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12px -0px" | <tablebordercolor=#610051> | }}} | ||
{{{#!wiki style="color: #f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우쿄구 | 가미교구 | 키타구 | 사쿄구 |
시모교구 | 시청 나카교구 | 니시쿄구 |
||<tablewidth=100%><tablecolor=#000,#fff><tablebgcolor=#fff,#1f2023><width=33.33%> 후시미구 ||<width=33.33%> 미나미구 ||<width=33.33%> 야마시나구 ||
}}}}}}}}} || しもぎょうく 下京区 시모교구 / Shimogyō Ward | |||||
기본 정보 | |||||
국가 | 일본 | ||||
지방 | 간사이 | ||||
도도부현 | 교토부 | ||||
시정촌 | 교토시 | ||||
면적 | 6.78km² | ||||
인구 | 82,125명[1] | ||||
인구밀도 | 12,113명/km2 |
1. 개요
일본 교토부 교토시의 구이다. 시모교구의 대표적인 랜드마크로는 교토시의 관문인 교토역과 최대 번화가인 시조 가와라마치가 있다.2. 역사
2.1. 중세
헤이안 시대 말기 교토[2]의 남쪽을 하변, 북쪽을 상변이라 부르게 된다. 이후에 각각 하경과 상경이 되었다. 하경과 상경의 경계는 대체로 니조도리였다. 상경에는 교토 부자들이 모여 살았던 반면, 하경은 상업지구와 서민들의 마을이었다.2.2. 근대
- 메이지 시대 1868년~1869년[3] -하경을 하대조, 상경을 상대조라 한다. 1869년[4] 하대조와 상대조의 경계를 니조도리에서 산조도리로 변경하고 하경에 32번조[5]가 성립한다.
1879년[6] 4월 10일 군구정촌편제법에 의해 교토부에 시모교구가 설치된다.
1889년[7] 4월 1일 가미교구와 시모교구를 시역으로 하는 시제 시행에 의해, 교토시가 발족되고 가미교구와 시모교구는 모두 교토시의 행정구가 된다.
1929년[8] 4월 1일 가미교구와 시모교구의 2개구에서 사쿄구, 주쿄구, 히가시야마구가 분구되었다.
2.3. 현재
1955년[9] 9월 1일 시모교구로부터 미나미구가 분구된다.3. 교통
3.1. 철도
시모교구의 철도역 | ||
철도회사 | 노선 | 역 |
JR 서일본 | | 교토역 |
| 교토역 - 우메코지쿄토니시역 - 탄바구치역 | |
교토시 교통국 | | 시조역 - 고조역 - 교토역 |
킨키 일본 철도 | | 교토역 |
한큐 전철 | | 카라스마역 - 교토카와라마치역 |
케이후쿠 전기철도 | | 시조오미야역 |
※ 굵게 표시 된 역은 환승이 가능한, 사실상 같은 곳이다. |
3.2. 도로
- 국도1호
- 국도367호
4. 관광
교토시 최대 번화가인 시조 가와라마치가 있다. 번화가 답게, 에디온과 같은 전자기기 판매점, 다이마루 백화점 같은 각종 백화점과 각종 명품 매장이 이곳에 입점해 있으며, 애플 스토어도 시조 가와라마치 내에 존재한다.[10] 또한, 교토역에서 바로 나오면 교토시의 랜드마크인 교토 타워가 있고, 요도바시 카메라도 교토역 인근에 입점해 있다.5. 교육
- 류코쿠대학 오미야캠퍼스가 이곳에 있다.
6. 출신인물
[1] 추계인구 2022년 4월 1일 기준[2] 平安京[3] 메이지 원년 11월[4] 메이지 2년[5] 현재의 원학군[6] 메이지 12년[7] 메이지 22년[8] 쇼와 4년[9] 쇼와 30년[10] Apple Kyo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