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0-10 16:48:28

싱가포르 MRT 동북선

파일:싱가포르 MRT 로고.svg 싱가포르의 MRT·LRT 노선
MRT LRT
파일:SMRT Trains 로고.svg [[싱가포르 MRT 동서선|
EWL
]] 파일:싱가포르 MRT 1호선.svg 파일:싱가포르 MRT 2호선.svg 파일:싱가포르 MRT 3호선.svg
동서선
[[싱가포르 MRT 남북선|
NSL
]] 파일:싱가포르 MRT 4호선.svg 파일:싱가포르 MRT 5호선.svg
남북선
[[싱가포르 LRT 부킷판장선|
BPLRT
]]
부킷판장선
[[싱가포르 MRT 서클선|
CCL
]] 파일:싱가포르 MRT 8호선.svg 파일:싱가포르 MRT 9호선.svg 파일:싱가포르 MRT 10호선.svg
서클선
[[싱가포르 MRT 톰슨-이스트코스트선|
TEL
]] 파일:싱가포르 MRT 13호선.svg 파일:싱가포르 MRT 14호선.svg
톰슨-이스트코스트선
파일:SBS Transit 로고.svg [[싱가포르 MRT 동북선|
NEL
]] 파일:싱가포르 MRT 6호선.svg 파일:싱가포르 MRT 7호선.svg
동북선
[[싱가포르 MRT 다운타운선|
DTL
]] 파일:싱가포르 MRT 11호선.svg 파일:싱가포르 MRT 12호선.svg
다운타운선
[[싱가포르 LRT 셍캉선|
SKLRT
]] 셍캉선
[[싱가포르 LRT 풍골선|
PGLRT
]] 풍골선
미개통
(운영사 미정)
[[싱가포르 MRT 주롱지역선|
JRL
]] 주롱지역선
[[싱가포르 MRT 크로스아일랜드선|
CRL
]] 크로스아일랜드선

파일:싱가포르 MRT 로고.svg
싱가포르 MRT
파일:싱가포르 MRT 6호선.svg 파일:싱가포르 MRT 7호선.svg

North East MRT Line
MRT 동북선
파일:1690463936590.jpg
싱가포르 MRT C851E형 전동차
다국어 노선명
말레이어 Laluan MRT Timur Laut
중국어 东北地铁线
타밀어 வடக்கு கிழக்கு எம்ஆர்டி வழி
노선도
[ 펼치기 · 접기 ]
파일:SG_MRT_NEL_Korean.svg
노선 정보
분류 지하철/MRT
기·종점 하버프론트
풍골
역 수 16
노선기호
개업일 2003년 6월 20일
운영기관 SBS Transit
소유자 Land Transport Authority
사용차량 싱가포르 MRT C751A형 전동차
싱가포르 MRT C751C형 전동차
싱가포르 MRT C851E형 전동차
차량기지 셍캉차량기지
노선 제원
노선연장 20.0 km
구성 노선 싱가포르 MRT 동북선
궤간 1,435㎜
선로구성 전 구간 복선
사용전류 직류 1500V 가공전차선 방식
신호방식 CBTC / ATC / ATO
최고속도 90㎞/h
표정속도 36.4㎞/h
지상구간 전구간 지하
개통연혁 2003.6.20. 하버프론트 ↔ 풍골[A]
2006.1.15. 부앙콕
2011.6.20. 우들리
2024년 12.10 풍골 ↔ 풍골코스트(예정)
풍골 → 하버프론트 운행 영상

1. 개요2. 소개3. 차량4. 노선5. 연장 계획

[clearfix]

1. 개요

MRT 동북선(North East Line)은 싱가포르 MRT의 노선으로, 노선색은 보라색이며, 노선도 상의 종점 식별번호 6번과 7번 기호가 각각 하버프론트역과 풍골역에 배정되어 있다.

싱가포르 남서부의 관광지 겸 항구에 위치한 하버프론트역에서 출발하여 중심가에 위치한 우트램파크, 차이나타운, 그리고 리틀인디아를 지나 동북부의 세랑군, 셍캉 그리고 풍골을 잇는 직선형의 노선이며, 2024년 연중으로 풍골역 너머 북부 해안가의 풍골코스트역까지 연장될 예정이다.

노선 시설 및 차량은 싱가포르 국토교통국(LTA)이 소유하며, 운영, 관리 및 유지보수는 SBS Transit에서 담당하고 있다.

2. 소개

2003년에 개통한 2기 지하철로 기존의 SMRT가 아닌 버스회사 SBS Transit에서 운영하는 지하철이다.[2] 2000년대에 개통된 새천년 지하철답게 최신식으로 역사도 깔끔하고 전동차도 새 것이라는 느낌이 나며 지하구간에서 휴대전화도 잘 터진다. 1기 지하철의 도심 지하구간은 통신사에 따라 지하구간에서 휴대전화가 잘 안 터지는 것과 반대다.[3]

이 노선은 세계 최초로 지하철 부분에서 전 구간 무인운전을 실시하였다. 이후 무인운전은 싱가포르 MRT 2기 전체로 확대되었다.

역 안내 방송이 영어로만 나오는 다른 노선과는 달리 동북선은 영어, 표준 중국어, 말레이어, 타밀어가 순서대로 모두 나온다.

그리고 다른 싱가포르 MRT 노선들이 모두 제3궤조집전식을 채용하는 가운데, 혼자서 가공전차선을 채용한 노선이기도 하다.

대신 역 구내에서의 안내방송은 없는데 이것은 어차피 다른 곳들도 마찬가지다.

차이나타운, 클락키, 리틀 인디아, 하버프론트 등 알짜배기 지역들을 모두 지나간다. 이 노선이 개통되기 전까지 차이나타운은 동서선 우트램 파크와 탄종파가 역에서 짤없이 오래 걸어야 했고, 리틀 인디아도 동서선 부기스와 남북선 도비고트에서 버스로 환승해야 했으며 하버프론트와 클락키는 짤없이 버스로 가야 했으나 이 노선이 개통되자 지하철이 모두 닿아 편리해졌다.

파일:nel19861996.jpg
1984년경에 풍골과 잘란 카유 지역을 가는 노선이 거론될 때 계획되었다.

원래는 세랑군 에서 풍골은 지상 고가구간으로 개통될 예정이었는데 결국에는 지하화돼서 개통되었다.

결국에는 잘란 카유 지선 역시 개통되지 못했으며 플라우 우빈과 플라우 테콩 구간 역시 백지화되었다. 다만 개통되었더라도 플라우 우빈만 민간인이 갈 수 있었을 것이고 풀라우 테콩은 민간인 출입 통제 지역으로 싱가포르 해군 소속 군인 및 군무원만 갈 수 있는 곳이었을 것이다.[4] 플라우 우빈 구간은 아마도 자연 관광 등을 즐기는 사람들이 주로 가는 곳이었을 거다.

원래 1990년대 중~후반에 완공되어야 했으나 여러가지 이유로 2003년에 개통했다.[5][6] 또한 시내와 세랑군 로드 부분이 먼저 개통하고 위쪽의 호우강, 부앙콕, 풍골 구간은 나중에 개통하는 식이었으나 결국 2003년에 전 구간이 일괄 개통되었다.[7] 역시 호우강 이북은 지상구간으로 만들려고 했으나 미래에 이쪽 HDB들의 인구가 급증할 것으로 판단하고 전 구간을 지하 대심도로 파묻어서이다.[8]

대신에 싱가포르 LRT 셍캉선과 풍골선을 고가 경전철로 건설해 HDB단지들과 동북선 역들을 잇는다.

2020년 하루 평균 이용객은 230,852명 정도다.[9]

1990년대까지만 해도 지하철 사각지대이던 곳들을 모두 뚫어주는 아주 편리한 노선이라 인기가 많다. 특히, 싱가포르의 서북쪽 끝과 동남쪽 끝은 이 노선 하나만이 이어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 노선이 생긴 뒤 작은 어촌이던 풍골에 대규모로 HDB가 들어섰고 나대지였던 셍캉, 부앙콕, 호우강, 세랑군 등에도 HDB들이 2004년 이후 쫘악 생겨버렸다. 그리고 리틀 인디아의 접근성이 향상되었다.

서울 수도권으로 치면 사각지대를 직선으로 뚫어주고 동북부 교외 지역에서 시내로 접근할 수 있게 한점에서 보면 서울 지하철 7호선과 유사하다. 그러나 신도시를 지난다는 점을 보면 성남을 가는 서울 지하철 8호선과도 유사한 면이 있다. 7호선 및 8호선 모두 기존의 사각지대를 모두 커버해준다. 거기에 7호선은 의정부, 광명, 부천, 부평 등으로 들어가고 8호선은 성남으로 들어가서 근교와 서울을 직선으로 연결해준다.

이런 면에서는 역시 사각지대를 직선으로 커버해주고 교외인 경산시로 들어가는 대구 도시철도 2호선과도 비슷하다.

3. 차량

파일:C751A-stock-photo-1024x683.jpg 파일:c751c-exterior.jpg
알스톰 메트로폴리스 C751A형 차량, 동북선에 25 편성 운행 중 알스톰제 상하이 알스톰 메트로폴리 C751C형 차량, 동북선에 18 편성 운행 중
파일:1690463936590.jpg
알스톰제 C851E형 차량, 동북선에 6 편성 운행 중

4. 노선

파일:NEL-Split-SM-Up-to-TEL2-01.png
파란 칸은 지상역임을 표시한다.
역번호 한국어 역명 영어/말레이어[A] 역명 중국어 역명 타밀어 역명 환승노선 비고 개통시기
NE1 하버프론트 HarbourFront 港湾 துறைமுகம்
동북선 개통
(2003.6.20)
NE3 우트램파크 Outram Park 欧南园 ஊட்ரம் பார்க்
NE4 차이나타운 Chinatown 牛车水 சைனாடவுன்
NE5 클락키 Clarke Quay 克拉码头 கிளார்க் கீ
NE6 도비곳 Dhoby Ghaut 多美歌 தோபி காட்

NE7 리틀인디아 Little India 小印度 லிட்டில் இந்தியா
NE8 파러파크 Farrer Park 花拉公园 ஃபேரர் பார்க்
NE9 분 켕 Boon Keng 文庆 பூன் கெங்
NE10 포통파시르 Potong Pasir 波东巴西 போத்தோங் பாசிர்
NE11 우들리 Woodleigh 兀里 உட் லீ 추가개통
(2011.6.20)
NE12 세랑군 Serangoon 实龙岗 சிராங்கூன்
동북선 개통
(2003.6.20)
NE13 코 반 Kovan 高文 கோவன்
NE14 호우강 Hougang 后港 ஹவ்காங்
[미개통]
NE15 부앙콕 Buangkok 万国 புவாங்கோக் 추가개통
(2006.1.15)
NE16 셍 캉 Sengkang 盛港 செங்காங்
동북선 개통
(2003.6.20)
NE17 풍 골 Punggol 榜鹅 பொங்கோல்
NE18 풍골코스트 Punggol Coast 榜鹅海岸 பொங்கோல் கோஸ்ட் 동북선 연장
(2024년 예정)

5. 연장 계획

2013년 7월에 북쪽 방향으로 풍골역에서 풍골 북부의 풍골해변역 까지의 연장이 발표되었다. 완공은 2024년으로 예정되어있다.


[A] 우들리역, 부앙콕역 제외[2] 한국의 SBS와는 무관하다. 1970년대쯤부터 Singapore Bus Service의 약자인 SBS로 알려졌으니 이쪽이 더 오래된 듯 하다. 원래는 버스회사다.[3] 한국이 유독 IT 강세 국가라 그렇지 다른 나라들은 지하구간에서 휴대전화가 안 터지는 나라가 흔하다. 일본만 해도 구도심 지하구간인 도쿄메트로 긴자선, 마루노우치선 등은 휴대전화가 한국보다 안 터진다. 싱가포르는 그래도 타 영미권 지하철들에 비하면 나은 편인데 런던 지하철이나 뉴욕 지하철은 휴대전화 이용이 끔찍함 그 자체다.[4] 왜냐하면 테콩 섬 전체가 싱가포르 해군이 통제하는 군사기지로 여기에서 기초군사훈련을 실시하는 3군 통합 훈련소가 있어서이다. 사관후보생 양성학교와 부사관후보생 양성학교도 여기에 있다. 플라우 테콩 구간을 계획한 목적이 플라우 테콩에서 근무하는 군인 및 군무원의 출퇴근과 훈련소에 입소하는 훈련병들의 수송을 위한 것이었다.[5] 이는 노선 조정 때문이다. 테콩섬 구간 건설에 있어 국방부와의 협의가 필요했는데 결국 국방부의 반대로 결렬되었고 이후 테콩 연장을 포기하고 전 구간 대심도 지하로 건설하게 된다.[6] 초기 문건에 따르면 1988~9년에 기본 계획 완성 후 1990~1년에 착공해 세부 구간으로 나눠 1996~8년에 거쳐 개통하기로 했으나 여러사정으로 90년대 말에 가서야 착공했다.[7] 처음에는 미리 건설 다 되었고 시운전 운행했기에 이런 식으로 먼저 개통하려 했다. 만약 이렇게 되었다면 2001년이나 2002년에 개업했을 확률이 높다.[8] 기술력이 부족했던 1980년대~1990년대 초에 건설되었던 동서선/남북선 지상구간과 달리 동북선은 1990년대 말에 지어져 대심도 공사를 할 수 있었다.[9] 대구 도시철도 2호선과 거의 같다.[A] 현재 개통한 역 중에는 말레이어 명칭이 따로 있는 역은 단 두개뿐이며, 동북선은 해당사항이 없다.[미개통] CRL(크로스아일랜드선) 미개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