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5-13 18:51:53

신(던전 앤 드래곤 시리즈)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0 != null
,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은}}}}}}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미스타라 캠페인의 NPC}}}에 대한 내용은 [[신(미스타라)]]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신(미스타라)#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신(미스타라)#|]]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미스타라 캠페인의 NPC: }}}[[신(미스타라)]]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신(미스타라)#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신(미스타라)#|]]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1. 개요2. 상세3. 관련 문서

1. 개요

2. 상세

던전 앤 드래곤의 포가튼 렐름 세계관의 신들이 가장 유명하고 영웅들의 이야기만큼 신들끼리 지지고 볶는 이야기도 인기가 많다. 포가튼 렐름의 신들은 세 가지로 분류될 수 있는데,

모든 신들은 디바인 랭크에 따라 준신, 반신, 소신, 중신, 대신과 초월신[4]로 나누어지며 모두 기본적으로 불멸자이고, 자신들의 영역과 신도들에 따라 힘을 얻고 그 영역에 뛰어난 재능을 보이며, 분신인 아바타를 자신의 신성력을 소모해 만들어내 사용할 수 있으며, 급박한 경우에는 아예 자신의 본체인 진신이 직접 강림하기도 한다.[5] 가장 유명한 포가튼 렐름 세계관의 신을 살짝 보자면, 일단 진정으로 전지전능한 신은 Ao 밖에 없다. 가장 먼저 등장한 것은 셀루네이며, 이 두 자매가 치고 박고 싸우면서 떨어져나간 에센스에서 수많은 신들이 생겨났다. 그 밖에는 제르갈 처럼 어디서 왔는지 아무도 모르는(…) 극소수의 신이 있고, 나머지는 필멸자가 여차저차해서 신이 된 경우다.

사실 신이 불멸자라고 하지만, 현재는 딱히 그렇지만도 않다. 타임 오브 트러블 이후 Ao가 정한 규칙에 따라 신의 힘이란 곧 필멸자의 신앙이며, 신앙을 받지 못하는 신은 극도로 약해지고 심지어는 소멸해 버린다.[6] 대신 필멸자들은 신을 믿지 않고 죽으면 영혼이 불신자의 벽(Wall of the Faithless)이라는 곳에 처박혀서 영원히 고통받는다. 다만 4.0판 이후로는 불신자의 벽이 사라져 자신의 가치관에 따라 사후 세계가 정해진다.

아무튼 강해지려면 필멸자의 신앙이 필요하니, 설령 악신이라고 해도 자기 신도에게는 따듯하게 대해… 줘야 할 것 같은데 막상 그렇지 않은 경우가 대부분이다. 필멸자가 신을 진심으로 숭배하고 따르진 않더라도, 그저 ‘신을 두려워하는 것’도 신앙의 일부고 신에게는 힘이 되기 때문이다. 그래서 굳이 신도를 돌봐주지 않더라도, 강대한 포트폴리오를 가지고 흩뿌리는 영향력만으로도 악신들은 살아갈 수 있다.[7] 아무튼 악신들은 가장 독실한 자기 신도에게 조차 잘 대해주기는 커녕 심심하면 토사구팽하며 패악질하기 일쑤다. 대체 왜 섬기는 걸까 자연히 악신의 신도는 대부분 악신의 영향권 아래 있어서 울며 겨자먹기로 섬길 수 밖에 없거나,[8] 신이나 사제의 감언이설에 속아 넘어간 경우가 많다. 그게 아니면 자기 신과 별 다를 바 없는 인간말종(…) 혹은 이 모든 걸 알면서도 진심으로 악신을 숭배하는 미치광이거나.

때문에 신들은 어찌보면 Ao 휘하의 공무원과도 같은 느낌이며, 신들끼리 계략을 짜서 골탕먹이거나 하는 일, 심지어는 다른 신을 죽여버리는 일도 흔하다. 아예 선신들끼리도 서로 죽이는 일도 허다하다.[9] 사실 그 유명한 타임 오브 트러블이 일어나기 전까지는 신들의 분위기도 거의 막장이어서 허구한날 물질계에 아바타를 강림시키거나 초즌을 문자 그대로 양산하여 이리저리 치고 싸우고 서로 신자들을 관리하는 것보다 지들 이득을 위해 애초에 Ao가 정한 신들은 자신들의 권리에만 관여할 수 있다 라는 룰을 어기며 개판을 쳐놓았지만 Ao가 그들에게 자신의 말에 개기면 어떻게 되는지 그리고 자신의 임무를 충실히하지 않은 신은 어떻게 되는지를 보여주기 위해 신들을 필멸자로 몰락시키기도 했다. 이후 신들은 아바타가 파괴되면 그 신성력 역시 파괴되기 때문에 웬만하면 자신의 영역 밖에 있는 일들을 간섭하지 않고 특별한 일이 있지 않는 이상은 아바타를 보내지도 않으며 거의 무정할 정도로 자신의 영역이 아닌 것에는 간섭하지 않는다. 다만 여전히 힘을 키우기 위해 다른 신의 영역을 뺏기 위한 모습은 자주 보인다. 아바타 트릴로지에서 미스트라가 말하길 몇몇 신들을 제외한 대부분의 신들은 오직 자신의 영역만에 몰두하며 마치 정신을 잃어가고 인간미를 잃어가며 기계처럼 변한다고 하고 미스트라 본인 역시 이런 진실을 알고 있는 자신들 역시 언젠가 미치지 않을지 걱정을 했다.

기본적으로 신들은 상대방 신과 전면전을 피하는 편이며[10] 물질계에 함부로 간섭할 수 없는 것도 그런 원리. 더불어 아무리 악행을 하더라도 그게 그 신의 영역이라면[11] 문자 그대로 세상을 뒤흔들지 않는 이상 신들이 직접 나서서 제재할 수는 없다. 물론 주문 역병의 원인을 일으킨 시어릭을 퇴치해 신들이 연합한 것이나 과거 오크 신들이 깽판을 칠때 엘프 신들이 단체로 전투를 벌인 역사가 있듯이, 자기 포트폴리오를 벗어나 차원우주 전체를 개판으로 만들려 들면 신들이 직접 나서는 경우도 종종 있다. 그에 비해 그레이호크 세계관에서는 좀 더 메마른 분위기로, 이우즈라든가 타리즈던 같은 거대 악에 맞서는 이야기가 좀 더 중심이 된다.

그 외에 멀홀란드 만신전 같은 것도 있지만 4th에서는 비슷한 영역의 신들이 대거 정리되었다. [12] 그리고 이는 4판 평가를 떨어뜨리는대에 큰 역할을 하면서 5판에선 대부분 복귀했다. 심지어 오래 전에 죽은 바알까지 돌아왔다.

신격들의 목록은 만신전(던전 앤 드래곤 시리즈) 문서 참고.

3. 관련 문서



[1] 예를 들어 머큘, 베인, 바알.[2] 예를 들어 오르커스.[3] 그러나 신을 죽인다고 해서 반드시 그 신격을 이어받는 것은 아니며, 그 신격의 계승에 대한 우선권 같은 것이 있을 뿐더러 신격과의 어떤 연관성 같은 것이 없다면 신성을 취득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에픽 레벨의 모험가들이 일부 약한 신격을 죽여서 신성을 먹는다면 디바인랭크 0의 준신 정도가 된다. 그 뒤엔 자신을 섬기는 신도들이 생기고 다른 신의 인도로 신의 영역에 이르게 된다. 욕심내서 과도하게 먹는 순간 터져 죽는다. 이렇게 죽은 유명한 사례가 바로 카서스다.[4] 물론 공식적으로 디바인 랭크 21 이상의 초월신으로 분류된 것은 포가튼 렐름Ao뿐이며 애초에 AO는 다른 신격들과는 격이 다른 진정한 절대신이다.[5] 다만 이때 진신이 파괴되면 신 역시 상처를 입어도 치료할 수 없고 죽기에 진짜 급박한 경우가 아니면 피하는 경우가 많다.[6] 다만 ‘태어날 때부터 신이었던’ 신들은 이 규칙에서 다소간 자유로운 듯 하다. 대표적으로 제르갈은 가지고 있던 포트폴리오를 거의 처분해버리고 ‘망자들의 기록’, ‘장례’와 같은 소박한 포트폴리오만 가지고 있어 필멸자들에게서는 거의 잊혀지다시피 했는데도 반신 지위를 멀쩡히 유지하고 있다.[7] 예를 들어 머큘은 신도를 관리하기는 커녕 제대로 조직화 된 교단조차 없는 신이었지만, 필멸자라면 두려워하지 않을 수 없는 죽음이란 포트폴리오를 가졌기에 대신격이 될 수 있었다. 물론 지금은 신세 망치고 준신으로 굴러 떨어졌지만[8] 바다의 여신인 움버리와 겨울의 여신인 아우릴이 대표적이다. 이 두 여신은 아주 흉포하고 무자비하지만, 눈보라가 몰아치는 북부에 사는 사람이나 어업 또는 무역업에 종사하는 사람은 재앙을 피하기 위해서라도 이들을 섬길 수 밖에 없다.[9] 예를 들어 헬름을 죽인 티르.[10] 피해도 피해이거니와 만약 신들이 격돌해 문제가 생기면 악신과 선신들이 손잡고 문제를 일으킨 신을 재판장에 부른다, 과거 미스트라와 시어릭이 다투어 이렇게 불려온적도 있었다.[11] 살인의 신이 누군가를 죽이는 것, 기만의 신이 거짓말을 하는 것, 질병의 신이 역병을 퍼트리는 것 등은 다 필멸자들에겐 민폐가 따로 없는 짓이지만, 신들 입장에선 자기 할 일을 하는 것이기에 문제를 삼을 수가 없다.[12] 예를 들어 탈로스는 아예 그룸쉬의 분신으로 통합되었고 미스트라에일리스트레이 같은 신들은 아예 살해당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