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9-19 04:33:28

아로니로 아루루에리

十刃
에스파다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수장
아이젠 소스케
구성원
No. 1
프리메라
No. 2
세군다
No. 3
트레스
No. 4
콰트로
No. 5
퀸토
코요테 스타크 바라간 루이젠번 티아 하리벨 우르키오라 시파 노이트라 질가
No. 6
세스타
No. 7
셉티마
No. 8
옥타바
No. 9
누베노
No. 10
디에스
그림죠 재거잭 조마리 루루 자엘아폴로 그란츠 아로니로 아루루에리 야미 리야르고
{{{#!wiki style="margin: -16px -11px;" 前 구성원 기타 }}}
{{{#!wiki style="margin: -16px -11px;" No.6
세스타
No.3
트레스
No. 0
세로
}}}
{{{#!wiki style="margin: -16px -11px;" 루피 안테노르 네리엘 투 오델슈방크 야미 리야르고 }}} }}}}}}}}}}}}

<colbgcolor=#6A5BA8><colcolor=#ffffff> 아로니로 아루루에리[1]
アーロニーロ・アルルエリ | Aaroniero Arruruerie
파일:아로니로 아루루에리.jpg
생일 4월 23일
신장 205cm
체중 91kg
소속 에스파다 No.9
레스렉시온 글로토네리아
해호 먹어치워라
죽음의 형태 탐욕
구멍의 위치 왼쪽 대퇴부
프라시온 없음
성우 남성 파일:일본 국기.svg 오오토모 류자부로[2]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태영
파일:미국 국기.svg 키스 실버스틴[3]
여성 파일:일본 국기.svg 야마구치 마유미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안영미
파일:미국 국기.svg 웬디 리

1. 개요2. 특징3. 작중 행적
3.1. 아란칼 편3.2. Spirits Are Forever With You3.3. TV판
4. 레스렉시온5. 기술6. 기타

1. 개요

만화 《블리치》의 등장인물.

참고로 원작자 쿠보 타이토가 지정한 테마곡은 Jamiroquai의 Deeper Underground이다.

2. 특징

에스파다의 No.9(누베노 에스파다). 죽음의 형태는 탐욕. 초대 에스파다 출신이며 에스파다 중 유일한 길리안이다. 33650마리의 호로를 먹어치우고도 길리안 계급인 것을 보면 진화의 한계에 부딪힌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무한히 강해질 수 있는 특성 때문에 길리안임에도 에스파다에 들어올 수 있었다.

길리안 출신 아란칼인 만큼, 완전한 인간형이 아니다. 목 위부터 액체로 채워진 투명 캅셀처럼 되어 있으며, 그 안에는 호로 형태의 작은 머리 2개가 둥둥 떠다닌다. 얼굴에는 숫자 9의 각인이 새겨져 있고, 두 개의 머리 모두에 있지만 위쪽 얼굴에는 숫자가 눈구멍에 걸쳐 제대로 보이지 않는다. 두 머리는 각각 다른 인격인지 1인칭이나 말하는 방법이 다르고 대화시에도 두 머리가 교대로 얘기한다. 두 머리는 한쪽은 남성, 한쪽은 여성이다.

파일:attachment/Bleach_-_No.9_(1).png

빛에 약하기 때문에 평소에는 8개의 작은 구멍이 뚫린 가면을 쓰고 있으며, 왼손에 장갑을 껴서 괴물의 입과 촉수가 뒤섞인 손을 숨기고 있다. 자엘아폴로는 캡슐 안의 액체를 흥미로운 연구 대상으로 보고 있고, 아로니로는 자기를 실험체 취급하는 자엘아폴로를 싫어하는 듯. 사실 본인을 실험체로 여기는 상대를 좋아하는게 더 이상한거다.

글로토네리아의 능력으로 메타스타시아를 먹었는데, 이 호로가 시바 카이엔을 잡아먹어 그의 모습으로 변한 상태에서 먹혔기에 시바 카이엔의 모습을 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기억, 경험, 특징도 모두 흡수했기 때문에 카이엔의 참백도를 사용할 수 있고, 그의 목소리도 따라할 수 있다.[4]

3. 작중 행적

3.1. 아란칼 편

파일:아로니로카이엔화.jpg
시바 카이엔의 모습으로 나타난 아로니로 아루루에리
쿠치키 루키아가 궁을 헤메고 있을 때 뒤에서 나타나서 궁 내부로 끌어들인다. 그리고 가면을 벗고 모습을 드러내는데, 그 모습은 과거 그녀의 스승이자 상관이었던 시바 카이엔이었다.

그는 죽은 후 웨크문드에서 영자가 재구축되어 살아날 수 있었고 그 과정에서 몸의 주도권을 뺏고 호로인 척 연기하며 숨어 지내왔다며 카이엔의 행세를 한다. 하지만 "날 죽인 죄를 용서받고 싶다면 동료들을 죽여라."라는 말을 하는 바람에 가짜라는 것이 들켰고 루키아와 전투를 벌이게 된다. 이후 햇빛이 약점이라는 것을 알아챈 루키아가 이중영창으로 육장광뇌와 쌍련창화추를 사용했고, 움직임이 멈춘 채로 태양빛을 맞게 되어 본모습을 드러낸다.

아로니로는 자신의 이름과 능력을 다시 얘기하며, 쌍련창화추를 벽을 부수는 용도가 아니라 자신에게 사용했다면 찰과상 정도는 입혔을 것이라고 디스하고 그림자 안으로 들어가 다시 카이엔의 얼굴을 하고 레스렉시온을 해방한다. 루키아를 압도적인 힘으로 몰아붙이고 창으로 꿰뚫어버렸으나 그럼에도 루키아는 죽지 않았고, 방심하고 있던 찰나 카이엔의 기억에는 없던[5] 루키아의 참백도 능력에 머리 부분의 캡슐이 파괴된다. 자신의 허무한 패배에 어이가 없었는지 죽어가면서 '아퍼! 괴로워~!'를 연발하던 머리 하나는 '구해줘 아이젠 님, 아이젠 님! 당신을 따르면 온갖 고통에서 해방시켜준다고 했잖아!'라고 아이젠을 원망하다가 죽고[6], 수백설에 찔린 다른 머리는 '제길…'이라고 한 마디[7] 하곤 반으로 쪼개져서 사망한다.

3.2. Spirits Are Forever With You

로카 팔라미아의 과거 회상으로 등장. 자신한테 고개를 숙이며 길을 비키는 로카를 보고선 아쥬커스씩이나 되고선 긍지도 없는 게 딱하다고 중얼거린다. 이 말을 할 때 우월감에 젖어있다고 묘사되는데, 길리안 신분으로 에스파다까지 오른 것에 우월감을 느끼고 있던 모양이다.

3.3. TV판

극장판 홍보용 에피소드에 의하면 죽은 뒤 지옥으로 떨어지게 된다. 이후 등장한 슈렌 일당에게 레스렉시온까지 해방하며 덤벼들지만 자엘아폴로와 같이 사이좋게 패배했다. 죽어도 다시 부활하는 지옥의 특성상, 아로니로는 현재까지도 계속 지옥에서 살아있는 것으로 보이며 같이 지옥에 떨어졌던 자엘아폴로 그란츠가 옥이명명 편에서 등장했기에 아로니로 역시 재등장할 가능성이 커졌다. 여담이지만, 지옥에 떨어진걸로 묘사된걸 보면 생전의 자엘아폴로와 마찬가지로 이 양반도 생전에는 자엘아폴로 못지 않게 '극악무도한 악인'이었던 걸로 보인다.

4. 레스렉시온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글로토네리아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글로토네리아#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글로토네리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 기술

파일:인식동기.jpg
파일:135Spirit_Body_Fusion.png
파일:Zanpakut%3FDestruction.gif
파일:attachment/Bleach_-_Sword_(28).jpg

6. 기타



[1] 이름의 유래는 산업 디자인에 최초로 플라스틱을 도입한 핀란드 인테리어 디자이너인 이에로 아르니오(Eero Aarnio, 1932 ~ ).[2] 단, 299화 이후로는 시바 카이엔의 성우인 세키 토시히코가 담당했다.[3] 코요테 스타크와 중복이다.[4] 그러한 이유로 카이엔의 모습을 하고 있는 시점에서의 성우가 카이엔의 성우와 같다.[5] 루키아의 기술 "세 번째 춤사위, 백도"는 카이엔이 죽은 다음에 얻은 능력인 듯하다.[6] 애니에선 소리 지르는 것과 동시에 뒹굴거리다 사망한다.[7] 애니에선 '난 절대 인정 안 한다.'라는 한 마디가 추가됐다.[8] “겉이 멀쩡하다고 속까지 멀쩡할거 같냐?”면서 이치고를 도발했다.[9] 이 덕분에 남자인 아로는 카이엔으로 변할 수 있고, 여자인 니로는 카이엔의 아내 미야코로 변할 수 있다는 개드립이 있다.[10] 기본적으로 사신들의 전투능력 대부분은 본인이 가지고 있는 참백도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기 때문에 사신들은 참백도를 해방할 수 없다면 전투력이 대폭 격감해버리고 만다. 석관이나 부대장 정도 되는 실력자들도 모종의 이유로 참백도를 파괴당하거나 해서 잃어버린다면 메노스는 커녕 통상적인 호로를 상대하는 것조차도 어려워질 수 있다. 물론 사신들은 귀도나 백타같은, 참백도와는 또 다른 대항 수단을 가지고 있지만 일반적으로 귀도나 백타는 참백도를 보조하기 위한 부분이 크며, 야마모토 총대장처럼 귀도나 백타가 둘다 강한 경우나 아니면 전문적으로 귀도나 백타 둘 중 하나를 높은 수준으로 수련한 사신 이외에는 주 전투방식으로 써먹을 수 있는 정도는 아니기에 전투 중 참백도가 없는 사태가 벌어진다면 사신들에게 무척이나 치명적이다.[11] 여담이지만 우스이 카즈요시의 성우인 스기타 토모카즈는 블리치에서 무구루마 켄세이를 연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