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06 19:13:52

SFF 마이너 갤러리

슾갤에서 넘어옴
[[디시인사이드|
파일:디시인사이드 로고 닷컴포함 흰색.svg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edf1ff,#4a56a8><colcolor=#4a56a8,#fff> 파일:디시콘 아이콘.svg
관련 문서
<colcolor=#373a3c,#dddddd><colbgcolor=#fff,#1c1d1f>역사 · 성향 · 문제점 (운영, 시스템의 문제이용자의 문제) · 사건·사고 () · 문화 및 유행어 · vs 타 커뮤니티 (vs 루리웹 · 근첩 · 네덕) · 디시질 · 김유식 · 갤러 (목록 · 고정닉 · 꾸준글 · 유동닉 · 통신사 IP) · 정모 관련 괴담 · 디부심 · 갤기장
파일:디시인사이드 갤로그 아이콘.svg
서비스
갤러리 (문서 有 · 문서 無) · 마이너 갤러리 (문제점 · 문서 有 · 문서 無 · 승격됨) · 미니 갤러리 (목록) · 인물 갤러리 · 디시콘 · 디시위키 · 디시게임 · 디시뉴스 · 갤로그 · 보이스 리플 · 댓글돌이 · 소프트웨어 (클리너)
파생 커뮤니티1 에펨코리아 · 코프리카 · 일베저장소 · 개드립넷 · 메갈리아 · 헬조선닷컴 · 워마드 · 해연갤 · 아카라이브 · 투디갤 · 어둠의 노사모 재단
갤러리
파일:디시콘 아이콘.svg
관련 문서 및 틀
개념글 · 실시간 베스트 (초개념 · 이슈줌 · 실베 라이트 · 실베 나이트) · 힛갤 · 정치갤 () · 오덕갤 () · 연예갤 ( · 목록) · 드라마갤 · 뒷담갤 · 수험생갤 · 금융갤 · KBO갤 · 대학갤 · 여행갤 · 해축 팀마갤
파일:디시인사이드 갤러리 아이콘.svg
대형 갤러리2
비트코인 · 국내야구 · 만화 · 남자 연예인 · 인터넷방송 · 기타 국내 드라마 · 대출 · 해외축구 · 메이플스토리 ·토토
파일:디시인사이드 갤러리 아이콘.svg
주요 갤러리3
아이돌마스터 · 리그 오브 레전드 · 미스터 트롯 · 걸스플래닛999 · 역학 · 판타지 · 해외야구 · 편의점 · 승리의 여신 니케
파일:디시인사이드 갤러리 아이콘.svg
과거 주요 갤러리1
엽기 · 패션 · 스타크래프트 · 막장 · 코미디 프로그램 · 舊 정치, 사회 · WOW · 북괴도발 · 합성 · 디시 애갤러스 · 태연 · 해외연예 · 겨울왕국 · 무한도전 · 메르스 · 더 지니어스 · 역사 · 프로듀스101 · 舊 주식 · 고전게임 · 수능 · 기타프로그램 · 여자 연예인 · 스트리머
마이너 갤러리
파일:디시인사이드 마이너 갤러리 아이콘.svg
주요 마이너 갤러리4
퓨처스리그 · 토트넘 핫스퍼 · 치지직 · 블루 아카이브 · 한석원 · 중세게임 · 원신 project · 장르소설 ·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앱 · 지하성과 용사 · 스텔라이브
미니 갤러리
파일:미니갤러리 공식 아이콘.png숲 방송 · 숲 인터넷방송 · 이세계아이돌 · 카미시로 병우
1 폐쇄되었거나 글쓰기가 제한된 파생 커뮤니티와 갤러리는 취소선 처리.
2 문서가 있는 갤러리 중 주간 흥한 갤러리 상위 10개
3 문서가 있는 갤러리 중 주간 흥한 갤러리 11~20위
4 문서가 있는 마이너 갤러리 중 흥한 마이너 갤러리 상위 10개
5 문서가 있는 미니 갤러리 중 흥한 미니 갤러리 상위 5개
갤러리 목록 정렬 기준은 기준일 당시 흥한 갤러리 순위.
기준일: 2024년 12월 21일 }}}}}}}}}
SFF 마이너 갤러리
슾갤, SFF갤
주소 파일:디시인사이드 아이콘.svg
종류 디시인사이드 마이너 갤러리
개설 2019년 6월 18일[1]
주제 SFF(SFFPC)
현재 상황 운영 중

1. 개요2. 말머리3. 분위기4. 갤러리 추천 부품
4.1. 파워서플라이4.2. 케이스
5. 여담

[clearfix]

1. 개요

소형 컴퓨터, 즉 SFFPC에 대한 전반적인 지식을 공유하는 갤러리이다.

원래 컴퓨터 관련 갤러리의 본산지는 컴퓨터 본체 갤러리였는데, 일반적인 PC 커뮤니티 유저와 소형 PC를 구축하고자 하는 사람들의 관심영역이 서로 동떨어지는 경향이 있었던 탓에 별도의 마이너 갤러리로 분화되었다. 때문에 컴본갤에서 넘어온 유저도 많은편. 최근에는 대형 테크 유튜버들을 통해 SFF 시스템이 널리 소개되면서 유입이 대폭 증가하여 현재의 규모를 구성하고 있다.

2. 말머리

3. 분위기

거래탭 사용 등을 위해 이용자 대부분이 고정닉으로 활동하고 있다. 아무래도 힙스터 성향의 유저들이 몰려들다보니 컴퓨터에 대한 지식 수준이 상대적으로 높은 편.

소형 컴퓨터가 주제인 만큼 케이스의 체적(리터수)에 아주 민감한데, 10L 이상은 SFF로 취급하지 않는다는 디씨콘도 있을 정도.[3] 물론 위 기준을 그대로 적용하면 고사양 그래픽카드(특히 RTX 4080 이상)는 사실상 장착 불가인지라, 보편적으로 SFF를 가르는 기준인 15L 까지는 그럭저럭 사람 취급 받으며 놀 수 있다.[4]

소형 케이스안에 하이엔드 부품을 우겨넣을 방법을 고민하고, 커스텀 수랭도 굉장히 활성화된 편이며, 부품들에 대한 토론이나 이야기가 굉장히 많다. 따라서, 어떻게든 우겨넣을 수만 있다면 3-4슬롯의 큰 방열판을 가진 그래픽카드보다 1팬, 1슬롯, 혹은 3팬이지만 2슬롯의 두께를 가지는 발열해소에는 불리하지만 작은 케이스에 들어가는 그래픽카드등이 득세[5]하고, 본인의 케이스에 부품을 맞추기 위해 SFX, 1U 파워, VLP(Very Low-Profile) RAM, DC-DC 커넥터 등을 구입하기 위해 타오바오나, 알리바바 구매가 굉장히 활성화된 편이며, 특정 아이템의 경우 아예 고정닉 한명이 총대를 메고 공동구매를 추진하기도 한다.[6]

4. 갤러리 추천 부품

4.1. 파워서플라이

4.2. 케이스

5. 여담



[1] 최초 글 작성일자[2] 빅타워 + 첩자[3] 히틀러의 얼굴을 합성해서 만든 소위 리터낙지콘.[4] 애초에 국내 정발품으로 고사양 SFF를 구성하려면 15L급까지는 커질 수밖에 없다.[5] 대표적으로 INNO3D. 날이 갈수록 커지고 두꺼워지는 현세대 그래픽 카드 시장에서 유일하게 2슬롯 고사양 그래픽카드를 꾸준히 출시해주기 때문이다. RTX 30시리즈에서는 3070ti/3080/3080ti/3090, RTX 40시리즈에서는 4070ti가 2슬롯으로 출시되었다. 일부 유저들은 크기를 줄이기 위해 아예 AS를 포기하고 더 작은 히트싱크를 직구해서 마개조하기도 한다. 대표적으로 PALIT 계열의 3060(TI) 2팬 모델을 1팬으로 바꿔버리거나, 6900XT 레퍼런스 기판에 6800 레퍼런스 카드의 히트싱크를 이식하여 두께를 2.5슬롯에서 2슬롯으로 줄여버리는 등. 이로 인해 문제되는 발열은 언더볼팅과 전력제한을 걸어 해결한다.[6] 최근 갤러리 내 공동구매 사례는 DDR5 VLP RAM이 있다.[7] SF750은 버전에 따라 ATX3.0은 구교복, ATX3.1은 신교복으로 다시 나뉜다.[8] 2024 기준으로도 SF750과 비교 시 용량/소음 면에서 상위 호환이라고 부를 수 있는 파워는 딱 하나. ASUS의 ROG LOKI 시리즈 하나뿐이다. 그마저도 크기가 SFX-L 로 커져버려서 상당수 케이스에서는 호환이 불가능에 가까운데다 가격은 1000w 기준 SF750의 2배에 달한다. 쿨러마스터의 경우 1100W/1300W 용량의 SFX 파워 서플라이를 출시하였으나, 제로팬이 없다는 치명적인 단점으로 인해 묻혔다.[9] 80Plus PLATINUM[10] 2024년 10월 기준 약 10만원 중반대[11] 은색모델도 있는데 소음이 있고, S-ATA케이블에 차이가 있다[12] 이 모델은 정식수입이 안되었다.[13] 속칭 철어등[14] v1은 9.48L, v2는 9.95L. 이 둘을 구분해서 폼1디, 폼2디 식으로 구분하기도 한다.[15] 단, 상단 여유공간이 46mm(메인보드 기준)이기 때문에, 일체형 수랭을 사용한다면 15T 슬림팬이 강제된다.[16] V1은 2슬롯/3슬롯의 2가지 모드만 지원하며, V2는 0.25슬롯 단위로 조절이 가능하다.[17] 다만 부피가 부피이니만큼 한정적인 높이의 쿨러(47mm) 및 그래픽카드(300mm/2슬롯) 제한이 극악 수준이라 가능한 시스템이 한정적이었다. 이를 베이스로 240mm 2열 수랭쿨러가 가능하게끔 부피를 키운 케이스가 A4-H2O인 셈.[18] 이보다 더 작은 케이스의 경우 얄짤없이 직구. 특히 타오바오 직구에 능숙해야 한다.[19] Meshlicious의 단종으로 후속작 개념으로 Meshroom S가 출시되었다. 이 둘은 사실상 쌍둥이 케이스나 마찬가지.[20] 추후 발매 예정인 확장 키트를 장착 시 17L로 약간 커지지만 M-ATX 보드를 기본 지원하게 된다.[21] 다만 수직으로 세웠을 시 무게중심 문제 때문에 받침대가 크게 제작되어 16L라고 오해를 받는 경우가 있다.[22] 제조사 공식 스펙시트 기준이다. 실제로는 그 이상의 두께 및 길이를 가진 카드도 장착 가능한 사례가 꽤 있다.[23] 케이스 받침의 높이까지 계산하면 20.3L가 나오기 때문에 (...)[24] 과거의 UMPC보다는 GPD 시리즈나 스팀 덱, 아야 네오, ROG Ally같은 물건[25] 리안리, SSUPD, 프랙탈 케이스를 공식 유통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