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22 20:25:48

아쎄이


1. 개요2. 유래3. 기타4. 해병문학에서

1. 개요

해병대에서 신병을 지칭하는 용어. 과거엔 육, 공군에서도 소수나마 쓰다가 점차 신삥, 참치[1] 등으로 대체되며 사장되어 갔지만, 해병문학의 영향으로 다시 드물게 쓰이기도 한다.

2. 유래

여러 가지 유래 가설이 있다.

3. 기타

아쎄이로 삼행시를 할 경우 아싸 새(쎄)로운 이병이라는 문장이 단골로 출현한다.

마찬가지로 똥군기병영부조리가 심각한 미 해병대에는 아쎄이에 대응하는 단어로 "신선한 고기(Fresh meat)"가 있다.

4. 해병문학에서

아쎄이...! 해병대에 적합한 몸을 하고도 아직 해병대에 입대하지 않다니! 이는 명백한 탈영 행위이다!
황근출
해병문학에서도 당연히 주요 소재로 쓰이는데, 해병대에 적합한 신체를 가졌으면서 입대하지 않은 모든 남성들을 탈영병 취급한다. 거기다 해병대와 아무 상관 없는 민간인과 공군을 제외한 타군 출신 예비역조차 '해병대에 자진입대하지 않은 예비 아쎄이' 취급해 예비 아쎄이들의 자진입대를 장려하는 것으로 묘사된다. 당연하다면 당연하지만 보통 이들은 해병 유니버스의 오도짜세 해병들에게 뻑하면 별의별 이유로, 혹은 이유도 없이 죽어나가 부산물로 수육을 남기는 식량과 전우애를 나누기 위한 성처리 도구 역할로 나온다.


[1] 짬찌의 발음을 순화한 것으로 공군에서 쓰인다. 공갤에서는 합격은 했으나 아직 입대 전인 경우에 아기 참치로 부르기도 한다. 사용례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33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33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