洗 씻을 세 | |||||||
부수 및 나머지 획수 | <colbgcolor=#fff,#1f2023> 水, 6획 | 총 획수 | <colbgcolor=#fff,#1f2023> 9획 | ||||
중학교 | |||||||
- | |||||||
일본어 음독 | セン | ||||||
일본어 훈독 | あら-う | ||||||
- | |||||||
표준 중국어 | xǐ, xiǎn | ||||||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clearfix]
1. 개요
洗는 '씻을 세'라는 한자로, '씻다'를 뜻한다.2. 상세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 ||
한국어 | 훈 | <colbgcolor=#fff,#1f2023>씻다·깨끗하다 |
음 | 세·선 | |
중국어 | 표준어 | xǐ |
광동어 | sai2 | |
객가어 | sé | |
민북어 | sǎi | |
민동어 | sā̤ | |
민남어 | sé[文] / sóe[白] | |
오어 | xi (T2) | |
일본어 | 음독 | セン |
훈독 | あら-う | |
베트남어 | tẩy |
유니코드에는 U+6D17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EHGU(水竹土山)로 입력한다.
뜻을 나타내는 水(물 수)와 소리를 나타내는 先(먼저 선)이 합쳐진 형성자이다.
사실 이 글자는 다음자(多音字)이다. 일반적으로는 齊운(sejX, 한국 한자음은 '세')으로 읽지만, 십이율 중 하나인 姑洗(고선)에서는 先운(senX, 한국 한자음은 '선')으로 읽는다. 한편 일본에서는 齊운에 해당하는 한자음(오음: サイ, 당음: セイ)을 사용하지 않고 先운에 해당하는 한자음(セン)만 살아남았다.
洒와는 동자 관계이다.
3. 용례
3.1. 단어
- 관세(盥洗)
- 상세(尙洗)
- 성세(聖洗)
- 세검(洗檢)
- 세검정(洗劍亭)
- 세뇌(洗腦)
- 세답(洗踏)
- 세련(洗練/洗鍊)
- 세례(洗禮)
- 세뢰(洗罍)
- 세마(洗馬)
- 세면(洗面)
- 세미(洗米)
- 세발(洗髮)
- 세병관(洗兵館)
- 세서연(洗鋤宴)
- 세수(洗手)
- 세심(洗心)
- 세안(洗眼)
- 세안(洗顔)
- 세연례(洗硯禮)
- 세위(洗位)
- 세이(洗耳)
- 세정(洗淨)
- 세제(洗劑/洗除)
- 세차(洗車)
- 세척(洗滌)
- 세탁(洗濯)
- 건조세탁(乾燥洗濯)
- 기계세탁(機械洗濯)
- 세탁기(洗濯機)
- 세탁물(洗濯物)
- 세탁부(洗濯婦)
- 세탁소(洗濯所)
- 세탁실(洗濯室)
- 세탁업(洗濯業)
- 세탁용수(洗濯用水)
- 세탁용품(洗濯用品)
- 세탁장(洗濯場)
- 세탁제(洗濯劑)
- 세탁판(洗濯板)
- 수세(水洗)
- 수세(受洗)
- 여요세(汝窯洗)
- 일세(一洗)
- 작세(爵洗)
- 고선 (姑洗)
3.2. 고사성어/숙어
- 괄장세위(刮腸洗胃)
- 세답족백(洗踏足白)
- 세병(洗兵)
- 세연어탄묵 팽다학피연(洗硯魚呑墨 烹茶鶴避煙)
- 세이공청(洗耳恭聽)
- 영천세이(潁川洗耳)
- 음회세위(飮灰洗胃)
- 이혈세혈(以血洗血)
- 적빈여세(赤貧如洗)
- 풍마우세(風磨雨洗)
3.3. 인명
- 뤄시허(羅洗河)
- 미타라이 료타(御手洗 亮太)
- 미타라이 사토미(御手洗 怜美)
- 아라타니(洗谷)
- 이세연(李洗年)
- 인세연(印洗姸)
- 제니아라이 쿠마베에(銭洗 熊兵衛)
- 타치아라이 키루코(大刀洗 斬子)
- 한세진(韓洗賑)
3.4. 지명
- 경기도 오산시 세마역로(洗馬驛路)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남사읍 수세로(水洗路)
- 경상남도 통영시 세병로(洗兵路)
- 부산광역시 연제구 세병로(洗兵路)
- 세마역(洗馬驛)
- 전북특별자치도 순창군 인계면 세심로(洗心路)
- 전북특별자치도 임실군 삼계면 세심리(洗心里)
-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덕진구 세병로(洗兵路)
- 통영 세병관(統營 洗兵館)
- 이바라키현 히가시이바라키군 오아라이마치(茨城県 東茨城郡 大洗町)
- 오아라이역(大洗駅)
3.5. 창작물
- 足洗邸の住人たち。(아시아라이 저택의 주민들)
- 걸즈 앤 판처
- 県立大洗女子学園 (현립 오아라이 여학원)
3.6. 기타
4. 유의자
- 澉(싱거울/씻을 감)
- 𤄒[⿰氵⿱𥫗閒](씻을 간)
- 摡(씻을 개)
- 捪(씻을 민)
- 𢱮[⿰扌⿱必皿](씻을 밀)
- 挩(씻을 세)
- 涮(씻을 쇄)
- 拭(씻을 식)
- 湔(씻을 전)
- 洮/澡(씻을 조)
- 滌(씻을 척)
- 濯(씻을 탁)
- 盪(씻을 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