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3-11-27 05:19:51

아이슬란드/경제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아이슬란드
북유럽경제
북대서양 발트 3국
[[아이슬란드/경제|
파일:아이슬란드 국기.svg

아이슬란드]]
[[에스토니아/경제|
파일:에스토니아 국기.svg

에스토니아]]
[[라트비아/경제|
파일:라트비아 국기.svg

라트비아]]
[[리투아니아/경제|
파일:리투아니아 국기.svg

리투아니아]]
스칸디나비아 반도
[[스웨덴/경제|
파일:스웨덴 국기.svg

스웨덴]]
[[핀란드/경제|
파일:핀란드 국기.svg

핀란드]]
[[덴마크/경제|
파일:덴마크 국기.svg

덴마크]]
[[노르웨이/경제|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노르웨이]]


||<tablewidth=100%><tablealign=left><tablebordercolor=#02529c><tablebgcolor=#02529c>
파일:아이슬란드 국기.svg
아이슬란드
관련 문서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color=#fff><colbgcolor=#dc1e35> 상징 <colcolor=#000,#fff>아이슬란드 국가 · 아이슬란드 국기 · 국호 · 국장
정치 정치 전반 · 의회 · 대통령 · 총리
역사 역사 전반 · 바이킹 · 북해 제국 · 칼마르 동맹 · 덴마크 왕국 · 아이슬란드 왕국
외교 외교 전반 · 북유럽 협의회 · 북극이사회 · 아이슬란드 여권
지리 아이슬란드 섬 · 행정구역
경제 경제 전반 · 아이슬란드 크로나
문화 북유럽 신화 · 사가 · 냘의 사가 · 에다 · 아이슬란드 요리 · 아이슬란드 영화 · 루터교회(아이슬란드 복음주의 루터교회)
스포츠 아이슬란드 축구 국가대표팀 · 아이슬란드 축구 협회 · 베스타데일드
교통 아이슬란드 1번 국도 · 아이슬란드 77번 국도
언어 고대 노르드어 · 아이슬란드어
인물 노르드인 · 아이슬란드인 · 아이슬란드계 미국인
국방 아이슬란드군 · 아이슬란드 해안경비대 · 북대서양 조약 기구
치안·사법 아이슬란드 국가경찰
}}}}}}}}} ||
아이슬란드의 경제 정보
파일:22208702235_4d46ec8c4a_b.jpg
파일:22040838989_378a060013_b.jpg
파일:16169513473_f4179dcc98_b.jpg
인구338,000 명 # 2018년, 세계 179위
경제 규모(명목 GDP) 291억 900만 달러2018년, 세계 101위
경제 규모(PPP) 186억 600만 달러 2018년, 세계 145위
GDP 성장률3.23% 2018년
1인당 명목 GDP 84,675 달러 2018년, 세계 3위
1인당 PPP 48,202 달러 2018년, 세계 20위
GDP 대비 공공부채 비율 55.07%2016년, 세계 80위
고용률 86.3% 2016년, OECD 1위#
무디스 국가 신용등급 A32016년, 7등급 #
피치 국가 신용등급A-2017년, 7등급 #
S&P 국가 신용등급A2017년, 6등급 #

1. 개요2. 역사3. 환경 문제4. 산업 구조
4.1. 수출 구조
5. 관련 문서

1. 개요

아이슬란드의 주요 산업은 풍부한 수자원을 이용한 어업과 금융업이다.

또한 지열과 수력으로 생산된 전력 자원이 온 국민이 쓸 수 있는 양보다 많기 때문에 알루미늄 공장 등과 같은 전력집합체에 투자를 많이 했다.

이 외에도 여러 공업이 발달했으며 관광업을 필두로한 서비스업 역시 발달했다.

과거에는 유럽에서 가난한 국가였지만 1970년대 이후 급성장을 통해 지금은 유럽에서도 꽤나 부유하고 삶의 질도 매우 높은 부국이다.

2. 역사

독립 직후만 해도 절해고도라는 지리적 난점과 30만 내외에 불과한 인구, 그리고 어업 위주로 돌아가는 경제 구조 탓에 북유럽에서 가장 경제 구조가 부실한 나라로 평가받았다. 그러나 70년대부터 지열을 이용한 알루미늄 제련업과 무역업을 육성하기 시작했고, 고도성장을 경험하며 복지국가 체제를 구축하는데 성공했다.

21세기 들어서 금융업이 발전하며 외국자본이 대거 아이슬란드로 몰려오면서 유럽의 금융 허브로 떠올랐고, 한때는 스위스 부럽지 않을 수준이었다. 그러나 금융업의 비중이 워낙 높았던지라 2008년 가을 미국발 경제위기의 타격을 아주 심하게 받았다. 2008년 2월 들어서는 아이슬란드의 대외 부채가 크로나 가치 하락과 맞물려 500억 유로로 GDP의 7배로 늘어났다. 이 과정에서 금융계, 정계, 산업계 등 아이슬란드 엘리트 계층의 인맥에 의한 부정부패가 문제되기도 했다. 워낙 인구가 적은 나라여서 이들이 사실상 모두 아는 사이 혹은 같은 학교 선후배 지간이었고, 이들이 하나의 카르텔을 형성하여 정부 규제와 금융산업을 쥐고 흔들다보니 문제가 더 커졌다. 아이슬란드에 단 3개뿐이던 시중은행인 카우프팅(Kaupthing), 랜드방키(Landsbanki), 글리트니르(Glitnir)가 모조리 채무 지급 불능을 선언하고 파산해버리며 국가 전체의 금융 시장이 마비되었다. 이들 은행은 새로 지어진 은행에 영업권을 양도하고 청산되었다. 이 과정에서 국외 예금자의 계좌 동결 때문에 영국과 분쟁이 있었는데, 영국에서 가장 적극적인 영업을 펼친 Landsbanki의 현지 브랜드인 Icesave의 이름을 따 '아이스세이브 분쟁'으로 불러진다.

이 가운데 프리미어리그 구단인 웨스트햄 유나이티드를 아이슬란드 중앙은행 자본으로 인수했다가 경제위기로 중앙은행에서 돈을 끌어다 쓸 수 없어서 구단을 헐값으로 내놓은 일도 있었다. 이렇게 경제위기가 터지던 2008년 10월 6일에 화폐가치 폭락과 주가 급락으로 인해 당시 아이슬란드 총리였던 게이르 호르데가 국가 파산 가능성을 시인할 정도로 경제 상황이 막장으로 치달아 물가 폭등,[1] 정치 불안 등이 지속되면서 결국 2009년 1월에 연정이 붕괴되는 상황까지 벌어졌다. KBS에서 1월경 방송한 《세계의 뉴스》 시간에 "아이슬란드는 소비를 촉진하여 이번 경제위기를 타개하려 하고 있습니다"라며 관광에 힘쓰는 국민들을 보여줬는데 3일 후 뉴스에서 아이슬란드 IMF에 국가파산 신청이라는 소식이 나왔다.

결국 내각이 총사퇴하고 2009년 2월 1일, 요한나 시귀르다르도티르[2]가 새 총리가 되었고 2010년 이후에는 빠르게 회복되어서 경제사정은 다시 나아졌다.

그런데 극복 방식이 매우 과감하고 극단적으로, 은행들을 의도적으로 부도하게하고 전부 국유화시킨 뒤 국민들의 가계부채 탕감 및 실업수당 지급 확충 등 국민생활고 문제를 지원하면서 자연스럽게 구조조정하는 방식으로 개혁을 단행하는 것이었다. 이때문에 이 과정에서 해외투자자와 마찰을 빚었지만 더욱 충격적인 사실은 반대의 해법[3]을 채택했는데도 오랜 시간이 지나서야 경제가 회복된 남유럽 국가들과는 다르게 빠르게 회복하여 2011년에는 IMF 구제금융을 졸업했고, 현재는 재생에너지 등의 산업을 키워나가고 있다.

또 그 시기를 기점으로 아이슬란드의 크로나화의 국제 가치가 폭락하기는 했지만, 그 영향으로 아이슬란드의 주력 수출 산업인 수산업의 수출경쟁력이 강화되었고, 이는 중장기적인 경제회복의 동력원이 되기도 하였다. 뿐만 아니라 해외 관광객들의 아이슬란드 체류 비용이 낮아지는 효과도 있었기에, 관광업이 빠르게 확대되기도 했다.#[4]

이런 역발상으로 인해 남유럽 국가들에서 아이슬란드식으로 디폴트를 해야한다는 소리가 많지만, 현실적으로 힘들다. 아이슬란드도 경제위기의 풍파를 겪기는 했지만 남유럽 국가와는 다르게 인구를 비롯한 경제규모가 매우 작고[5] 비 EU국가였기 때문에 저런 과감한 방식을 적극적으로 밀고 나갈 수 있었다는 점이 컸다.[6] 아이슬란드식으로 은행을 구제하지 않고 망하도록 방치하는 것은 해외 투자자들과 금융계 입장에서 엄청난 손해를 봐야한다. 타 국가에서 이런 손해를 보상할 수야 있지만 문제는 금융계의 손해를 덜어주고 싶어도 명분이 후달리기 때문에 대대적으로 지원해주기도 힘들기도 어렵다는 점도 한 몫한다. 그래서 EU가 남유럽 국가들에게 긴축정책과 구조조정을 하라고 밀어붙였던 것.[7]

물론 아이슬란드가 예전 방식으로 막대한 규모의 금융업 주도 경제로 돌아가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해졌다고 볼 수 있다. 세계 금융자본의 묻지마 대출 전략을 비판하는 진영에서는 아이슬란드의 전략을 칭찬하였지만, 아이슬란드의 전반적인 국가 신용도는 떨어질 수밖에 없는 상황. 게다가 2016년, 총리가 파나마 페이퍼 사건에 연루되어 사퇴하였다. 돈을 갚지 않는 나라의 지도자가 조세회피처를 사용했다는 것 때문에 후폭풍이 거셌다. 그래도 대다수 국민의식이 깨어있고, 국가 규모가 작으니 완전히 망하는 일은 없을 듯.

좌파연정이 잠깐 집권했을 때 EU에 가입하려고 했지만 외국인 예금보호와 어업 퀴터 문제로 삐그덕거렸고 2013년 총선에서 우파가 재집권하면서 아예 포기해버렸다.

아이슬란드측은 2024년에 상업포경을 중단한다고 선언했다.#

3. 환경 문제

이름 덕분에 관광객들도 춥고 별볼일 없는 곳인 줄 알고 잘 가지 않는 편이다. 하지만 관광객 수는 매년 급증하고 있으며 숫자가 크지 않을 뿐 인구에 비해서는 많은 편이다.[8] 풍광이 굉장히 아름답다. 다만 환경 문제는 알고 보면 매우 심각하다. 애초에 추워서 식물이 잘 안 자라는 나라에 같은 가축을 풀어넣고 방목을 하니 땅의 상당 부분이 흙이 없어져서 그냥 사막이 되고 지금도 토양 침식이 계속되고 있다. 다만 현재 국가 차원에서 환경회복을 위한 여러가지 활동을 지원하고 있다. 심각하게 비판받고 있는 환경오염은 어업에서 벌어지는 무절제한 고래사냥이다. 페로 제도처럼 현재도 고래가 주식이면 모를까, 아이슬란드인들은 전통 축제인 소라블로트(Þorrablót) 때를 제외하면 고래고기를 잘 먹지 않는다. 잡은 고래는 대부분 일본으로 수출하므로 환경단체들로부터 거센 비판을 받고 있다(#).

4. 산업 구조

4.1. 수출 구조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14px-Iceland_Export_Treemap.jpg
2012년 아이슬란드의 수출구조, 살구색은 청어 등의 어업, 진한 갈색은 알루미늄 등의 산업, 파란색이 일반 제조업, 노란색이 농업, 검은빛에 가까운 고동색은 천연가스-석유 관련, 분홍색이 화학-의료 관련 산업, 붉은색은 건설장비-재료 산업, 회색은 기타미분류이다.[9]

5. 관련 문서



[1] 어업과 낙농업을 빼면 식량 자급이 힘든데다 제조업도 발전시키기 어려운 환경이라 식료품과 공산품을 대부분 수입해야 했기에 원래부터 물가가 비싼 나라인데 환율 불안정으로 식료품 가격이 불과 1주일 사이 50%나 뛰어버리는 등 민생 경제 분야에서 치명타를 입었다.[2] 아이슬란드 최초의 여성 총리이자, 동성애자로는 세계 최초로 정부수반의 지위에 오른 인물이다. 동성결혼 허용법을 발의하고 총리로서 직접 인준한 직후에 사귀던 파트너와 혼인 신고를 거쳐 아이슬란드 제1호 동성부부가 되었다.[3] 긴축정책과 적극적인 구조조정 실행 등.[4] 그러나 아이러니하게도 경제회복 이후에 집값이 급속하게 오르는 바람에 국민들의 불만이 커져서 2013년 총선에서 다시 독립당이 집권했고, 2015년 6월에 자본통제 제한을 완화하였다. 그래도 과거와 같은 정책은 하지 않고 있다.[5] 원래부터 대기업에 의존하는 체제가 아니었다.[6] 또한 아이슬란드는 여느 북유럽 국가들처럼 부정부패 수준이 매우 낮고 복지수준에 비해 국민들의 근로 의욕이 매우 높은 편에 속한다. 적은 인구를 감안해도 고용률이 매우 높다.[7] 이 영향으로 그리스에서는 즉시 디폴트를 주장한 좌파정당인 시리자의 세력이 강해져 집권여당이 되었지만 몇년도 안돼 몰락해버렸다.[8] 2010년 관광객 50만명.[9] http://en.wikipedia.org/wiki/Economy_of_Icel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