 방법도 있다. 이처럼 약점도 상당하지만, 그에 걸맞게 효과가 통하면 큰 어드밴티지를 취할 수 있다는 점에서 상급자용 카드라 할 수 있다. 채용한다면 디메리트 대처 및 되살릴 몬스터를 고려하면서 전개 루트를 구축해보도록 하자.어드밴스 소환 시 LP 코스트를 지불하고 효과를 발동하는 수비력 0의 악마족 / 어둠 속성 몬스터라는 요소는 인벨즈 와 겹친다. 이 때문인지 듀얼 터미널 -인벨즈의 침략!!- 에서 이 카드가 재록되었다. 일본판 직역 명칭은 '사령을 조종하는 퍼핏마스터'였으나, 유희왕 온라인 에서부터 현재 번역이 적용되었으며, 이후 듀얼리스트의 영광 에서 처음 발매된 공식 한글판에서도 '사령'이 '악령'으로 번역되었다. 수록 시리즈 2002-08-04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GB7-B02 | Vジャンプブックス 遊戯王デュエルモンスターズ7 決闘都市伝説 下巻 付録カード 2010-08-03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DT10-JP004 | デュエルターミナル 「インヴェルズの侵略!!」 2015-01-10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15AX-JPY13 | 15周年記念商品 決闘者の栄光 - 記憶の断片 - side:闇遊戯 2020-03-20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SD38-JP015 | ストラクチャーデッキ - 混沌の三幻魔 - 2008-11-18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CSOC-EN090 | CROSSROADS OF CHAOS 2011-09-29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DT05-EN054 | DUEL TERMINAL 5B 2012-10-02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LCYW-EN122 | LEGENDARY COLLECTION 3 YUGI'S WORLD MEGA PACK 2020-05-15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SS05-ENA12 | SPEED DUEL STARTER DECKS: TWISTED NIGHTMARES 2020-07-10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SDSA-EN014 | STRUCTURE DECK: SACRED BEASTS 2020-03-25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15AX-KRY13 | 듀얼리스트의 영광 -기억의 단편- side: 어둠의 유희 2020-06-25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SD38-KR015 | 스트럭처 덱 -혼돈의 삼환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