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9-01 16:27:58

신산축

<colcolor=#fff><colbgcolor=#0047a0> 본명 신윤식(申潤植)
덕휘(德輝)
출생 1907년 8월 2일
경상북도 의성군 산운면 개일동
(현 경상북도 의성군 금성면 개일리 갑장골마을)[1]
사망 1939년 3월 25일[2] (향년 31세)
일본 제국 나고야시
본관 아주 신씨[3]
묘소 경상북도 의성군 금성면 개일리
상훈 건국훈장 애국장

1. 개요2. 생애

1. 개요

대한민국독립유공자. 1990년 건국훈장 애국장을 추서받았다.

독립유공자 신진현은 그의 7촌 재종질(再從姪)이다.

2. 생애

신산축은 1907년 8월 2일 경상북도 의성군 산운면 개일동(현 의성군 금성면 개일리 갑장골마을)에서 아버지 신한주(申漢柱, 1876 ~ 1953. 1. 19)와 어머니 영천 이씨(永川 李氏) 이유재(李柳在)의 딸 사이의 3남 2녀 중 장남으로 태어났다.[4]

그는 1932년 5월 17일 일본 아이치현에서 문화보급회를 조직하여 한국인 노동자의 권익보호활동 및 민족의식 고양을 위한 계몽활동을 하였으며, 1933년 6월경에는 나고야부 노리타케정(則武町)에 거주하면서 나고야에도 문화보급회를 조직하여 항일투쟁을 계속하던 중 1938년 12월 5일 일본 경찰에 체포되었다.

그는 1939년 2월 12일 나고야지방재판소에서 징역 3년 6개월형을 선고받고 공소하였으나, 도중에 잔혹한 고문의 여독으로 같은 해 3월 25일 옥중에서 순국하였다.

1983년 대한민국 정부로부터 건국포장이 추서되었으며, 1990년 건국훈장 애국장이 추서되었다.


[1] 인근의 도경리·하리와 함께 아주 신씨 집성촌이다. 독립유공자 신진현도 이 마을 출신이다.[2] 아주신씨 인터넷족보에는 1935년 2월 4일에 사망한 것으로 등재되어 있다.[3] 판관공파 22세 식(植) 항렬.[4] 어머니 영천 이씨는 아버지의 둘째 부인이며, 첫째 부인 창녕 성씨 성인식(成仁植)의 딸은 1879년 부용당 성안의(芙蓉堂 成安義)의 후손으로 태어나 자식을 낳지 못하고 1899년 12월 29일 사망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