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28 05:24:14

아팜드 더 스트라이커

파일:attachment/RVR33A.jpg

전뇌전기 버추얼 온 오라토리오 탱그램의 등장기체. 형식번호는 RVR-33.

중화력을 너무 추구한 나머지 기동력이 크게 떨어진 아팜드 더 디스럽터의 문제점을 인식한 RNA측이 개발한 2세대형 아팜드. 샌드 사이즈 작전 말기에 오른쪽의 유닛 건과 왼팔의 박스 런처를 하나식 떼어낸 현지개수형 3기가 등장한 것이 첫 실전데뷔였다. 이 경량화의 혜택은 확실한 것이어서 반감된 화력은 그 이상으로 향상된 기동력에 의해 보완되고도 남아 DNA에게 큰 골칫거리가 되었다..

파일:attachment/RVR33B.gif

이후 철저한 재설계를 거쳐 유닛 건이 왼쪽에, 박스 런처가 오른팔에 설치되었고 현장의 요구에 의해 근접전투용 나이프 <크리티컬 엣지>를 추가한 후기형이 오라토리오 탱그램에 투입된다. (물론 오라토리오 탱그램에 등장하는 건 후기형이다)

이로써 스트라이커는 우수한 화력과 크게 떨어지지 않는 기동성으로 중장거리 전투는 물론 근접전마저 소화할 수 있는 범용성 높은 기체로 완성되었다. 특히, V.C. a3년에 B형, 즉 아팜드 더 배틀러가 제식채용된 뒤에는 배틀러와의 연계전투를 특기로 삼아, DNA에게는 "움직이는 지원형 VR"이라 불리는 공포의 대상이 되었다.

그러나 실제 게임에서는 오라토리오 탱그램 최약체. 일단 화력은 중무장을 달고 있는 주제에 명중률이 높은 것도 아니고-오히려 명중률이 떨어진다.- 화력이 특별히 센 것도 아니다. 게다가 기동성이 딱히 높지도 않아서 근접성능도 템진한테 비슷하게 내면 카운터를 먹을 정도(템진의 근접 공격도 발생 시간이 꽤 길다).

고로 보기에는 화끈하게 압도할 것 같지만 사실은 이런저런 무기를 적절하게 활용해서 V아머와 라이프를 야금야금 깎아먹는 식으로 쓰게 된다(V아머를 깎아먹는 능력은 좋다). 생긴 것과는 달리 대단히 쪼잔한(?) 기체. 보통 스테이지1에서 템진이나 아팜드 더 스트라이커가 나오는데 특히 이놈이 나오면 초보가 연습하기에 딱 좋다. 10/80 스페셜로도 가지고 놀 수 있을 정도.

그리하여 네 차례의 버전업(5.2, 5.4, 5.45, 5.66)에도 불구하고 아팜드 중 가장 쓰기 어려운 기체가 되었다. 여러모로, <평범한> VR중에는 가장 상급자 지형 기체. 이 기체로 아짐을 이겼다면 당신은 버추얼 온의 초고수라 자부해도 좋다. 결코 농담이 아니다.

특수기는 하나같이 특수기가 범상치 않는 버철온 다운 날아서 펀치.[1] 아팜드 시리즈의 특수기는 대부분 날아차기인데 이놈만 어째서인지 날아서 펀치. 하이퍼 모드도 있다.

테마곡은 Burning Inside
후계기로는 아팜드 타이거 시리즈가 있다.

[1] 정식 명칭은 너클 익스플로전. 포스나 어떤 마술의 버추얼 온에서도 동일하게 쓰였다. 다만 어떤 마술의 버추얼 온에서는 날아서 펀치가 아니라 그대로 펀치를 메다꽂는 모션으로 변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