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먹보를 뜻하는 식신(食神) 이외의 다른 의미}}}에 대한 내용은 [[식신(동음이의어)]]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식신(동음이의어)#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식신(동음이의어)#|]]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먹보를 뜻하는 식신(食神) 이외의 다른 의미: }}}[[식신(동음이의어)]]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식신(동음이의어)#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식신(동음이의어)#|]]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1. 개요
食神 / Big eater먹보의 또 다른 시쳇말로 엄청난 양의 음식물을 섭취할 수 있는 능력을 소유한 자. 이런 능력을 직업으로 삼으면 푸드파이터며 이름의 유래는 동명의 영화 제목에서 따 온 것으로 보인다.
2. 상세
사실 이 뜻을 드러내는 말로 아귀라는 말이 이전부터 있었지만, 최근에 와서 식신에 먹힌 듯하다. 아귀는 한자표기인 餓鬼에서도 나오듯 굶주린 귀신이지만[1], 식신은 굶주림 속성이 없거나 덜하다는 것. 아무래도 아귀의 '귀(鬼)' 자가 식신의 '신(神)' 자보다 부정적인 이미지가 강하기 때문에 모욕적인 어구로 쓰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아귀처럼 먹는다면 며칠 굶어 허겁지겁 먹는다는 이미지다. 먹는 모양을 표현하는 다른 말 중 '처묵처묵'이 '식신'과 대응된다면, '우걱우걱'이나 '꾸역꾸역', '아귀아귀'[2] 등이 '아귀'와 대응될 듯하다.한국에서도 영웅호색이라는 말이 있지만, 일본은 거기에 대식(大食)까지 첨가한다. 그래서 일본의 대중매체에서도 주인공은 대식가인 경우가 많다. 특히 점프계 소년만화에서는 특히 많이 사용되는 캐릭터 속성이다. 드래곤볼의 손오공, 원피스의 루피 등 영웅호색이라도 대중매체에서 성인물이 아닌 이상 호색 부분은 묘사할 수 없으니, 영웅적인 특성으로 대식 묘사를 한다고.한국 역시 대식이 영웅호걸 정도는 아니지만, 장사의 징표 정도로는 여겨진다. 김구의 백범일지에 밥 7그릇(조선시대의 놋밥그릇 기준)을 먹고 장사 소리를 들었다는 대목이 나온다. 쓰치다 앞에서 허세를 부리기 위한 말이었고, 실제로는 2그릇 먹으니까 배터져 죽을 듯해서 왜놈의 피를 실컷 먹어서 밥이 들어가지 않는다는 핑계를 대서 밥상을 물렸다고 한다.
이는 중국도 마찬가지인지라 염파만 해도 자신의 기운이 쇠하지 않았음을 증명하기 위해서 엄청난 양의 밥과 고기를 먹어치웠고, 삼국지나 수호전 등등에서도 힘 좀 쓰는 호걸이면 보통사람의 대여섯배를 먹어대는 것이 기본이다. 이럴 경우, 한 말의 밥과 열 근의 고기가 기본이다. 프랑스에서도 가르강튀아와 판타그뤼엘에서 미친 듯이 먹는 모습이 나왔고, 북유럽 신화의 천둥신 토르 역시 대식가에 술고래로 묘사되는 것처럼 만국 공통이라 할 수 있다.
보통 재물과 의식을 관리하는 신이라고 해서 사주에서는 재력에 관한 지표로 쓰인다고 한다.
3. 식신 캐릭터의 특징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먹보#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먹보#|]][[먹보#|]] 부분을
참고하십시오.[1] 이는 일본어로 '가키'라고 발음하는데, 이 말은 '꼬마 녀석'이란 뜻으로 바뀌었는데, 실제로는 '애새끼' 정도 되는 부정적인 어감이나 느낌으로 통한다.[2] 보통 '와구와구'가 더 널리 쓰이는데 표준어는 '아귀아귀'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