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letter-spacing: -1px" | 남자중학교 , 여자중학교 , 이외 남녀공학 | ||||
감포중학교 | 경주여자중학교 | 경주중학교 | 계림중학교 | 근화여자중학교 | |
무산중학교 | 문화중학교 | 불국중학교 | 산내중학교 | 서라벌여자중학교 | |
선덕여자중학교 | 신라중학교 | 아화중학교 | 안강여자중학교 | 안강중학교 | |
양남중학교 | 양북중학교 | 외동중학교 | 월성중학교 | 화랑중학교 |
}}}}}}}}} ||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
학교 틀 둘러보기 |
신라중학교 新羅中學校 Silla Middle School | |
| |
<colbgcolor=#f05650> 개교 | 1954년 5월 17일 |
유형 | 일반계 중학교 |
성별 | 남학교 |
형태 | 공립[1] |
교장 | 김우진 |
학생 수 | 520명 (2025년 기준) |
관할청 | 경상북도경주교육지원청 |
소재지 | 경상북도 경주시 알천북로 143[2] |
웹사이트 | |
1. 개요
|
신라중학교의 슬로건 |
2. 연혁
<colbgcolor=greenyellow>1954.05.17 | 학교설립인가 (9학급) |
1995.10.17 | 체육관 준공(1333.5㎡) |
1995.12.11 | 영재교육연구학교 우수교 표창(교육부장관) |
1998.12.24 | 생활지도 우수교 표창(교육감) |
1999.10.28 | 과학교육 시범학교 운영(도교육청 지정) |
1999.12.09 | 학교 보건관리 최우수교 표창(교육감) |
2007.11.23 | 알천도서관 개관 |
2008.11.09 | 경주교육청부설 수학영재센터 개관 |
2009.01.07 | 학교평가 전국 우수교(교육과학기술부장관) |
2009.02.28 | 영어전용교실, 역사자료관 개관 |
2009.03.01 | 영재교육 시범학교 (도교육청 지정) |
2009.06.03 | 준법실천 우수학교 표창(대구지방검찰청) |
2009.12.15 | 학교체육활동 최우수교(경상북도교육감) |
2010.02.20 | 에듀탑 공모 우수상(경상북도교육감) |
2011.03.01 | 도교육청 학교도서관 시범학교지정 |
2014.01.02 | 학교자치순찰제우수학교(경상북도교육감) |
2014.01.06 | 바른인성교육실천최우수교(경상북도교육감) |
2020.03.01 | 제28대 김덕일 교장 취임 |
2021.02.05 | 제65회 졸업식(졸업생 137명) *총 졸업생수: 23,881명 |
2021.03.02 | 제68회 입학식(입학생 149명) |
2022.03.01 | 제29대 손석락 교장 취임 |
2024.02.08 | 제68회 졸업식(졸업생 157명) *총 졸업생 수(24,408명) |
2024.03.04 | 제71회 입학식(입학생 176명) |
2025.02.07 | 제69회 졸업식(졸업생 130명) *총 졸업생 수(24,538명) |
2025.03.01 | 제30대 김우진 교장 취임 |
2025.03.04 | 제72회 입학식(입학생 167명) |
3. 학교장 인사말
신라중학교 홈페이지에 방문을 진심으로 환영합니다. 우리 신라중학교는 1954년에 개교하여 약 70년의 역사와 전통을 가진 지역에서 이름난 학교로서 현재까지 2만4천 5백여 명의 인재를 배출하였습니다. 잘 아시다시피 로봇, 인공지능, 사물 인터넷, 빅데이터, 모바일 등 첨단 기술이 혁신적인 변화를 예고하는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아 이 사회는 새로운 인재를 요구하고 있습니다. 경주 지역의 선조들이 삼국을 통일하는 대업을 이룩하였듯이, 우리 신라중학교 학생들은 21세기의 새 화랑이 되어 새로운 시대의 새로운 세계를 선도해 나가야 할 책임과 의무를 가지고 있습니다. 우리 학교의 전체 교직원은 한마음 한뜻으로 힘을 모아, 우리 학교 학생들이 21세기 첨단 기술 시대를 이끌어나가는 새 화랑이 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을 약속드립니다. 아울러, 우리 학생들이 튼튼한 체력과 따뜻한 성품을 가진 건강한 인격체로 성숙해 나가도록 지도할 것과 학생, 학부모, 교직원이 삼위일체가 되어 즐거운 학교를 만들어 나갈 것을 약속드립니다. |
신라중학교 교직원일동 2025/03/04 |
4. 학교 상징
4.1. 교표
|
4.2. 교훈
신라중학교의 교훈 |
- 배움은 알차게 행동은 바르게
4.3. 교화
|
- 매화
4.4. 교목
|
- 느티나무. 이 탓인지 학교에 '느티'라는 이름이 붙는 시설이 많다. 급식실 '느티나루관', 교육복지실 '느티햇살반' 등등. 원래 교목은 히말라야시다었다. 지금도 학교 입구의 몇 그루가 있다.
4.5. 교가
작사:박종우 | 작곡:권태호 |
겨-레의 뜻대로 임-금을 뽑고자 [3]
여섯마을 사람이 모-였던 자-리
그-알천냇가에 터-전한 우리
소금강병풍[4]-으-로 둘러서있는-
신라 신라 대신라 이름 그대로
빛나-라 실하거라 아름답거라
찬연-한영-광의 신라중학교
여섯마을 사람이 모-였던 자-리
그-알천냇가에 터-전한 우리
소금강병풍[4]-으-로 둘러서있는-
신라 신라 대신라 이름 그대로
빛나-라 실하거라 아름답거라
찬연-한영-광의 신라중학교
5. 학급현황
인가 학급은 22학급, 일반 학급 20학급, 특수 학급이 2학급이다.6. 학교 특징
6.1. 시간표
월 | 화 | 수 | 목 | 금 | |
~ 08:30 | 등교 |
6.2. 징계 기준
|
신라중학교 징계 기준 |
2024. 8. 13.에 만들어졌으며 2025년 3월 기준 현재까지 사용되고 있다.
여담으로 신라중학교에선 만약 학폭이 터질시 그 기록을 대학교 입시떄까지 남도록 설정하였다.[5]
7. 특징
일제에 의하여 강제로 공립화 되었다가 다시 수봉 재단에 환원된 경주중을 제외하고는 경주시 최초의 공립 남중이다. 바로 뒤에 서라벌여자중학교가 붙어있는데, 이는 1980년이 되어서야 개교하였다.
8. 시설
|
신라중 구조 |
4층짜리 본동과 급식실(3층은 태권도실), 강당, 골프장(舊, 헬스장), 기타 창고 등의 건물이 있고, 테니스 및 배드민턴장, 운동장과 우레탄 트랙 등이 있다. 교문은 두 개로 알천과 마주보는 정문, 학교 동편의 후문이 있다.
또한 신라중학교는 학년별 층 규정을 만들었는데 2층에는 1학년이 있고 3층에서 2학년이 있고 4층엔 3학년이 있다. 또한 신라중학교의 규칙으로 인해 2,3학년이 2층에 방문할 경우[6] 벌점을 부여한다.
또한 신라중학교는 학년별 층 규정을 만들었는데 2층에는 1학년이 있고 3층에서 2학년이 있고 4층엔 3학년이 있다. 또한 신라중학교의 규칙으로 인해 2,3학년이 2층에 방문할 경우[6] 벌점을 부여한다.
9. 행사
- 축제는 알천 축제라는 명칭으로 존재한다. 여타 축제와 같이 12월 말에 진행한다.
- 체육대회는 특이하게 축구 리그[7]로 진행한다. 황성공원 구장을 빌려 하루종일 진행하는데, 2022년부터는 오랜만에 체육대회를 한 것도 있고 해서 축구대회는 따로 2회 하고 일반적인 체육대회를 했다.
10. 대중교통
정류장 목록은 학교에서 가까운 순서대로이다. 경주교·신라중학교(세무서/경주고용센터 방면) 정류장에는 60번, 70번[8], 1000번을 제외한 북천 이북지역으로 가는 모든 차량이 정차한다[9][10]. 참고로 상하행이 구별되지 않고 적혀있다.
정류소 명칭 | 노선 번호 |
경주교·신라중학교(세무서/경주고용센터 방면, 우선 양측 비분리하여 기록) | 12, 30, 31, 40, 41, 50, 51, 200, 201, 202, 203, 205, 경주 버스 206, 207, 208, 210, 212, 212, 216, 217, 230, 231, 232, 234, 260, 270, 271, 경주 버스 272, 273, 275, 277, 300, 300-1, 300-2, 301, 302, 304, 305, 310, 333, 337, 338 |
경주교·신라중학교(동보아파트 건너 방면) | 60, 70 |
11. 출신인물
12. 사건 사고
12.1. 신라중학교 연속 방화사건
| |
신라중학교 1시 35분 옥상 방화 사건 | 신라중학교 3시 52분 가정실 방화 사건 |
2024년 3월 22일 오후 1시 35분 옥상 마감재 판넬 구조물에서 불이 났다. 그러나 진짜 사건은 3시 52분쯤 가정실에 한번더 화재가 났다. 가정실의 반이 불에 탔고, 결국 학교에서는 이 사건의 진상규명을 시도했다.
처음에는 진상규명이 안되었으나 오랜 시간이 지난뒤 밝혀졌다. 진실은 철이 없던 15~16세 학생 두명이 에프킬라와 라이터를 든뒤 선생님들 몰래 재미로 체육관 근처에서 방화를 하다 건물과 연결되어 있던 한 구조물에 불이 붙었고 결국 판넬 구조물로 된 옥상 마감재와 가정실에 불이 번졌다...
이후 이사건으로 화가났던 학교에서는 그 학생을 강하게 징계처분을 내렸으며
이후 학교에서 라이터나 토치가 보일시 바로 선도위원회로 이송된다. [11]
13. 기타
- 학교 곳곳에 신라시대의 것으로 보이는 주춧돌이 보인다.
- 바로 옆에 경주시 청소년 수련관이 있으며, 황성공원이 있다.
- 학교 정문에서 건너는 횡단보도는 위험하므로 조심해서 건너도록 하자.
- 경주에서 인구가 가장 많은 동네인 황성동과 동천동의 경계에 있는데, 숲으로 둘러싸여 있으며 동쪽의 골목 하나만 지나면 바로 큰 도로이고, 남쪽도 큰 도로와 접하므로, 학교가 있는 주변의 300여 제곱미터는 건물은 거의 없으며, 서라벌여중 쪽에 있는 고성마을[12] 외에는 주거지가 거의 없으나... 학교에서 동쪽으로 1분만 가면 경주 최대의 도로인 원화로와 아파트 단지가 나온다. 이 잉여지(剩餘地)에는 학교 서편으로 정말 존재감 없는 밭이 있다.
- 상술한 이유로 원화로를 통해 하교하다 보면 시청입구 삼거리부터 시립도서관까지는 왼편에는 나무가 자라는 공원과 숲이 있는데, 오른편에는 대규모 아파트 단지가 있는 괴현상이 일어난다. 그 이유는 황성공원은 옛날 신라시대부터 있던 숲인 '논호림(論虎林)'을 가꾼 것이기 때문이다.
- 학년을 구별하는 법은 마이의 명찰 또는 체육복의 교표를 보면 된다. 2025학년 기준으로 1학년은 노랑, 2학년은 초록, 3학년은 청색 인데, 마이 명찰이나 체육복 교표가 해당 색으로 되어있다.
- 학교를 마치고 50번 버스를 타기 위하여 뛰어가는 학생이 많이 있다.
- 2022년 생활복이 새로 나오면서 1학년 학생들은 대부분이 하복 대신 생활복을 입으며, 하복을 입는 1학년생은 찾아보기 매우 어려워졌다.
- 서라벌여자중학교와 연결되는 문이 있다. 창문을 통해 서라벌여자중학교를 볼수 있는데 가끔 일부 학생들이 서라벌여중을 향해 소리를 지르기도 한다.
- 출신 인물로는 마이너 리뷰 갤러리가 있다. 학창시절 썰을 풀 때 종종 안 좋은 방향으로 언급된다.
- 급식실을 나와서 오른쪽으로 지나가면 돌탑 이 쌓여있다.
[1] 과거에는 사립이었다.[2] 황성동 1053-18[3] 신라의 건국 과정이나 국가의 중요한 결정을 내리기 위해 사람들이 모였던 것을 의미 특히 신라의 건국 신화나 초기 역사를 암시함.[4] 소금강은 아름다운 산세나 자연을 의미로 신라의 터전의 아름다움을 얘기함.[5] 처음에는 교육청에서 반대를 하였다 하지만 여러 사건사고가 터진뒤부터 허용을 하고 있다.[6] 본교무실 방문 제외[7] 시간 차이로 사실상 승부차기로만 진행된다.[8] 이 둘은 북천철교 옆에 정차한다.[9] 현곡, 안강, 강동, 천북, 용강행[10] 경주 시내버스의 1/3 이상이다.[11] 신라중의 선도부 선생님에 따르면 신라중에서는 라이터 소지를 사건이후 강하게 보기에 라이터를 소지한것을 걸릴시 고등학교 입시에 문제를 생기도록 한다고 한다.[12] 주변의 김유신 장군 동상이 있는 언덕은 사실 '독산'이라는 높이 30여 미터의 산인데, 신라시대부터 주변에 고성(古城)이 있었으므로 붙은 이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