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3-06-14 23:51:43

아이작(아카데미 최약체는 마족 한정 먼치킨이 되었다)/능력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아이작(아카데미 최약체는 마족 한정 먼치킨이 되었다)

1. 개요2. 상세
2.1. 전투력2.2. 잠재력2.3. 정신력
3. 고유 특성4. 스킬
4.1. 얼음 속성 마법4.2. 바위 속성 마법4.3. 중립 속성 마법4.4. 융합기4.5. 협동기
5. 사역마
5.1. 분쇄자 - 이든5.2. 빙설룡 - 힐드5.3. 암갑귀 - 고르모스
6. 하수인
6.1. 빙결의 원옥마수 - 디아칸6.2. 상귀 - 메르뷸6.3. 빙퇴웅 - 바르바토마6.4. 태동악 - 투가로스6.5. 하트 여왕 - 앨리스 캐럴
7. 업적

[clearfix]

1. 개요

아카데미 최약체는 마족 한정 먼치킨이 되었다의 주인공 아이작의 능력을 정리한 문서.

2. 상세

능력치[A]
레벨 200
마력량 1,564,000
마력 회복 속도 S
체력 S
근력 S
지력 S
정신력 S
속성 얼음, 바위
칭호 빙제
얼음 속성 마법을 사용하는 빙결 마법사. 멸악자 특성으로 적이 마족이면 레벨이 100 이상 상승해서 메르헨 아카데미 최약체에서 작가 공인 인간 측 최강자 수준까지 강해진다.

지옥 난이도의 '메르헨의 마법 기사' 세상을 구하기 위해 단련도 필사적으로 하고 있어서, 2학기에 들쯤에는 단순 스탯으로는 최약체를 벗어나 중하위권까지는 올라왔고 실전능력은 B클래스의 상위권 학생들 못지 않다.

부족한 마법재능을 극복하기 위해 신체 단련 효율에도 포인트를 넣고, 육체 단련도 성실히 병행중이라서 또래보다 훨씬 신체조건이 좋고, 근육이 어지간한 기사학부 못잖게 탄탄하다는 평가를 받기도 했다.

2학년 시점에서는 노말 상태에서도 A클래스 수준의 강자로 평가받는다. 실제로 방심했다지만 신입생 수석인 미야를 상대로 압승했다.

이후 2학년 2학기 들어서 모든 대 종족 전투력을 100까지 올림으로써 명실상부 인간 측 최강 전력이 되었다.

2.1. 전투력

2.2. 잠재력

성장 속도[A]
신체 단련 효율 100/100(S)
마법 단련 효율 100/100(S)
학습 효율 100/100(S)

원소 저항력[A]
불 속성 원소 저항력 80/100(A)
물 속성 원소 저항력 81/100(A)
얼음 속성 원소 저항력 64/100(B+)
번개 속성 원소 저항력 69/100(B+)
바위 속성 원소 저항력 60/100(B+)
바람 속성 원소 저항력 60/100(B+)
중립 속성 마법 저항력 60/100(B+)

대 종족 전투력[A]
대 인간 전투력 100/100(S)
대 이 종족 전투력 100/100(S)
대 천족 전투력 100/100(S)
대 마족 전투력 100/100(S)

2.3. 정신력

아이작의 가장 큰 강점 중 하나로 등장인물 중에서도 손에 꼽힐 정도로 정신력이 뛰어나다.

3. 고유 특성

{{{#!folding [스포일러]
이 고유 특성의 발동 조건은 육신. 즉, 자신의 육신을 바치는 것이다. 상태창의 형태로 도와주던 아이작 내면의 괴물이자 초월자인 오즈마의 함정으로 신격을 발동하는 순간 아이작의 육신을 차지하게 된다.}}}

4. 스킬

4.1. 얼음 속성 마법

얼음[A]
원소 화력 S
원소 효율 S
원소 시너지 S

4.2. 바위 속성 마법

바위[A]
원소 화력 S
원소 효율 S
원소 시너지 S

4.3. 중립 속성 마법

4.4. 융합기

두 가지 속성의 마법을 합쳐 발현하는 마법으로, 발동의 주체는 한 명이다.

4.5. 협동기

융합기처럼 두 가지 속성의 마법을 합쳐 발현하는 마법이지만, 한 사람이 아닌 두 사람이 협동하여 발현한다는 차이점이 존재한다.

5. 사역마

주인과의 언약으로 맺어진 긴밀한 관계. 마력 공유도, 마음 공유도 가능하며, 주인이 실력만 따라준다면 크기를 줄여서 소환하는 것도 가능하다.

사역마에겐 융화력이라는 스탯이 존재하는데, 이는 주인과 얼마나 긴밀하게 연결되었는지를 수치화한 것으로, 융화력이 높을수록 사역마의 능력도 더 잘 사용할 수 있게된다.

다만 한 사람당 최대 세 마리까지만 다룰 수 있다는 한계가 존재한다.

5.1. 분쇄자 - 이든

이든
파일:사역마 이든.png
파일:분쇄자-이든.png
<colbgcolor=#fff><colcolor=#000> 레벨 103
등급 5성
종족 마수
속성 바위, 얼음
친밀도 100
융화력 100
소환시 마력 소모량 1,100
아이작의 첫 번째 사역마. 작고 귀여운 바위 골렘 마수이다.

허나 멸악자 모드에 돌입한 아이작의 마력을 받으면 크기가 매우 커져 대검을 든 거인으로 변한다. 이 형태는 분쇄자 이든이라고 불린다.

원래 상태에서는 주인인 아이작한테 애교를 많이 부린다. 또한 대화 자체는 가능하지만 지능은 그리 높지 않다고 한다.

분쇄자 형태에 처음 돌입함으로서 두 번째 속성인 얼음 속성을 각성했고, 이는 마수들 중에서도 유일한 경우라고 한다.

5.2. 빙설룡 - 힐드

힐드
파일:힐드(2).png
<colbgcolor=#fff><colcolor=#000> 레벨 200
등급 8성
종족 마수
속성 얼음
친밀도 100
융화력 95
소환시 마력 소모량 95,000
아이작의 두 번째 사역마. 현재까지 등장한 사역마 중 최강인 마수[13]로 8성급의 얼음 속성 드래곤이며, 선대 빙제인 태초의 빙제를 보좌했던 신화 속의 사역마다.[14] 성별은 암컷이며 나이는 최소 1,000세 이상이다.

아이작이 힐드의 서리낫을 얻으러 갔을 때 서리낫을 지키고 있던 수문장으로 처음 조우했고[15], 시련 통과 후 아이작이 서리낫을 얻고 힐드에게 계약을 제안하자 이를 받아들이고 아이작의 사역마가 되었다.[16]

이후엔 아이작을 빙제의 환생이라고 여기고 있다. 여담으로 천 년 동안 혼자 지냈던지라 아이작이 쓰다듬어 주는 등의 스킨십을 좋아하며, 신문물을 굉장히 신기해한다.

태초의 빙제를 보좌했던 사역마답게 계약자의 냉기를 강화시켜주는 패시브 스킬인 서리바람을 익히고 있으며, 8성급 얼음 속성 공격 마법인 마하발특마를 비롯한 여러 얼음 속성 마법들 또한 사용할 수 있다.

8성급 마수들 중에서도 특출나게 강한 개체이며, 태초의 빙제를 섬겼던 사역마인 만큼 전력을 발휘할 시, 왠만한 국가 하나 정도는 가뿐히 멸망시킬 수 있는 힘을 지녔다고 한다.

5.3. 암갑귀 - 고르모스

고르모스
파일:빈 정사각형 이미지.svg
<colbgcolor=#fff><colcolor=#000> 레벨 180
등급 8성
종족 마수
속성 바위
친밀도 0
융화력 불명
소환시 마력 소모량 불명
아이작의 세 번째 사역마. 태초의 암제를 보좌했던 신화 속의 마수로 단단한 바위 껍질을 가진 거대한 악어거북이다.

아이작이 찾아왔을 때 겉으로는 좋아하지 않지만 속으로는 기뻐하고 바위 속성 하수인을 만들어 그의 훈련을 도와주고 있다.

2학년 2학기 때 8성급 사역마 계약 마법진을 하나 얻을 기회가 있으므로, 이를 얻고 고르모스와 사역마 계약을 할 거라고 아이작이 언급했다.

이후 실피아로부터 8성급 사역마 계약진을 넘겨받은 뒤 고르모스를 찾아온 아이작이 계약 조건[18]을 달성하자 그의 사역마가 되었다.

6. 하수인

일종의 소환수. 사역마와는 달리 마력을 주입해 크기를 조절하는 등의 행위는 불가능하다.

그냥 소환하고 말고가 끝이며, 다만 제한 보유량은 것도 존재하지 않기에 이론상 무한한 하수인을 부릴 수 있다.[19]

주인의 명령을 따르고 통제를 받는건 사역마와 동일한 요소이다.

6.1. 빙결의 원옥마수 - 디아칸

디아칸
파일:디아칸.jpg
<colbgcolor=#fff><colcolor=#000> 레벨 ■■■
등급 불명
종족 마수
속성 얼음
소환시 마력 소모량 불명
아이작의 하수인으로, 부유섬 에피소드에서 마족들을 명계로 끌고온 아이작이 9성급 패시브 스킬 빙제를 한계 이상까지 운용한 결과로 인식할 수 있었던 자신의 안에 존재하는, 잠긴 철문을 열었을 때 나온 존재다.

죽음마저 초월하여 어디에나 존재할 수 있으며, 상태창에 나오는 정보가 극도로 제한될 정도로 강하다.[20] 나오자마자 명계의 섭리가 디아칸의 힘을 억제할 정도.

디아칸은 아이작이 지닌 힘이라고 묘사되었으며[21], 존재만으로 절대영도를 내뿜으며 빙하기를 불러 일으킬 수 있는 냉기와 초월적인 마력을 지녔다는 특징이 있다. 이 때문에 현세에서는 꺼내지 못한다.

허나 디아칸이 보유한 초월적인 마력과 냉기가 완벽히 통제되고 있다는 요르문간드의 언급으로 보아 아이작을 자신의 주인으로 인정하고 있기에 폭주할 위험은 거의 없다고 한다.

'무저갱' 옴의 내부와 같이 억제력이 존재하지 않는 격리된 차원에서는 온전한 힘을 발휘할 수 있다. 허나 워낙에 초월적인 마력을 지녀서 다른 차원에서 꺼내도 현세에서도 그 힘이 일부 관측되기도 한다.

현재 아이작이 다섯 원왕들 중에서도 최강이라고 평가받는 이유가 되는 요소 중 하나다. 나머지 네 명의 원왕들도 무려 원옥마수가 하수인으로서 누군가를 따르는 것에 대해 상당히 놀라기도 한 모습을 보인다.

상술했듯이 소환만 해도 인간계가 멸망해버리기에 카발리온전 이후론 등장하지 못하다가 타나토스전에서 오랜만에 재등장했다. 다만 디메리트는 여전해서 원왕 네 명이 마나 고갈에 빠질 정도로 필사적으로 결계를 치고나서야 소환할 수 있다.

스포일러
사실 디아칸은 1회차의 도로시, 도로시 게일이 명계에 간 후 자기 자신을 구할 수 있도록 보낸 원옥마수이다. 무엇에도 구애받지 않고 자유로운 그야말로 아이작의 힘이 되기 적절했다고.


참고로 원옥마수의 정의는 소의 , 지을 따서 원옥마수라고 부른다고 한다.

6.2. 상귀 - 메르뷸

메르뷸
파일:상귀-메르뷸.png
<colbgcolor=#fff><colcolor=#000> 레벨 180
등급 8성
종족 마수
속성 얼음
소환시 마력 소모량 불명
아이작의 하수인. 약 1,000년 동안 공석이었던 빙제가 없어서 각자 힘을 키워 지변 혹은 천변의 경지에 다다른 8성급 얼음의 마수들 중 하나로 신장은 3m가 넘으며 검은 망토로 추정되는 것을 꽁꽁 싸맨 길쭉한 몸에 낡아 빠진 마법사 모자로 얼굴을 가리고 있다.[22]

또한 손가락이 매우 길며, 귀신으로 추정되는 만큼 허공에 둥둥 떠다니며 이동한다.

여담으로 태초의 빙제가 후대를 위해 상화의 검을 맡겨놓은 마수다. 그렇기에 아이작에게 상화의 검을 건네주었으며 거기에 더해 아이작이 상화의 검으로 계약을 이행했을 때 대표로 나선 것으로 보아 뒤펜도르프의 대표격 역할을 맡은 마수라고 추측된다.

힐드 왈, 본인의 옛 동료지만 가장 음침한 녀석이라고.

6.3. 빙퇴웅 - 바르바토마

바르바토마
파일:빙퇴웅-바르바토마.png
<colbgcolor=#fff><colcolor=#000> 레벨 불명
등급 8성
종족 마수
속성 얼음
소환시 마력 소모량 불명
아이작의 하수인. 약 1,000년 동안 공석이었던 빙제가 없어서 각자 힘을 키워 지변 혹은 천변의 경지에 다다른 8성급 얼음의 마수들 중 하나로 산맥과 같은 거대한 덩치를 지닌 북극곰이며 등에 얼음갑주가 형성되어 있다고 한다.

6.4. 태동악 - 투가로스

투가로스
파일:태동악-투가로스.png
<colbgcolor=#fff><colcolor=#000> 레벨 불명
등급 8성
종족 마수
속성 얼음
소환시 마력 소모량 불명
아이작의 하수인. 약 1,000년 동안 공석이었던 빙제가 없어서 각자 힘을 키워 지변 혹은 천변의 경지에 다다른 8성급 얼음의 마수들 중 하나로 심해 속에서 살아가던 군청색의 거대 악어 괴수다.

6.5. 하트 여왕 - 앨리스 캐럴

앨리스 캐럴
파일:하트 여왕 - 앨리스 캐럴.jpg
<colbgcolor=#fff><colcolor=#000> 레벨 불명
등급 없음
종족 인간
속성 ???, ???
소환시 마력 소모량 175,000[23]
아이작의 유일한 인간 하수인. 자세한 내용은 문서를, 하수인 목록은 능력 문서 참고.

7. 업적


[A] 최신화 기준.[2] B클래스 위에 있는 아카데미 내 최상급 반인 A클래스에는 단 5명의 학생만 속해 있으므로 사실상 전교 6등이라고 봐도 무방하다.[3] 멸악자에 돌입할 때 스킬트리가 일시적으로 10 증가하는데, 7성급 마법과 9성급 마법의 스킬트리가 딱 10만큼 차이나기 때문이다.[4] 참고로 원왕의 레벨은 198 ~ 200 정도이다. 즉, 원왕 정도의 논외급 강자를 제외하면 인간 내에서도 정점급 강자인 것.[5] 태초의 빙제가 사용했을 땐 대륙 전체에 빙하기를 불러온 기술이기 때문에 이미 태초의 빙제를 초월한 강함을 지닌 아이작이 이를 대륙에서 사용하면 망한다.[6] 참고로 이때 아이작은 명왕 1차전, 오즈마전, 명왕 2차전을 연달아서 치루느라 몸상태가 한계에 가까웠던 상황이다. 실제로 아이작은 천의 날개 토벌전이 끝나자마자 쓰러졌으며 황국 최고의 마법 의사와 카야의 치료에도 불구하고 한 달 동안이나 의식을 차리지 못했다.[A] 최신화 기준.[A] 최신화 기준.[A] 최신화 기준.[A] 최신화 기준.[11] 멸악자 상태에서는 스킬 트리가 10만큼 상승하는데, 7성급 마법과 9성급 마법의 스킬트리 차이가 딱 10만큼 차이나기 때문이다.[A] 최신화 기준.[13] 최신화에 공개된 원옥마수 디아칸은 아직 하수인이므로 사역마 중 최강은 힐드가 맞다.[14] 공작가 중 하나인 화이트클락 가문의 상징이 백룡(힐드)일 정도다.[15] 힐드가 다음 서리낫의 주인을 기다리고 있던 이유는 선대 빙제의 부탁 때문이었다.[16] 힐드에게 계약을 제안할 때 아이작은 방금 얻은 서리낫의 냉기에 익숙해지지 않아 말투가 건조하고 차갑게 나갔는데, 그 요소와 아이작이 보유한 9성급 패시브 스킬 빙제의 기운에 의해 힐드가 태초의 빙제를 떠올리게 하여 의도치 않은 호감도가 올랐다.[17] 드래곤의 마나의 원천인 뿔이 감춰지기 때문이라고.[18] 전투를 통해 고르모스를 굴복시킬 것.[19] 다만 이는 어디까지나 원왕만 가능한 수준이다.[20] 등급조차 나오지 않았다. 그 강함과 모습을 보았을 때 최소 10성 이상의 존재로 추정된다.[21] 하지만 사역마가 아닌 하수인이다.[22] 사실 위장용 형태다. 원래 모습은 빙설룡-힐드처럼 크기가 크다.[23] 마력 소모량이 어마어마한건 소환시 단순히 앨리스만 소환하는 게 아니라 앨리스의 사역마와 하수인을 비롯한 하트 왕국의 모든 병력을 불러내기 때문이다. 물론 앨리스 한 명만 소환할 땐 사역마를 소형화해서 소환할 때처럼 마력 소모량이 줄어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