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18 15:44:25

스카우트(프로그램)

파일:세계 스카우트 연맹 흰색 로고.sv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세계의 스카우트 운동
관련단체 세계스카우트연맹, 걸스카우트, WSPU
프로그램 세계스카우트잼버리, 월드무트, JOTA-JOTI, Messenger of Peace
한국의 스카우트 운동
<colbgcolor=#FFFFFF,#222222> 체계 비버스카우트(유치원생), 컵스카우트(초등학생),
스카우트 및 벤처스카우트(중/고등학생))
로버스카우트(대학생), 지도자(성인)
프로그램 진보제도, 한국잼버리, 평화통일체험활동, 한일친선교류
유관기관 한국범스카우트중앙회, 청소년위원회, 로버스카우트중앙협의회, 국회의원스카우트연맹
관련문서 제17회 세계스카우트잼버리, 제25회 세계스카우트잼버리
}}}}}}}}} ||


1. 개요2. 주요특징
2.1. 진보제도
2.1.1. 초급스카우트2.1.2. 2급스카우트2.1.3. 1급스카우트2.1.4. 별스카우트2.1.5. 무궁화 스카우트2.1.6. 범스카우트
2.1.6.1. 범스카우트 출신인물
2.2. 기능장 제도
2.2.1. 종교장2.2.2. 벤처링 어워드
3. 주요프로그램
3.1. 국제활동
3.1.1. 잼버리3.1.2. 유스포럼
3.2. 평화의 메신저(MoP)3.3. 세계스카우트상(SWA)

[clearfix]

1. 개요

스카우트는 스카우트 운동의 핵심 프로그램 중, 한국을 기준하였을 때, 14세 이상 16세 이하의 중학교 연령대를 대상으로 진행되는 스카우트 프로그램이다.

한국의 경우, 스카우트(중학생 연령대)와 벤처스카우트(고등학생 연령대)의 스카우트가 프로그램을 공유하고 있으며, 일부 프로그램의 경우 벤처스카우트(혹은 스카우트)만 참여가 가능한 형태로 운영되고 있다.

2. 주요특징

2.1. 진보제도

스카우트 방법론에 의거하여, 개인 발전은 스카우트 운동에서 각 청소년이 자신의 목표를 설정하고, 뱃지 시스템 및 단계별 인증을 통해 그 성취를 체계적으로 기록하며 성장해 나가는 스카우트의 체계이다. 이 체계는 1920년대 초 창립 이후부터 점차 발전해 왔으며, 초기에는 단순한 활동 참여에서 출발하여, 개인의 작은 성취가 곧 큰 자신감과 자립심으로 연결된다는 신념 아래 도입되었다.

비정형교육의 자유로운 환경 속에서 청소년들은 자신의 속도에 맞추어 학습하고, 실패와 성공을 반복하면서 점진적으로 자기교육을 실현한다. 1960년대 이후, 특히 세계총회에서 개인 발전 체계는 청소년들의 자기 주도적 학습 능력을 극대화하기 위한 필수 요소로 재정의되었으며, 현재는 각 연령대별로 구체적인 목표와 평가 기준이 마련되어 있다.

분야별 진급과제의 목표는 크게 9가지로 구성되어있으며, 참여, 스카우트 이해, 스카우트 기능, 자기관리, 리더십, 기능장, 환경, 대/반활동, 사회공헌으로 구성되어있다. 한국은 미국스카우트의 영향을 받아 6단계의 개인별 개인의 발전을 위한 진보제도를 운영하고있으며 상당부분 미국의 스카우트 진보제도와 유사한 형태를 지니고 있다.

2.1.1. 초급스카우트

초급스카우트(Tenderfoot Scout]는 스카우트 대원이 되고자 하는 청소년들에게 제일 처음 주어지는 과정을 이야기한다. 초급스카우트는 스카우트를 처음시작하는 청소년들에게 처음 주어지는 과제인 만큼 전반적으로 손쉬운 과제들로 준비가 되어있는데, 크게 5가지 분야의 과제를 수행하여야 다음 급위로 진급할수있는 진급고사를 볼 수 있는 자격이 주어진다.

컵스카우트 과정을 마치고 스카우트로 승진한 대원은 초급스카우트 과제를 면제 받을 수 있다.
흥미진진한 모험이 가득한 스카우트 활동에 참여할 준비가 되었다면 그 첫 걸음, 초급스카우트 과정에서 스카우트 활동을 위한 각종 기본 규칙과 매듭번 등의 기능을 읽혀보자

- 『스카우트, 벤처스카우트 핸드북』,한국스카우트연맹, 37p
초급스카우트 과제
분야 진급과제 내용
스카우트 이해 - 스카우트 선서, 규율, 표어, 표방을 암송한다,
- 스카우트 예법(스카우트 표시, 손경례, 묵념, 장문례, 스카우트 악수, 환호)을 정확히 이해하고 제복을 시기와 상황에 맞추어 바르게 입는 방법을 설명한다.
- 소속 된 반의 이름과 반환호, 반기에 대해 이해하고 설명한다.[1]
스카우트 기능 -다음에 제시된 매듭의 용도를 설명하고 실연한다.(옭매듭, 8자매듭, 맞매듭, 감은매듭)
- 손신호(차려, 열중쉬어, 주의, 헤쳐)와 호각신호(차려, 주의, 전체모여)를 구분하고 그에 맞게 행동한다
기능장 -진급과정과 기능장과정에 대해 이해하고 범스카우트 진급까지 소요되는 기간과 필수기능장의 종류를 설명한다
대/반 활동 - 반장의 도움을 받아 스카우트 반 제도에 대하여 이해하고 설명한다
사회공헌 - 태극기를 규격에 맞게 그리고 각 부분의 의미를 설명한다

2.1.2. 2급스카우트

2급 스카우트(Second Class Scout)는 스카우트의 기본 원리에 대해 이해하고 있는 스카우트들을 이야기하며, 2급 스카우트에서는 다음의 7가지 분야의 과제를 수행하여야 다음 급위로 진급할 수 있는 진급고사를 볼 수 있는 자격이 주어진다.
드디어 기능장을 취득할 수 있는 초급스카우트가 되었다. 동시에 2급 스카우트 과정을 시작하게 된 것이다. 2급 스카우트 과정에서는 야외활동을 하기 위한 규칙과 하이킹을 하는데 필요한 스카우트 기능들을 배우며 이전까지는 경험해보지 못한 새로움을 느껴보자.

- 『스카우트, 벤처스카우트 핸드북』,한국스카우트연맹, 45p
초급스카우트 -> 2급스카우트 과제 및 자격조건[2]
진급 자격조건
참여 - 가입 후 2개월 동안 대 내의 제집회에 80% 이상 출석한다
기능장 - 필수기능장 중 시민장, 하이킹장을 취득한다.
진급과제
분야 진급과제 내용
스카우트 이해 - 스카우트 선서, 규율, 표어, 표방의 뜻을 설명한다.
- 한국스카우트의 역사와 자기 대의 역사를 이해하고 연표를 작성하여 제출한다.
- 스카우트 규율을 실천한 사례를 반원들 앞에서 이야기 한다.
스카우트 기능 - 다음의 제시된 매듭의 용도를 설명하고 실연한다. (두매듭, 당김매듭, 줄임매듭, 끝맺기, 구명승 사리기)
- 손신호(초급 과정 외의 것)와 호각신호(초급 과정 외의 것)를 구분하고 그에 맞게 행동한다.
- 스카우트 추적 기호를 구분하고 추적 하이킹에 1회 이상 참여한다
- 핸드북 부록에 있는 나의 성장기록표를 기록하고 필요성을 설명한다
- 목측과 보측을 이용하여 상담강사(또는 대장)가 제시하는 50 m 이상의 거리를 잰다(오차 10%이내)
- 나침반의 종류와 사용법을 알고 나침반을 이용하여 상담강사(또는 대장)가 제시한 목표물과 방위각을 찾는다
- 야외활동시 지켜야 할 규칙에 대해 설명한다.
산야에서 자라는 5종 이상의 수목을 구분하여 사진으로 찍고 명칭과 함께 정리하여 제출한다. (핸드북 부록9)
- 상담강사(또는 대장)에게 응급상황 발생 시 취해야 하는 행동을 설명하고 하이킹 시 준비해야 할 개인용 응급처치 세트를 준비하여 확인받는다.
- 하이킹에서 길을 잃었을 때 대처 방법을 설명한다.
- 반 또는 대에서 주최하는 하이킹에 1회 이상 참가하고 개인 보고서를 제출한다
자기관리 - 최소한 1개월에 1회 이상 자신의 혈압, 맥박과 체온을 측정하고 핸드북의 부록에 있는 혈압, 맥박, 체온 측정표에 기록하여 대장의 확인을 받는다
-최소한 1개월에 1회 이상 기초체력(팔굽혀펴기, 윗몸일으키기, 100m 달리기 등)을 측정하고 핸드북 부록에 있는 기초체력관리표에 기록하여 대장의 확인을 받는다. (부록4)
- 안전한 수정을 위해 준비해야 할 것들을 설명하고 상담강사(또는 대장)와 상의하여 수영장 취득을 위한 계획을 수립한다.
리더십 - 반 회의에 1회 이상 참석하고 반 회의록을 작성하여 제출한다.
- 자기 진급 계획서를 작성하고 대장의 확인을 받는다.
환경 - 반 또는 대에서 주최하는 하이킹이나 야영에 참가하여 야영생활 규칙을 실천하고 보고서를 제출한다.
대/반활동 - 반 또는 대에서 한가지 이상의 역할을 맡아 임무를 수행하고 반장 또는 대장의 확인을 받는다.
사회공헌 스카우트 행사 및 지역 사회 등에서 3시간 이상 봉사한 실적을 제시한다.

2.1.3. 1급스카우트

1급스카우트(First Class Scout)로 진급하기 위해서는 다음의 7가지 분야의 과제를 수행하여야 다음 급위로 진급할 수 있는 진급고사를 볼 수 있는 자격이 주어진다.
구명승 사리는 것에 좀 익숙해졌다면 이제 1급 스카우트가 되기 위한 심화된 기능을 배워보자. 스카우트의 꽃이라고 말할 수 있는 야영의 기술과 더욱 복잡해진 매듭법과 얽기들을 익히고 나 이외에 다른 이의 안전까지 보살필 수 있는 능력을 키워보자.

- 『스카우트, 벤처스카우트 핸드북』,한국스카우트연맹, 71p
2급스카우트 -> 1급스카우트 과제 및 자격조건
진급 자격조건
참여 - 2급스카우트가 된 후 3개월 동안 대 내의 제집회에 80% 이상 출석한다.
기능장 - 필수기능장 4종(응급처치장, 야영장, 야외취사장, 측정지도장)과 일반기능장 중 1종, 총 5종의 기능장을 취득한다.
진급과제
스카우트 이해 - 일상생활에서 선서와 규율의 실천을 위해 노력한 내용을 작성하여 제출하고 대원들에게 발표한다
- 세계스카우트 역사와 한국스카우트 역사를 이해하고 반원들에게 설명한다.
스카우트 기능 - 다음에 제시된 매듭의 용도를 설명하고 실연한다. (접친매듭, 고매듭, 장구매듭, 고리매듭, 꼰매듭)
- 다음에 제시된 얽기의 종류를 알고 실연한다. (네모얽기, 맞모금얽기, 8자얽기, 나란히얽기, 나란히이어얽기, 발판얽기)
- 수기신호로 상담강사(또는 대장)가 제시한 단어 또는 문장을 발신하고 다른 대원이 보낸 메시지를 수신한다. [3]
-너비 측정과 높이 측정 방법을 설명하고 상담강사(또는 대장)가 제시하는 장소의 너비와 높이를 측정하고 확인을 받는다.(오차범위 5% 이내)
-나침반 없이 북쪽 찾는 방법을 실연하고 상담강사(또는 대장)가 제시하는 지도를 정치한다.
- 야외용 버너를 안전하게 사용하는 법을 설명하 대 또는 반 야영에서 야외요리 1개 이상을 조리하여 대장의 확인을 받는다.
-하이킹 또는 야영을 하면서 발견한 식용, 약용, 유독, 유해 식물을 2종류 이상씩 구분하여 사진으로 찍고 명칭과 함께 정리하여 제출한다 (부록 10)
- 응급상황 발생 시 할 수 있는 구조호흡법에 대하여 상담강사(또는 대장)에게 설명한다.
- 핸드북에 제시되어 있는 응급처치 방법 중 최소 3가지 이상을 실연하고 상담강사9또는 대장)의 확인을 받는다.
- 환자운반법을 한 가지 이상 실연하고, 상담강사(또는 대장)의 확인을 받는다.
- 주머니 칼 사용법을 정확히 알고 대장의 확인을 받는다. (부록 14)
- 아래에 제시된 야영활동을 실천하고 상담강사9또는 대장)의 확인을 받는다.
・ 반원과 협력하여 텐트를 바르게 치고 걷는다.
・ 체크리스트에 기준을 두고 1박 야영에 필요한 개인 준비물을 챙긴다 반원들과 협력하여 1박 이상의 야영 식단을 작성하고 3명 이상의 대원들이 먹을 수 있는 식사를 한 끼 이상 준비한다.
・ 야영에서 음식을 안전하게 보관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자기관리 핸드북 부록에 있는 기초체력 관리표를 지속적으로 기록하고 자기 체력관리를 위한 운동(줄넘기, 달리기 등) 한 가지를 3개월 이상 꾸준히 한 실적을 제시한다. (부록 4)
- 상담강사(또는 대장) 앞에서 수영 시에 주의할 점을 설명하고 2가지 이상의 영법을 사용하여 50m 이상을 수영한다.
- 마약, 주류, 담배 등 건강에 해로운 물질에 대해 스카우트로서 실천할 수 있는 예방활동을 작성하여 제출한다.
리더십 - 반 회의에 2회 이상 참석하고 반 회의록을 작성하여 제출한다.
- 가족회의를 1회 이상 진행하고 회의록을 제출한다.
환경 야영장 청결을 유지하기 위한 방법을 3가지 제시하고, 대 또는 반 야영에서 실천한 후 대장의 확인을 받는다.
대/반활동 반 집회 계획을 수립하고 실행한 후 반 집회 일지를 작성하여 제출한다.
사회공헌 스카우트 행사 및 지역 사회 등에서 5시간 이상 봉사한 실적을 제시한다.

2.1.4. 별스카우트

1급스카우트가 별스카우트로 진급하기 위해서는 다음의 과제를 수행하여야 다음의 7가지 분야의 과제를 수행하여야 다음 급위로 진급할 수 있는 진급고사를 볼 수 있는 자격이 주어진다.
이제는 누군가에게 물어보기보다는 다른 사람을 지도해주는 일이 더 잦아지면서 자신의 리더십을 발휘하여 반(조)를 통솔하게 될 것이다. 별스카우트 과정부터는 나보다 다른 사람을, 개인보다는 전체를 먼저 생각하며 공정하고 정확한 생각을 하고 판단하는 습관을 들이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 『스카우트, 벤처스카우트 핸드북』,한국스카우트연맹, 107p
1급스카우트 -> 별스카우트 과제 및 자격조건
진급 자격조건
참여 - 1급스카우트가 된 후 4개월 동안 대 내의 제집회에 80% 이상 출석한다.
기능장 - 필수 기능장 3종(전통예절장, 안전장, 개척장)과 일반기능장 중 2종, 총 5종의 기능장을 취득한다.
진급과제
분야 진급과제 내용
스카우트 이해 - 가족모임, 또래모임 등에서 스카우트 운동의 특징을 설명하고 친구나 이웃이 동참할 수 있도록 노력한 실적을 제시한다.
스카우트 기능 - 다음에 제시된 매듭의 용도를 설명하고 실연한다. (지레매듭, 걸상매듭)
- 다음에 제시된 야영 개척물 중 1가지를 제작하고 상담강사(또는 대장)의 확인을 받는다. (국기게양대, 공구걸이, 식기건조대, 야영식탁)
- 나침반을 사용하는 OL하이킹에 1회이상 참가하고 보고서를 작성하여 제출한다.
- 원시 불자리의 종류에 대해 알고 한 가지 이상의 야외요리를 원시 불자리를 활용하여 만든 후 대장의 확인을 받는다.
자기관리 - 핸드북의 부록에 있는 기초체력 리스트를 지속적으로 기록하고 자기 체력관리를 위한 운동(줄넘기, 달리기 등) 한가지를 3개월 이상 꾸준히 한 실적을 제시한다. (부록4)
- 자신의 주간/우러간 일정표를 작성하고 실천한 실적을 제시한다.
리더십 - 지도자 회의에 1회 이상 참과하고 A4 1장 분량의 소감문을 작성하여 대장에게 지출한다.
- 반장 회의에 2회 이상 참석하고 반 회의를 진행한 후 회의록을 작성하여 제출한다.
- 단위대에서 책임 있는 역할(반장, 부반장, 반서기, 분야별 담당 등)을 맡아 3개월 이상 봉사한 실적을 제시한다.
환경 - 환경과 관련된 기관(하수 처리장 등)을 견학하고 보고서 또는 견학 확인서 등을 제출한다.
대/반활동 - 대집회나 반 집회에서 대원들을 대상으로 스카우트 게임 및 노래를 지도한 실적을 제시하고 대장의 확인을 받는다.
- 반 하이킹 및 반 야영 계획을 수립, 실행하고 보고서를 제출한다.
사회공헌 - 스카우트 행사 및 지역사회 등에서 7시간 이상 봉사한 실적을 제시한다.

2.1.5. 무궁화 스카우트

무궁화스카우트는 범스카우트가 지역대에서 단위대 대장의 승인으로 진급할 수 있는 마지막 단계이며, 크게 7가지 분야의 과제를 수행하여야 다음 급위로 진급할 수 있는 진급고사를 볼 수 있는 자격이 주어진다.
다양한 활동을 통해 친구를 사귈 수 있는 스카우트 활동은 자연스럽게 리더십을 길러주기 마련이다. 그 이유는 체계적으로 발전하는 진보제도를 통해 다양한 역량과 리더십을 연마하기 때문일 것이다.

- 『스카우트, 벤처스카우트 핸드북』,한국스카우트연맹, 117p
별스카우트 -> 무궁화스카우트 과제 및 자격조건
진급 자격조건
참여 - 별스카우트가 된 후 5개월 동안 대 내의 제집회에 80% 이상 출석한다.
기능장 - 필수 기능장 3종(수영장, 환경보전장, 세계우애장)과 일반기능장 중 3종, 총 6종의 기능장을 취득한다.
진급과제
분야 진급과제 내용
스카우트 이해 - 대 내의 별스카우트 대원들과 협력하여 우리 대의 대원들을 모집하는 계획서를 작성하고 대장의 확인을 받는다.
스카우트 기능 - 비박을 하는 야영에 1회 이상 참가하고 상담강사(또는 대장)의 확인을 받는다
자기관리 - 핸드북 부록에 있는 기초체력 리스트를 지속적으로 기록하고, 자기 체력 관리를 위한 운동(줄넘기, 달리기 등) 한 가지를 3개월 이상 꾸준히 한 실적을 제시한다.
- 개인의 발전을 위한 한가지 목표를 정하고 3개월 이상 실천한 실적을 제시한다.
리더십 - 2급스카우트 진급과제의 스카우트 기능을 대원들에게 5회 이상 지도하고 대장의 확인을 받는다
- 반장회의를 주관하고 회의록을 작성하여 대장에 확인을 받는다.
환경 - 지역사회에서 일어나고 있는 환경 오염 또는 환경 보전 사례를 조상하고 환경 정화에 참여하고 소감문을 작성하여 제출한다
대,반활동 - 대 내의 별스카우트 대원 또는 반장들과 협력하여 대집회 프로그램을 작성하고 1회 이상 진행한 후 대장의 확인을 받는다
사회공헌 - 스카우트 행사 및 지역사회 등에서 10시간 이상 봉사한 실적을 제시한다

2.1.6. 범스카우트

범스카우트(Tiger Scout)는 한국스카우트연맹에서 스카우트/벤처스카우트 대원들이 성취할 수 있는 최고급위이다. '범'이라는 단어는 한국 고유의 호랑이를 뜻하는 단어에서 유래했다. 한국에서 호랑이는 용맹과 지혜, 강인한 정신력의 상징으로 여겨지며, 이러한 의미를 담아 범스카우트는 강한 리더십과 책임감을 갖춘 스카우트 최고 급위로 자리 잡았다.

범스카우트가 되기 위해서는 무궁화스카우트 진급 이후. 개월 동안 반(조) 및 대 활동 등 제 집회에 80%이상 참석하였음을 출석기록으로 인증하고 증명하고, 무궁화스카우트로 있는 동안 필수기능장 중 학업장, 구조장, 생존장과 일반기능장 중에서 3종을 선택하여 6종의 기능장을 취득하여야하며, 대장과 협력하여 범스카우트 과제를 이수하며, 대장(또는 대장이 인정하는 성인지도자)이 실시하는 범스카우트 진급고사에 합격하여야 한다.

범스카우트진급시에는 다른 급위 진급과 다르게 자격조건을 갖추었다고 하여 각 단위대에서 진급인가가 진행되지 않으며, 지방연맹에서 주최하는 진급캠프등을 통해 심사를 통해 진급이 진행되며, 범스카우트 인가 시 중앙본부에서 개인에게 고유 인가번호가 주어지며 연소지도자로써의 역할이 주어지게 된다. 또한 한국스카우트연맹 중앙본부 10층에 설치된 범스카우트 명패에 이름을 새기게 된다.

범스카우트로 진급할 경우 자동적으로 범스카우트중앙회의 준회원 자격과 함께 전 세계의 최고급의 스카우트 진급자들의 네트워크인 ATAS(Association of Top/Achiever Scout) 가입 자격이 주어진다.
무궁화스카우트 -> 범스카우트 과제 및 자격조건
진급 자격조건
참여 - 무궁화스카우트가 된 후 6개월 동안 대 내의 제집회에 80% 이상 출석한다.[4]
기능장 - 필수 기능장 3종(학업장[5], 구조장, 생존장)과 일반기능장 중 3종, 총 6종의 기능장을 취득한다.
- 세계스카우트 자연 환경 배지(World Scout Environment Programme)를 취득한다.
진급과제
분야 진급과제 내용
스카우트 이해 - 세계스카우트 활동에 대해 조사하고 나의 스카우트 미래 계획을 수립하여 제출한다.
- 제시된 두 권의 스카우트 도서를 읽고 감상문을 제출한다 (소년을 위한 스카우트 활동, 베이든 포우엘 전기)
스카우트 기능 - 야영생활에 필요한 개척물 모형 1가지를 제작하여 제출한다
자기 관리 - 핸드북의 부록에 있는 기초체력 리스트를 지속적으로 기록하고 자기 체력관리를 위한 운동(줄넘기, 달리기 등)한가지를 3개월 이상 꾸준히 활동한 실적을 제시한다.
- 개인의 발전을 위한 두가지 목표를 정하고 3개월 이상 실천한 실적을 제시한다.
리더십 - 1급스카우트 진급과제의 스카우트 기능을 대원들에게 5회 이상 지도하고 대장의 확인을 받는다.[6]
- 대 활동 및 스카우트 프로그램 진행에 필요한 인적, 물적 자원의 내용을 알고 이를 협조받을 수 있는 방법을 대장과 토론한다.
환경 - 중앙본부, 지방, 특수연맹 및 단위대에서 주최하는 세계스카우트 자연환경 프로그램에 1회 이상 참여한다
대/반활동 - 대 내의 무궁화스카우트 대원들과 협력하여 대 야영을 계획하고, 1박 이상의 야영을 진행한 후 대장의 확인을 받는다
사회공헌 - 스카우트 행사 및 지역사회 등에서 15시간 이상 봉사한 실적을 제시한다.
2.1.6.1. 범스카우트 출신인물

2.2. 기능장 제도

2.2.1. 종교장

2.2.2. 벤처링 어워드

3. 주요프로그램

3.1. 국제활동

3.1.1. 잼버리

파일:세계 스카우트 연맹 흰색 로고.svg
역대 세계스카우트잼버리
{{{#!wiki style="color: #FFF; 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color: #555; margin: -6px -1px -11px"
1회 2회 3회 4회 5회
파일:영국 국기.svg
1920
런던
파일:덴마크 국기.svg
1924
에르멜룬덴
파일:영국 국기.svg
1929
버큰헤드
파일:헝가리 왕국 국기(1915-1918, 1919-1946).svg
1933
괴될뢰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1937
블루먼달
6회 7회 8회 9회 10회
파일:프랑스 국기.svg
1947
모이송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1951
바트 이슐
파일:캐나다 자치령 국기.svg
1955
나이아가라온더레이크
파일:영국 국기.svg
1957
서튼 파크
파일:필리핀 국기.svg
1959
로스 바뇨스
11회 12회 13회 14회 15회
파일:그리스 국기(1822-1978).svg
1963
마라톤
파일:미국 국기.svg
1967
파라구트
파일:일본 국기.svg
1971
후지노미야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1975
릴레함메르
파일:캐나다 국기.svg
1983
카나나스키스
16회 17회 18회 19회 20회
파일:호주 국기.svg
1987-1988
시드니
파일:대한민국 국기(1949-1997).svg
1991
고성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1995
드론턴
파일:칠레 국기.svg
1998-1999
피카르킨
파일:태국 국기.svg
2002-2003
사타힙
21회 22회 23회 24회 25회
파일:영국 국기.svg
2007
첼름스퍼드
파일:스웨덴 국기.svg
2011
크리스티안스타드
파일:일본 국기.svg
2015
키라라하마
파일:미국 국기.svg
2019
뉴리버고지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3
새만금
26회 27회 28회 29회 30회
파일:폴란드 국기.svg
2027
그단스크
파일:국기.svg
2031
파일:국기.svg
2035
파일:국기.svg
2039
파일:국기.svg
2043
}}}}}}}}} ||


잼버리(Jamboree)는 전 세계 스카우트들이 한자리에 모여 캠핑을 중심으로 다양한 활동을 함께하며, 국제적인 우정을 나누고 공동체 의식을 함양하는 대규모 스카우트 행사이다. 스카우트 창시자인 베이든-파월(Lord Baden-Powell)이 처음으로 사용한 용어로, 다양한 배경을 가진 사람들이 함께 어울려 배우고 성장하는 축제적 성격을 갖는다. 잼버리는 단순한 캠핑이 아니라, 참가자들이 서로의 문화를 배우고 협력하며, 리더십과 팀워크를 기르는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야외활동, 환경 보호, 국제교류, 봉사활동, 기술교육 등 다양한 프로그램이 포함되며, 참가자들은 이를 통해 다방면의 역량을 키울 수 있다.

잼버리는 규모와 주최 기관에 따라 여러 종류로 나뉘는데, 대표적으로 세계스카우트잼버리(World Scout Jamboree), 아시아-태평양잼버리(Asia-Pacific Scout Jamboree), 한국잼버리(Korea National Scout Jamboree), 그리고 JOTA-JOTI(Jamboree on the Air - Jamboree on the Internet)가 있다.

세계스카우트잼버리는 세계스카우트연맹(WOSM)이 주최하는 가장 큰 규모의 잼버리로, 4년마다 한 번씩 개최되며 전 세계 스카우트들이 한자리에 모이는 국제적인 행사이다. 1920년 영국에서 처음 개최된 이후 지속적으로 발전해왔으며, 참가자들은 각국의 전통문화 교류, 환경보호 활동, 모험 프로그램, 글로벌 이슈 토론 등 다양한 활동을 통해 세계 시민으로서의 역량을 기른다. 아시아-태평양잼버리는 WOSM 아시아-태평양 지역(APR)에서 주관하며,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스카우트들이 참가하는 대륙 단위 행사이다. 이 잼버리는 아시아·태평양 국가 간의 협력을 증진하고, 지역 내 청소년 교류를 활성화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한국잼버리는 한국스카우트연맹(KSA)이 주최하는 전국 규모의 스카우트 캠프 행사로, 약 4년마다 개최되며, 한국 내 스카우트들이 한자리에 모여 다양한 야외 활동과 팀워크 훈련을 경험하는 기회를 제공한다. JOTA-JOTI는 인터넷과 아마추어 무선을 활용한 디지털 잼버리로, 매년 10월에 개최되며, 물리적으로 한 장소에 모일 수 없는 참가자들이 온라인으로 교류하며 세계 각국의 스카우트들과 소통하는 기회를 제공한다.

잼버리의 기대효과는 다양하다. 첫째, 청소년들이 국제적인 교류를 통해 다양한 문화를 경험하며 세계 시민의식을 함양할 수 있다. 둘째, 협력과 리더십을 경험하는 활동을 통해 청소년들의 리더십 역량이 향상된다. 셋째, 환경 보호와 지속 가능한 개발 목표(SDGs)를 반영한 프로그램을 통해 참가자들이 환경 문제에 대한 인식을 높이고 실천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넷째, 지역사회 봉사활동을 통해 청소년들이 사회적 책임을 경험하고 공동체에 기여하는 방법을 배운다. 다섯째, JOTA-JOTI와 같은 디지털 기반의 잼버리를 통해 기술 활용 능력을 향상시키고, 전 세계 스카우트들과 실시간으로 교류하는 경험을 쌓을 수 있다. 이러한 기대효과는 스카우트 청소년들이 성장하여 사회에서 적극적인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데 기여하며, 참가자들에게 잊지 못할 교육적 경험을 제공한다

3.1.2. 유스포럼

스카우트 유스포럼(Scout Youth Forum)은 세계스카우트총회(World Scout Conference) 및 아시아-태평양 스카우트 총회(Asia-Pacific Scout Conference) 개최국이 의무적으로 주최하는 청소년 중심의 회의이다. 18세에서 26세 사이의 벤처스카우트(Venture Scouts) 및 로버스카우트(Rover Scouts)를 대상으로 하며, 스카우트 청소년들이 국제적인 리더십을 경험하고 스카우트 운동의 발전 방향을 논의하는 기회를 제공한다.
스카우트 유스포럼은 청소년들이 스카우트 정책 결정 과정에 직접 참여하고 의견을 개진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주요 목적은 다음과 같다.
- 청소년 리더십 개발: 국제적 시각을 갖춘 청소년 리더를 양성하고 의사결정 경험을 제공.
- 스카우트 정책 논의: 전 세계 스카우트 운동의 발전을 위한 주요 이슈를 다루고 정책을 제안.
- 국제 교류 및 협력 강화: 각국 스카우트 대표들이 모여 교류하고 협력할 수 있는 기회 제공.
- 모범 사례 공유: 각국의 우수한 스카우트 활동과 프로그램을 발표하고 공유.

스카우트 유스포럼은 세계스카우트연맹(WOSM) 회원국(NSOs)에서 선발한 청소년 대표들이 참여하며, 18세 이상 26세 이하인 청소년 중 벤처스카우트 및 로버스카우트로 활동 중이거나 활동 경험이 있는 자라면 각 회원국에 추천을 받아 참석이 가능하다.

3.2. 평화의 메신저(MoP)

평화의 메신저 프로그램은 스카우트가 평화프로젝트를 통해 '더 나은 세상 만들기(Creating a Bettwer World)'에 기여함으로써 전 세계의 많은 사람들에게 감동을 전달하고 프로젝트에 동참할 수 있도록 계획 된 프로그램이다.

2001년 '평화의 선물(Gift for Peace)'프로젝트는 110개국의 약 1,000만명이 넘는 스카우트 지도자와 대원들이 참가하여 놀라운 성과를 이끌어 냈으며, 평화의 선물 프로젝트 업적은 사우디아라비아의 압둘라왕과 스웨덴의 칼 구스타프 국왕에게 감명을 주었고 이들은 2011년 스카우트 평화프로젝트를 공식적으로 지원하게 된다.

3.3. 세계스카우트상(SWA)

세계스카우트상(Scouts of the WOrld Award)은 스카우트 대원들이 세계가 직면한 도전 과제와 문제점을 맞설 수 있는 기회와 능력을 제곰함으로써 사회발전에 더 적극적으로 참여할 것을 장려하는 목적으로 계획되었다.

세계스카우트상은 능력 및 인종, 종교, 나라에 상관없이 15세에서 26세 사이의 청소년이라면 누구나 참여할 수 있다. 세계스카우트 상을 받으려면 세계스카우트 발견프로그램 및 세계스카우트 봉사활동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세계 스카우트 네트워크로부터 인증을 받아야한다.

세계스카우트 발견프로그램은 봉사활동 프로그램을 진행하기 위한 사전 단계로 단위대 및 단체는 명확한 방향을 제안하는 워크숍을 갖거나 개인의 경우 제안서를 작성해야한다.


[1] 최근에는 반이 구성될 수 있는 8인 미만으로 구성된 소규모 단위대도 쉽게 찾아볼 수 있어 해당 과제는 묵인하는 분위기이다[2] 현실적인 이유로 FM대로 진행하는 곳을 현재는 찾아보기 힘드나 과거 2010년대까지만 해도 모든 과정을 FM대로 진행해야 진급을 할 수 있었다.[3] 수기신호가 사회적으로 잘 활용되지 않고 특정분야에서만 활용되고 있는 바, 경우에 따라 해당 과제를 생략하는 경우도 있다[4] 각 급위별 최소 기간과 해당 출셕 참여율 조건으로 인하여 범스카우트가 될 수 있는 최단 기간은 컵스카우트 무지개 급위를 수료했다는 가정하에 초급생략, 2급(3개월), 1급(4개월), 별(5개월), 무궁화(6개월)을 거친 총 18개월이다. 즉 중학교 1학년 때 가입하여 중학교 3학년 때 범스카우트가 되는 것이 가능하다는 이야기.[5] 과거에는 학업장 취득이 매우 어려워 학업장 취득을 못해 범스카우트가 되지 못하는 경우도 매우 쉽게 찾아볼 수 있었다. 학업장 취득을 위한 자격이 다음과 같기 때문인데, 현재는 많이 완화되었음을 감안하고 보더라도 스카우트 기능을 완벽하게 습득할 것과 동시에 학업에도 어느정도 성취를 요구했다.
- 학급에서 최소한 지난 1년간 최소 1학기 동안 학업 석자가 평균 30% 이내에 든 사실을 증명할 자료, 또는 지난 학기에 비하여 학급 석차가 평균 20% 이상 진보한 사실을 증명할 자료를 제시한다.
- 학교 생활과 학업 태도에 대한 담임선생님의 의견서를 받아 상담강사에게 제출한다
- 한 주간의 학습계획표를 작성하고 그 실천 결과에 대해 스스로 평가를 내리고 부모님과 함께 상의하여 그 결과를 제출한다.
- 예체능 또는 자신의 특기를 살려 참가한 교내외 대회에서의 수상 실적을 제시한다.
[6] 한국스카우트연맹의 단세가 과거와 달리 1개의 단위대에서 8명 미만인 경우도 심심치 않게 찾아볼 수 있어 해당 과제는 용인하는 분위기이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22
, 16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22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1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1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