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9-24 03:01:41

스킬 개화/그래플러(남)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스킬 개화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그래플러(던전앤파이터)/남자/스킬
#!if 문서명2 != null
, [[]]
#!if 문서명3 != null
, [[]]
#!if 문서명4 != null
, [[]]
#!if 문서명5 != null
, [[]]
#!if 문서명6 != null
, [[]]


파일:dnf_logo.png
직업별 스킬 개화 목록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귀검사/남자|
파일:mc_txt01.png
]]
[[스킬 개화/웨펀마스터|
파일:thum_type_d1.png
웨펀마스터
]]
[[스킬 개화/소울브링어|
파일:thum_type_d2.png
소울브링어
]]
[[스킬 개화/버서커|
파일:thum_type_d3.png
버서커
]]
[[스킬 개화/아수라|
파일:thum_type_d4.png
아수라
]]
[[스킬 개화/검귀|
파일:thum_type_d5.png
검귀
]]
[[귀검사/여자|
파일:mc_txt02.png
]]
[[스킬 개화/소드마스터|
파일:thum_type_d6.png
소드마스터
]]
[[스킬 개화/다크템플러|
파일:thum_type_d9.png
다크템플러
]]
[[스킬 개화/데몬슬레이어|
파일:thum_type_d7.png
데몬슬레이어
]]
[[스킬 개화/베가본드|
파일:thum_type_d8.png
베가본드
]]
[[스킬 개화/블레이드|
파일:thum_type_d10.png
블레이드
]]
[[격투가(던전앤파이터)/남자|
파일:mc_txt03.png
]]
[[스킬 개화/넨마스터(남)|
파일:thum_type_d11.png
넨마스터
]]
[[스킬 개화/스트라이커(남)|
파일:thum_type_d12.png
스트라이커
]]
[[스킬 개화/스트리트파이터(남)|
파일:thum_type_d13.png
스트리트 파이터
]]
[[스킬 개화/그래플러(남)|
파일:thum_type_d14.png
그래플러
]]
[[격투가(던전앤파이터)/여자|
파일:mc_txt04.png
]]
[[스킬 개화/넨마스터(여)|
파일:thum_type_d15.png
넨마스터
]]
[[스킬 개화/스트라이커(여)|
파일:thum_type_d16.png
스트라이커
]]
[[스킬 개화/스트리트파이터(여)|
파일:thum_type_d17.png
스트리트 파이터
]]
[[스킬 개화/그래플러(여)|
파일:thum_type_d18.png
그래플러
]]
[[거너(던전앤파이터)/남자|
파일:mc_txt05.png
]]
[[스킬 개화/레인저(남)|
파일:thum_type_d19.png
레인저
]]
[[스킬 개화/런처(남)|
파일:thum_type_d20.png
런처
]]
[[스킬 개화/메카닉(남)|
파일:thum_type_d21.png
메카닉
]]
[[스킬 개화/스핏파이어(남)|
파일:thum_type_d22.png
스핏파이어
]]
[[스킬 개화/어썰트|
파일:thum_type_d23.png
어썰트
]]
[[거너(던전앤파이터)/여자|
파일:mc_txt06.png
]]
[[스킬 개화/레인저(여)|
파일:thum_type_d24.png
레인저
]]
[[스킬 개화/런처(여)|
파일:thum_type_d25.png
런처
]]
[[스킬 개화/메카닉(여)|
파일:thum_type_d26.png
메카닉
]]
[[스킬 개화/스핏파이어(여)|
파일:thum_type_d27.png
스핏파이어
]]
[[스킬 개화/패러메딕|
파일:thum_type_d68.png
패러메딕
]]
[[마법사(던전앤파이터)/남자|
파일:mc_txt07.png
]]
[[스킬 개화/엘레멘탈 바머|
파일:thum_type_d28.png
엘레멘탈 바머
]]
[[스킬 개화/빙결사|
파일:thum_type_d29.png
빙결사
]]
[[스킬 개화/블러드 메이지|
파일:thum_type_d30.png
블러드 메이지
]]
[[스킬 개화/스위프트 마스터|
파일:thum_type_d31.png
스위프트 마스터
]]
[[스킬 개화/디멘션 워커|
파일:thum_type_d32.png
디멘션 워커
]]
[[마법사(던전앤파이터)/여자|
파일:mc_txt08.png
]]
[[스킬 개화/엘레멘탈 마스터|
파일:thum_type_d33.png
엘레멘탈마스터
]]
[[스킬 개화/소환사|
파일:thum_type_d34.png
소환사
]]
[[스킬 개화/배틀메이지|
파일:thum_type_d35.png
배틀메이지
]]
[[스킬 개화/마도학자|
파일:thum_type_d36.png
마도학자
]]
[[스킬 개화/인챈트리스|
파일:thum_type_d37.png
인챈트리스
]]
[[프리스트(던전앤파이터)/남자|
파일:mc_txt09.png
]]
[[스킬 개화/크루세이더(남)|
파일:thum_type_d38.png
크루세이더
]]
[[스킬 개화/인파이터|
파일:thum_type_d39.png
인파이터
]]
[[스킬 개화/퇴마사|
파일:thum_type_d40.png
퇴마사
]]
[[스킬 개화/어벤저|
파일:thum_type_d41.png
어벤저
]]
[[프리스트(던전앤파이터)/여자|
파일:mc_txt10.png
]]
[[스킬 개화/크루세이더(여)|
파일:thum_type_d42.png
크루세이더
]]
[[스킬 개화/이단심판관|
파일:thum_type_d43.png
이단심판관
]]
[[스킬 개화/무녀|
파일:thum_type_d44.png
무녀
]]
[[스킬 개화/미스트리스|
파일:thum_type_d45.png
미스트리스
]]
[[도적(던전앤파이터)|
파일:mc_txt11.png
]]
[[스킬 개화/로그|
파일:thum_type_d46.png
로그
]]
[[스킬 개화/사령술사|
파일:thum_type_d47.png
사령술사
]]
[[스킬 개화/쿠노이치|
파일:thum_type_d48.png
쿠노이치
]]
[[스킬 개화/섀도우 댄서|
파일:thum_type_d49.png
섀도우 댄서
]]
[[나이트(던전앤파이터)|
파일:mc_txt12.png
]]
[[스킬 개화/엘븐나이트|
파일:thum_type_d50.png
엘븐나이트
]]
[[스킬 개화/카오스|
파일:thum_type_d51.png
카오스
]]
[[스킬 개화/팔라딘|
파일:thum_type_d52.png
팔라딘
]]
[[스킬 개화/드래곤나이트|
파일:thum_type_d53.png
드래곤나이트
]]
[[마창사|
파일:mc_txt13.png
]]
[[스킬 개화/뱅가드|
파일:thum_type_d54.png
뱅가드
]]
[[스킬 개화/듀얼리스트|
파일:thum_type_d55.png
듀얼리스트
]]
[[스킬 개화/드래고니안 랜서|
파일:thum_type_d56.png
드래고니안 랜서
]]
[[스킬 개화/다크 랜서|
파일:thum_type_d57.png
다크 랜서
]]
[[총검사|
파일:mc_txt14.png
]]
[[스킬 개화/히트맨|
파일:thum_type_d60.png
히트맨
]]
[[스킬 개화/요원|
파일:thum_type_d58.png
요원
]]
[[스킬 개화/트러블 슈터|
파일:thum_type_d59.png
트러블 슈터
]]
[[스킬 개화/스페셜리스트|
파일:thum_type_d61.png
스페셜리스트
]]
[[아처(던전앤파이터)|
파일:mc_txt17.png
]]
[[스킬 개화/뮤즈|
파일:thum_type_d62.png
뮤즈
]]
[[스킬 개화/트래블러|
파일:thum_type_d63.png
트래블러
]]
[[스킬 개화/헌터|
파일:thum_type_d64.png
헌터
]]
[[스킬 개화/비질란테|
파일:thum_type_d65.png
비질란테
]]
[[스킬 개화/키메라|
파일:thum_type_d69.png
키메라
]]
외전 [[스킬 개화/다크나이트|
파일:thum_type_d66.png
다크나이트
]]
[[스킬 개화/크리에이터|
파일:thum_type_d67.png
크리에이터
]]
범례 물리 공격형, 마법 공격형, 하이브리드형, 버퍼 직업, 미구현된 직업
고정 데미지
}}}}}}}}} ||

1. 개요2. 목록
2.1. 블로우 스트라이크
2.1.1. Ⅰ - 래피드 콤비네이션2.1.2. Ⅱ - 스위핑 블로우
2.2. 매그넘설트
2.2.1. Ⅰ - 뇌천파쇄2.2.2. Ⅱ - 흥진비래
2.3. 롤링 스파이크
2.3.1. Ⅰ - 싸이클론 퀘이크2.3.2. Ⅱ - 트랜스액션
2.4. 와일드 캐넌 스파이크
2.4.1. Ⅰ - 와일드 크러셔2.4.2. Ⅱ - 코멧 스트라이크
2.5. 피어스
2.5.1. Ⅰ - 콤비네이션 러쉬2.5.2. Ⅱ - 저지불가
2.6. 한놈만 팬다!!
2.6.1. Ⅰ - 강맹격파2.6.2. Ⅱ - 이것이 강자의 이름이다
2.7. 흑진광풍
2.7.1. Ⅰ - 삭풍2.7.2. Ⅱ - 두 번 부는 바람
2.8. 오의 : 질풍노도
2.8.1. Ⅰ - 페이스 투 페이스2.8.2. Ⅱ - 굉뢰
3. 스킬 강화
3.1. 목록

1. 개요

던전앤파이터의 직업 남성 그래플러의 VP 옵션에 대해 다루는 문서다.

VP 투자가 추천되는 스킬은 다음과 같다. 이하 표는 "해당 스킬에 VP를 선택해야만 한다"는 전제 하에 작성된 것이므로 실제 VP 투자 시에는 본인 취향 껏 선택하면 된다. VP를 선택하는 것은 거의 확실하지만 1, 2옵션 중 선택지의 호불호가 갈리는 경우에는 둘 다 표시해두었다. 추후에 선택지가 굳어진다면 수정을 바란다. 추천과 관련된 상세 내용은 각각의 개화에서 설명한다.
<rowcolor=white> 스킬 이름 1옵션 2옵션
블로우 스트라이크
매그넘설트
롤링 스파이크
와일드 캐넌 스파이크
피어스
한놈만 팬다!!
흑진광풍
오의 : 질풍노도

2. 목록

2.1. 블로우 스트라이크

2.1.1. Ⅰ - 래피드 콤비네이션

래피드 콤비네이션
시전 시간 감소
딜레이 캔슬
<rowcolor=#9d864b>[블로우 스트라이크]
타격 성공 즉시 신속하게 뛰어올라 적에게 내려차기를 시전하도록 변경
- 총합 공격력은 동일
- 추가 조작 삭제

내려차기 직후 일부 스킬로 캔슬 연계 가능
- 공중에서 사용 가능한 전직 계열 스킬

공중 시전 시 내려차기 속도 20% 증가

블로우 스트라이크의 적을 날리는 방향 선택 조작을 없애고 적을 띄우는 대신 본체가 뛰어올라 날아차는 것으로 바꿔주는 VP. 이 VP의 의의는 쿨타임이 동일하여 묶어 쓰는 경우가 잦은 '공중 블로우 스트라이크 -> 공중 매그넘썰트' 스킬 연계를 사전에 체공하지 않아도 부드럽게 연계가 가능케하며, 지상 사용과 공중 사용 모두 모션 속도를 빠르게 바꿔주는 것에 있다.

다만 지상 사용도 무조건 체공 상태로 끝나도록 프로세스가 변경되어 무적 연계에 약간의 애로사항이 생긴다. 에어슈타이너나 매그넘썰트 연계로 무적을 이어나갈 방법을 생각해두면 좋다.

2.1.2. Ⅱ - 스위핑 블로우

스위핑 블로우
적 모으기 추가
무적 강화
범위 증가
<rowcolor=#9d864b>[블로우 스트라이크]
반드시 잡는다! 사용 시 공격 형태 변경
- 전방 적을 휩쓸어 잡은 뒤 올려차기 시전
- 잡기 성공 즉시 무적 적용

충격파 범위 20%증가

블로우 스트라이크에 몰아잡기 모션을 추가해서 범위 잡기 기술로 만들어주는 VP. 잡몹을 상대로 모아잡을 일이 상대적으로 적은 현 던전 상황에 알맞지도 않을 뿐더러 모션 시간이 늘어나 딜 압축에 방해가 되는 스킬 개화라서 채용률이 좋지 못하다.

모션이 늘어나는 만큼 무적시간도 좀 더 길어진다. 다만 공중에서 사용할 경우 일반 블로우 스트라이크랑 다를게 없으니 이점은 주의.

2.2. 매그넘설트

2.2.1. Ⅰ - 뇌천파쇄

뇌천파쇄
스택화
추적
<rowcolor=#9d864b>[매그넘설트]
2회 스택형으로 변경
- 1회 충전 쿨타임 : 7.5초
- 1회 공격력 50% 감소

공중 사용 시
- 일정 범위 내 적을 추적하여 공격
- 충격파 삭제
- 총합 공격력은 동일

기존 탈리스만인 뇌천파쇄와는 이름만 같고 기능이 완전히 달라졌다. 매그넘썰트를 2회 스택형으로 변경하여 잡몹 정리용 광역기로 만들고, 공중 버전을 추적기로 만들어 준다.

다만 추적의 범위가 상당히 좁은지라[1] 타점을 보강하는 용도 외의 추적 성능을 기대하진 못한다. 쿨타임이 동일하여 묶어쓰던 블로우 스트라이크와의 균형이 깨지는 것도 아쉬운 점.

대신 일반 혹은 헬파밍 던전의 잡몹 구간에선 꽤 유용하다. 잡몹마다 잡기 스킬 판정이 제각각이라 몹처리가 애매한 남그플에게 얼마없는 쿨짧은 이동겸 즉발급 광역기로서, 사용 횟수가 증가하여 쾌적함이 남다르다. 상위 컨텐츠에서 실전용으론 가치가 떨어져도 VP 전환은 클릭 한번이면 그만인지라 파밍 던전 등에선 잠시 사용해도 지장이 없다.

2.2.2. Ⅱ - 흥진비래

흥진비래
범위 증가
임팩트 콤비네이션 효과 적용
<rowcolor=#9d864b>[매그넘설트]
발차기 타격 판정 삭제
- 총합 공격력은 동일
- 발차기 타격 성공 시 잡기 스킬 연계 기능이 충격파에 맞아도 적용됨

강화된 충격파 발생
- 충격파 크기 30% 증가
- 충격파의 공격 횟수 6회 증가

이동 기능 강화
- 위/아래 방향키 입력하여 사용 시, 해당 방향으로 이동하며 공격

[임팩트 콤비네이션]
크리티컬 공격력 추가 증가 효과를 즉시 적용

충격파에 발차기 공격력을 합산해주는 동시에 충격파를 강화시키고, 충격파에 적이 맞더라도 잡기 연계가 가능하도록 만들어 준다. 발동 즉시 임팩트 콤비네이션 효과도 발동시켜줘서 첫 스킬로 들이박아도 좋고 오히려 이쪽이 기존 뇌천파쇄 탈리스만의 핵심 기능을 이관받은 수준. 추가로 금강쇄 비슷하게 상/하 Y축 위치 조정 기능을 달아줬다. VP 1번 뇌천파쇄가 하필이면 스킬을 스택형으로 만드는 기능을 받은 탓에 흥진비래의 채용률이 압도적으로 높은 편.

2.3. 롤링 스파이크

2.3.1. Ⅰ - 싸이클론 퀘이크

싸이클론 퀘이크
범위 증가
무적 강화
<rowcolor=#9d864b>[롤링 스파이크]
메치기 시 지진이 발생하여 주변 넓은 범위에 피해를 주도록 변경
- 지진 공격력은 메치기 공격력과 동일

반드시 잡는다! 사용 중 시전 시
- 주변 적을 휩쓸어 잡도록 변경
- 잡기 성공 즉시 무적 적용

잡기 가능 적 대상으로 사용 시
- 항상 바로 아래로 던지도록 변경
- 낙하 충격파의 크기 30% 증가

기존 탈리스만 사이클론 스파이크를 계승한 VP. 옵션이 거의 똑같다. 메치기 지진의 범위가 상당히 넓기도 하고 적 다수를 잡을 수 있어 잡몹 정리에 좋으나, VP2 트랜스액션이 갖는 나름의 장점이 있어 채용률 자체는 비등비등하다. 하지만 원본 스킬 자체에 VP 투자 우선도가 좀 떨어져서 원본으로 쓰는 유저도 많다.

2.3.2. Ⅱ - 트랜스액션

트랜스액션
스택화
딜레이 캔슬
<rowcolor=#9d864b>[롤링 스파이크]
2회 스택형으로 변경
- 1회 충전 쿨타임 : 12.5초
- 1회 공격력 50% 감소

잡기 성공 시, 딜레이 캔슬 가능
- 전직 계열 스킬로 연계 가능

기존 결전 무기의 옵션을 가져온 VP. 롤링 스파이크를 2회 스택형으로 바꿔 주고, 성공 시 후 딜레이를 무시하고 타 스킬 연계를 가능하게 만들어 준다. 나름의 장점이 있다면 롤링 스파이크는 그렇게 스킬 채널링이 길지 않아서 스킬이 2회로 분할된 게 큰 단점이 아니라는 부분이고, 또 이 VP를 채용할 경우 레이드 보스전 딜링 시 적에게 딱 붙어서 필요할 때 짤무적을 발동해가며 딜을 하는 동시에 후딜레이를 캔슬하고 다른 데미지 강한 기술을 꽂아넣을 수 있다.

2.4. 와일드 캐넌 스파이크

2.4.1. Ⅰ - 와일드 크러셔

와일드 크러셔
범위 증가
시전 시간 감소
<rowcolor=#9d864b>[와일드 캐넌 스파이크]
적을 무시하고 보다 빠르게 지면을 강타하여 충격파를 발생시키도록 변경
- 찍기 공격력 삭제
- 찍기 공격력을 충격파 공격력에 합산
- 잡기 불가 적 기준으로 적용
- 총합 공격력은 동일

충격파 크기 40% 증가

기존 탈리스만 와일드 크러셔를 거의 그대로 계승해온 스킬 개화.

잡기 프로세스를 삭제하고 충격파에 모든 피해량을 이관함으로서 원본이 가진 모든 문제점을 해결했다. 협소한 타격 범위, 엄청난 역경직을 가진 날아차기의 판정을 삭제하여 시전시간을 비약적으로 감소시키며, 넓어진 충격파를 맞추기만 하면 모든 딜이 들어가기에 실질적으로 공격 범위를 엄청나게 증가시킨다. 그덕에 와일드 캐넌 스파이크 자체의 성능을 보강하려면 해당 VP가 추천된다.

2.4.2. Ⅱ - 코멧 스트라이크

코멧 스트라이크
딜레이 캔슬
임팩트 콤비네이션 효과 적용
<rowcolor=#9d864b>[와일드 캐넌 스파이크]
힘을 모으는 대신 투기를 발산하며, 온 힘을 다한 발차기로 강하 공격
- 공격 실패 시 충격파가 발생하지 않음

공격 성공 시 모은 투기가 해방되어 주변 적을 함께 타격
- 찍기 공격력 삭제
- 찍기 공격력을 충격파 공격에 합산
- 잡기 불가 적 기준으로 적용
- 총합 공격력은 동일

적 공격 성공 시, 딜레이 캔슬 가능
- 공중에서 사용 가능한 전직 계열 스킬로 연계 가능

[임팩트 콤비네이션]
크리티컬 공격력 추가 증가 효과를 즉시 적용

미묘한 착지 후딜이 있는 충격파 과정을 삭제하고, 하강 시 발차기를 하며 적이 맞으면 넓은 범위에 투기 충격파를 주는 스킬로 변모시키는 VP다. 다만 원본이 가지는 약점인 날아차기의 비교적 협소한 타점은 딱히 개선되지 않는다. 타격 성공 시에 공중 발동이 가능한 스킬들로 바로 연계를 이어갈 수 있는 것이 장점으로, 남그래플러는 공중 사용 시 채널링이 감소하는 스킬들이 많기에 와일드 캐넌 스파이크에 투자를 했다면 채용률이 높다.

2.5. 피어스

2.5.1. Ⅰ - 콤비네이션 러쉬

콤비네이션 러쉬
추적
딜레이 캔슬
<rowcolor=#9d864b>[피어스]
사용 즉시 전방 일정 범위 내 적 중 가장 강력한 적을 추적하여 공격하도록 변경
- 충전 기능 삭제
- 범위 내 적이 없는 경우 사용불가

추적 대상에게 발을 찔러넣어 충격파를 터트림
- 추적 대상 주변의 적들을 충격파로 날림

잡기 스킬로 공격 성공 시, 이 스킬을 캔슬하여 시전 가능

기존 탈리스만 버전의 이름만 같을 뿐 성능은 완전히 다른 VP. 피어스를 전방의 일정 범위 추적기로 바꿔주고, 추적 타격 성공 시 바로 잡기 기술을 이어갈 수 있게 해 준다. 근접전이 선택이 아니라 필수인 남성 그래플러에게 달아준 추적 유틸 VP.

2.5.2. Ⅱ - 저지불가

저지불가
무적
받는 피해 감소
<rowcolor=#9d864b>[피어스]
사용 즉시 1.5초간 무적 상태를 부여
- 발차기 도중 받는 피해 70% 감소

조건부가 아예 없는 즉발 1.5초 무적을 부여해주는 VP. 남성 그래플러는 타격 가능한 적만 있다면 무적 상태로 돌입하는 것이 어렵지 않을 뿐더러 크라우치라는 선택지도 있어서 그렇게 매력적인 선택지는 아니다.

2.6. 한놈만 팬다!!

2.6.1. Ⅰ - 강맹격파

강맹격파
딜레이 캔슬
범위 증가
<rowcolor=#9d864b>[한놈만 팬다!!]
강타 4회 후 내려차기를 하는 스킬로 변경
- 공격력의 총합은 동일

더 넓은 범위를 공격
- 잡기 시도 범위 20%증가
- 내려차기 충격파의 범위 20% 증가

[일자전승 : 극의 진천노호]
강타 도중 입력하여 예약 사용 가능
- 내려차기 후 자동으로 연계하여 발동

기존 탈리스만인 강맹격파를 데미지 증가 부분 빼고 가져온 VP. 약 35%의 채널링 감소와 진천노호 연계 기능을 그대로 가져왔기에 모난 부분이 없이 무난하게 사용할 수 있다.

2.6.2. Ⅱ - 이것이 강자의 이름이다

이것이 강자의 이름이다
공격력/쿨타임 증가
<rowcolor=#9d864b>[한놈만 팬다!!]
기본 쿨타임 72초로 변경
총합 공격력 60% 증가

잡기 동작 변경
- 끓어오르는 투기에 몸을 맡기고 돌진
- 가장 먼저 충돌한 대상을 집중 공격

피니시 공격 변경
- 주변 적을 공격하지 않는 내려찍기로 공격
- 주변 충격파 공격력 삭제

스킬 개화 안내 영상에 선행으로 공개된 VP로 한놈만 팬다!!의 공격력과 쿨타임을 대폭 늘리고, 각성기에 견줄만한 연출을 새로 추가하여 인기가 높다. 다만 효율적으로 사용하려면 신경써야 할 부분이 몇가지 있다.

사실 압도적인 연출에서 시선을 돌리고 나면 선딜레이 추가, 잡기 Y축 범위 감소, 채널링 증가, 광역 데미지 삭제로 데미지 압축을 제외한 모든 옵션이 구조 퇴화인 VP라 할 수 있지만, 그럼에도 최적화 시킬 수만 있다면 진각성기 이상의 딜 포텐셜을 보여주는 매력적인 VP.

여담으로 막타 연출에 나오는 한자는 우레 진().

앞뒤로 종횡무진하며 연속공격을 날리는 모습부터 마지막 피니쉬 공격까지 영락없는 KOF김갑환영식봉황각 오마쥬다.

2.7. 흑진광풍

2.7.1. Ⅰ - 삭풍

삭풍
시전 시간 감소
공격 실패 보정
<rowcolor=#9d864b>[흑진광풍]
반드시 잡는다!! 사용 시에도 몰아잡지 않음
- 잡기 성공 즉시 피니쉬 공격

잡기 가능 적에게 시전 시
- 적을 바닥에 꽂은 즉시 폭발 충격파 발생
- 총합 공격력은 동일

잡기 불가 적에게 시전 시
- 그랩캐넌 충격파에 맞은 적을 2초간 홀딩

공격 실패 시 쿨타임을 5초로 보정

기존 탈리스만인 완전제압의 기능을 일부 계승하여 흑진광풍의 선딜을 줄이고 공격 실패 시 쿨타임 보정을 추가한 VP. 거기에 추가로 잡기 가능한 적이 거꾸로 메다꽂히는 프로세스를 없애준다.

2.7.2. Ⅱ - 두 번 부는 바람

두 번 부는 바람
범위 증가
무적 강화
<rowcolor=#9d864b>[흑진광풍]
반드시 잡는다! 스킬 사용 후 시전 시
- 몰아잡기의 범위 증가
- 몰아잡기 시도 횟수 1회 증가
- 잡기 성공 즉시 무적 적용

흑진광풍을 유사 스파이어로 만들어주는 VP. 현재 던파에서 그렇게 잡몹을 몰아잡을 만한 필요성이 있는 상황이 잘 안 나오기 때문에 잘 채용되지는 않는다.

2.8. 오의 : 질풍노도

2.8.1. Ⅰ - 페이스 투 페이스

페이스 투 페이스
추적
무적 강화
<rowcolor=#9d864b>[오의 : 질풍노도]
스킬 키를 누른 채 유지하여 대기 가능
- 최대 대기 가능 시간 : 2초

대기 중 색적 범위 내에 적이 진입 시, 무적 상태로 적에게 돌진하여 공격
- 최대 이동 횟수 2회 증가

대상의 잡기 가능 여부에 관계 없이 적을 박차고 뛰어올라 마무리 일격을 가함
- 마무리 준비 및 마무리 일격 공격력 삭제
- 돌진 및 주변 적 충격파 공격력 증가
- 잡기 불가 적 기준으로 적용
- 총합 공격력은 동일

대상 탐색에 실패 시 지면을 내리찍어 충격파를 발생시킴

기존 탈리스만인 페이스 투 페이스의 기능을 계승한 VP. 색적 겸 충전 후 자동 돌진하도록 스킬을 바꿔 준다. 자동 추적기가 된다는 점은 좋으나 콤비네이션 러쉬가 더 범용성이 커서 크게 와닿는 장점은 아니다.

문제는 마무리 일격의 날아차기 프로세스의 강제화. 자동 추적이 유용한 때는 몹이 이리저리 움직이는 경우인데, 자동 추적은 첫 돌진에만 달려있다. 날아차기 지점은 뛰어 오른 시점의 대상 위치로 고정되는데, 날아차기 전에 화면 끝까지 뛰는 점프는 통짜 선딜레이라 기껏 대상을 따라가놓고 점프할 때 대상이 이동하면 그대로 딜이 증발한다.

2.8.2. Ⅱ - 굉뢰

굉뢰
범위 증가
<rowcolor=#9d864b>[오의 : 질풍노도]
자세를 잡은 뒤 다리로 지면을 강하게 내리찍어 충격파를 일으키도록 변경
- 잡기 시도 및 돌진 삭제
- 돌진 데미지를 충격파 데미지에 합산
- 잡기 불가 적 기준으로 적용
- 총합 공격력은 동일

충격파 범위 40% 증가

적 여러 체를 추적 - 이후 데미지 딜링이라는 질풍노도의 기존 스킬 메커니즘을 완전히 바꿔 조건부 없는 무선딜 광역기로 바꿔 주는 VP. 심지어 충격파 범위도 상당히 늘어나기 때문에, 좋은 방향으로 심플하게 기술을 바꿔주는 VP라 채용률이 상당히 높다.

3. 스킬 강화

3.1. 목록

스킬 공격력 증가 공격력 증가 & 쿨타임 감소
로플링 스킬 공격력 60% 증가 스킬 공격력 43% 증가
스킬 쿨타임 15% 감소
넥 스냅
숄더 태클
브레이크 다운
에어슈타이너
스냅 샷
블로우 스트라이크 스킬 공격력 55% 증가 스킬 공격력 38% 증가
스킬 쿨타임 15% 감소
매그넘설트
롤링 스파이크
와일드 캐넌 스파이크
피어스
한놈만 팬다!!
흑진광풍
오의 : 질풍노도


[1] 범위 증가가 없는 기본 매그넘썰트의 충격파와 비슷한 추적 범위를 보여준다.[2] 결과적으로 강맹격파 대비 약 2배의 채널링을 갖는다.[200%] [70%] [5] 한놈만 팬다!!는 건틀릿 마스터리의 10% 쿨타임 감소를 받아 기본적으로 40.5초의 쿨타임을 가지며, 채널링을 감소시키는 강맹격파를 사용하면 43초 동안 2회 사용이 어렵지 않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