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14 03:33:48

아라크네의 비밀

역대 새턴상 시상식
파일:saturn-award.png
호러 영화상
제16회
(1988년)
제17회
(1989/90년)
제18회
(1991년)
비틀쥬스 아라크네의 비밀 양들의 침묵
아라크네의 비밀 (1990)
Arachnophobia
파일:거미공포증.jpg
<colbgcolor=#282c91><colcolor=#ffffff> 장르 공포, 코미디, 스릴러, SF
감독 프랭크 마셜
각본 돈 자코비
웨슬리 스트릭
원작 돈 자코비
알 윌리엄스
제작 프랭크 마셜
캐슬린 케네디
스티븐 스필버그
윌리엄 S. 비슬리
로버트 코트
테드 필드
돈 자코비
리처드 배인
다니엘 벨루치
촬영 미카엘 살로몬[1]
편집 마이클 칸
음악 트레버 존스
출연 제프 다니엘스
할리 제인 코작
줄리안 샌즈
존 굿맨
제작사 앰블린 엔터테인먼트
배급사 워너 브라더스
개봉일 파일:미국 국기.svg 1990년 7월 18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92년 6월 13일
상영 시간 109분 (1시간 49분)
제작비 $22,000,000
북미 박스오피스 $53,208,180
상영 등급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영등위_15세이상_초기.svg 15세 이상 관람가

1. 개요2. 예고편3. 등장인물4. 줄거리5. 평가6. 흥행7. 기타

[clearfix]

1. 개요

1990년에 개봉한 미국 영화. 스티븐 스필버그캐슬린 케네디가 제작과 기획을 맡았으며 그와 단짝으로 활동을 많이 한 제작자 겸 감독 프랭크 마셜이 연출했다.

2. 예고편

3. 등장인물

4. 줄거리

이 문서에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문서가 설명하는 작품이나 인물 등에 대한 줄거리, 결말, 반전 요소 등을 직·간접적으로 포함하고 있습니다.



주인공 로스는 의사로 거미 공포증을 앓고 있다. 그런데 때마침 마을에 숨어들어온 열대 독거미를 처리하면서 공포증을 극복한다. 실제로 빅 밥이라는 이름을 가진 타란툴라를 거미 전문 훈련사 도움으로 찍었다.

거미가 사람을 죽이려 드는 것은 바로 동료의 원한을 갚고자 한 짓이었다. 남미 밀림에서 거미를 촬영하던 사진작가가 타란툴라를 밟아죽이는 걸 이 빅 밥이 보면서 스스로 그의 배낭으로 숨어들어가 그를 물어죽이고 그의 시체에 숨어 미국으로 넘어와 사람을 죽이며 번식한다는 설정이 특이하다. 이 독거미들은 한번 물리면 얼마 못가 죽어버리는 강력한 독을 지니고 있으며 이 때문에 남미 밀림에 사는 원주민들도 무서워해 거미들이 사는 곳은 가지 않으려고 한다. 이들은 여왕거미, 장군거미, 병정거미로 나뉘는데 여왕거미, 장군거미는 1마리만 있고 병정거미는 여러마리가 있지만 수명은 3일밖에 되지 않는다. 그리고 이 거미는 알집이 따로 있지만 인간의 시체에 기생하는 경우도 있다.[3]

5. 평가

호러 영화지만 그렇게 끔찍하진 않으며 제법 제작비를 들인 만큼 꽤 볼만하다. 또한 중간중간 피식하게 만드는 웃음 요소들도 있으며 블랙 코미디스러운 부분들도 있다. 특히 존 굿맨이 연기한 해충처리반장은 대놓고 개그 캐릭터다. 다만 해충처리반장이 개그 캐릭터이기만 한 것은 아니며 후반부에 비장의 카드로 대부분의 거미를 녹여 죽이는 간지를 보이기도 한다. 병정거미의 대부분은 해충처리반장이 죽이고 여왕거미, 장군거미는 주인공 의사가 죽인다.

6. 흥행

흥행은 어느 정도 성공하여 제작비는 2200만 달러로 미국에서 5300만 달러가 넘는 수익을 벌어들였다. 거미 공포증을 가진 사람의 입장에서 연출을 잘해서 반대로 이 영화를 보고 거미 공포증이 생긴 사람도 많은 듯. 한국에도 개봉했으나 별로 알려지지는 못했다.

7. 기타



[1] 덴마크 출신으로 촬영감독으로 유명하다. 어비스, 파 앤드 어웨이, 분노의 역류 등을 맡았다. 밴드 오브 브라더스살렘스 롯 2004년판 감독도 맡았다. 1998년작인 모건 프리먼, 크리스천 슬레이터 주연인 액션영화 '하드 레인'으로 극장영화 감독에도 도전했으나 흥행 폭망.[2] 호러 영화 장르에 많이 나온 영국 배우. 워록 시리즈 1, 2편에서 악마 워록을 맡았다. 2023년 1월 13일 미국에서 홀로 등산을 갔다가 행방불명되었으며, 6월 24일 시체가 발견되어 사망이 확인되었다.[3] 인간의 코나 입에서 거미가 나오는 장면이 있다.[4] 이 바퀴벌레의 위험성은 곤충학자들이나 공중 위생국에 그대로 알려진것으로 보이는데 실제로 곤충학자인 드레이튼 박사에게 주인공인 벤 케힐이 올스 섬에 있던 바퀴벌레를 보냈는데 드레이튼 박사는 이 바퀴벌레를 관찰하다가 경악하더니 자신의 조수인 제인에게 공중 위생국에 빨리 연락하라고 말한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19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19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