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문서는 현재 운행이 중단된 노선을 다룹니다.
이 문서에서 서술하는 도로, 철도, 버스, 항공, 선박 등의 노선은 현재 무기한 또는 특정 기간에 한하여 운행이 중단되었습니다.
이 문서에서 서술하는 도로, 철도, 버스, 항공, 선박 등의 노선은 현재 무기한 또는 특정 기간에 한하여 운행이 중단되었습니다.
|
1. 개요
부평역에서 부천, 시흥을 거쳐 안산터미널까지 운행하는 시외버스 노선.2. 노선 정보
| |||||
| |||||
기점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성포동(안산버스터미널) | 종점 | 인천광역시 부평구 부평동(부평역) | ||
종점행 | 첫차 | 09:10 | 기점행 | 첫차 | 06:00 |
막차 | 21:00 | 막차 | 17:45 | ||
운수사명 | 선진고속 | 배차간격 | 1일 3회 | ||
노선 | 안산터미널 - 상록수역 - 한양대입구 - 스타프라자(성포주공4단지) - 안산시청 - 라성호텔 - 안산역 - 시흥관광호텔 - 이마트 시화점 - 계룡1차(주공5단지) - 삼성한신아파트 - 모아아파트 - 월곶 - 시흥ABC행복학습타운 - 복사초등학교 - 소사종합시장 - (→ 부천역남부광장 →/← 자유시장 ←) - 일신동주민센터 - 부평6동우체국 - 부평역 |
3. 역사
- 원래 노선 번호 없이 운행했으나, 2008년에 태화상운에서 편의를 위하여 임의로 737번이라는 번호를 붙였다.[1]
- 2012년에 시외버스가 GBIS에 등록되며 어플에서 조회할 수 있게 되었다.
- 2019년 3월 1일 첫차부터 시외버스 요금이 최대 20% 상승했는데, 이로 인해 이 노선의 요금도 상당히 부담될 정도로 올랐다. 수원버스터미널에서 부평역까지의 요금이 7,500원, 수원역에서 안산역 까지의 요금이 3,400원으로 기존보다 대폭 상승했다.
- 운행중단 이후 2022년 10월 기준, 기점이 안산터미널로 단축되었다. 관련 게시물
- 결국 2024년 6월 21일부로 GBIS에서도 삭제되었다. 다만 인가 자체는 아직 살아있어서 공식적으로는 운행사원 부족 및 경영난을 이유로 업체 측이 계속 운송개시를 미루는 상태이다.
4. 특징
- 실질적 수요는 모두 구간 수요이다. 인천에서 안산으로 갈 때 고속도로를 경유하지 않고 시흥시, 부천시를 모두 거쳐서 시간이 오래 걸리기 때문. 갈아탈 필요 없이 한 번에 갈 수 있다는 장점이 있긴 하지만 그 장점이 실감나지 않을 정도로 너무 오래 걸린다. 수인로 인근에 살지 않는 주민들이 안산시에서 인천광역시로 가는 수요도 있다.
- 4호선과 수인선, 서해선이 개통하고, 급행열차도 생긴 지금 안산에서 인천으로 가려는 사람들에게는 더이상 필수적인 노선도 아니다. 물론 목적지에 따라 환승해야 하지만 전철이 요금도 저렴하고 소요시간도 빠르기 때문. 선진고속에서도 4호선 및 수인선, 서해선과의 경쟁을 의식하는지 737번에는 비교적 불친절한 기사들이 없으며 최대한 정속으로 주행한다.[2]
- '인천~부천' 구간만 이용하는 경우에는 1,500원이다. 경인로에야 당연히 1호선을 타는 게 더 빠르지만, 소사동에서 부평역 방면으로 갈 경우 사실상 시내버스 요금에 갈 수 있는 이 노선이 아주 편리하다. 소사역부터 같은 경로를 달리는 88번을 타면 1,450원이니 차이가 거의 없다. 물론 환승할인이 되지 않으므로 시외버스 정류장 인근에 일이 있을 때만 타는 게 좋다. 부천역 인근은 상습 정체구간이기 때문에 빠르게 가려는 생각은 접어야 하며 앉아서 간다는 것에 의미를 두고 이용하자.
- '부천~시흥' 구간의 수요도 꽤 있는 편이다. 월곶 지역은 현재 버스로 한번에 갈 수 있는 방법이 없고[3] 환승해서 가면 상당히 시간이 오래 걸리지만, 737번은 길이 막히지 않는다면 30분 정도. 요금도 1,800원으로 저렴한 편이다. 시화산단에서도 많이 이용하는 노선이며, 신천동 및 부천으로 가는 시내버스의 소요 시간이 짧지 않기 때문에 737번을 많이 이용한다.
- 부평역지하상가 출구 대중교통 표지판에서는 아직도 인천 버스 904번, 인천 버스 904-1번과 같이 표기되고 있다.
5. 대체 노선
해당 노선의 경로와 전구간 유사한 선형의 버스는 존재하지 않는다. 다만 구간마다 유사 선형의 노선은 있다.6. 연계 철도역
수도권 전철 1호선: 부천역, 중동역, 부평역
수도권 전철 4호선: 상록수역, 안산역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안산역
수도권 전철 서해선: 소새울역
인천 도시철도 1호선: 부평역
[1] 번호를 정하는 규칙이 있는 것 같다. 7#7번 꼴이 그 중 하나인데 707번, 구 717, 727번, 737번이 이에 해당한다.[2] 사실 2012년 11월에 발생한 동사의 707번의 사고를 계기로 태화상운의 모든 노선들이 그나마 정속으로 주행하는 편이다. 물론 과속하거나 불친절한 기사들도 여전히 많다.[3] 시흥 63번이 원래 부천시를 경유했지만 서해선 개통으로 포동으로 단축되어 버렸다.[A] 소래포구의 소래가 아니다.[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