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21 17:35:05

로버스카우트

파일:세계 스카우트 연맹 흰색 로고.sv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세계의 스카우트 운동
관련단체 세계스카우트연맹, 걸스카우트, WSPU
프로그램 세계스카우트잼버리, 월드무트, JOTA-JOTI, Messenger of Peace
한국의 스카우트 운동
<colbgcolor=#FFFFFF,#222222> 체계 비버스카우트(유치원생), 컵스카우트(초등학생),
스카우트 및 벤처스카우트(중/고등학생))
로버스카우트(대학생), 지도자(성인)
프로그램 진보제도, 한국잼버리, 평화통일체험활동, 한일친선교류
유관기관 한국범스카우트중앙회, 청소년위원회, 로버스카우트중앙협의회, 국회의원스카우트연맹
관련문서 제17회 세계스카우트잼버리, 제25회 세계스카우트잼버리
}}}}}}}}} ||


1. 개요2. 역사3. Rovering to Success4. 한국의 로버스카우트
4.1. 한국스카우트연맹 로버스카우트중앙협의회
4.1.1. 역대 회장
5. 주요행사
5.1. 전국총회5.2. 로버무트
5.2.1. 한국의 로버무트 개최 현황5.2.2. 세계 로버 무트(World Moot) 개최 현황

[clearfix]

1. 개요

로버스카우트(RoverScout)는 만18세부터 26세까지의 청년들을 위한 스카우트 프로그램으로, 스카우트 운동(WOSM)에서 청소년을 포함하는 마지막 단계이다. 주요 목표는 사회공헌, 국제교류, 자기개발, 리더십 개발 등을 포함하며, 성인 지도자로 성장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2. 역사

로버스카우트는 1918년, 베이든 포우엘이 『로버링 투 석세스(Rovering to Success)』를 출간하며 공식적으로 시작되었다.
이는 기존의 어린이·청소년 대상 스카우트 프로그램을 넘어, 성인으로 성장하는 청년들을 위한 모험과 봉사 중심의 프로그램을 제공하기 위한 목적이었다.

3. Rovering to Success

《Rovering to Success》는 1922년 스카우트 창시자인 베이든 포우엘 경이 출간한 책으로, 로버스카우트 프로그램의 철학과 목표를 정립한 주요 문헌이다.

이 책은 ‘’‘청년기(18세~25세)의 스카우트들에게 인생을 성공적으로 살아가는 방법을 안내하기 위한 자기계발서’’’이며, 이후 세계 각국의 로버스카우트 프로그램 운영에 큰 영향을 미쳤다.

책의 핵심 내용은 인생을 ‘’‘카누 타기에 비유’’‘하는 방식으로 전개된다. 베이든 포우엘은 강을 따라 카누를 타고 내려가는 과정에서 ‘’‘바위, 급류, 장애물’’‘을 만나는 것처럼, 인생에서도 다양한 어려움을 마주하게 된다고 설명한다. 하지만 ‘’‘올바른 방향과 태도’’‘를 가진다면 안전하게 목적지에 도달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자기개발과 봉사정신’’’을 실천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이 책에서 베이든 포우엘은 로버스카우트들이 갖춰야 할 기본적인 삶의 태도를 다음과 같이 정리하였다.
* 개인적 성장 - 신체적, 정신적 건강을 유지하고 지속적인 자기계발을 실천해야 한다.
* 사회적 책임 - 지역사회와 세계를 위해 봉사하는 삶을 살아야 한다.
* 도전과 모험 - 로버스카우트는 자유와 책임을 동시에 가지며, 탐험과 도전을 통해 성장해야 한다.
* 긍정적인 태도 - 스카우트의 기본 정신을 바탕으로 어떤 어려움 속에서도 미소 짓고 극복하는 자세를 가져야 한다.

이러한 원칙은 현재까지도 로버스카우트의 핵심 가치로 이어지고 있으며, 일부 국가에서는 로버스카우트 서품식에서 이 책을 읽고 다짐하는 전통이 유지되고 있다. 특히 이 책에서 강조된 “Service(봉사)“라는 개념은 로버스카우트의 공식적인 모토로 자리 잡았다.
이후 로버스카우트는 전 세계의 스카우트 운동 내에서 ‘’‘청소년기에서 성인으로 넘어가는 과정에서 봉사를 실천하는 프로그램’’’으로 발전하게 되었다.

이 책은 단순한 스카우트 매뉴얼이 아니라, 젊은이들이 인생을 개척하는 데 필요한 철학적 지침서로 평가받는다. 그렇기 때문에 로버스카우트뿐만 아니라 일반 청년들에게도 자기계발서로서 가치가 높은 책으로 여겨진다.

4. 한국의 로버스카우트

헌장, 제4절 대원 및 지도자
제15조(지도자)
① 본 연맹의 지도자는 19세 이상인자 중에서 스카우트 운동의정신을 이해하고 선서와 규율을 실천함으로써 대원들에게 수범하는 인사이어야 한다. (개정 09. 2. 26)
다만, 로버스카우트는 24세 까지로 하고, 대학 재학중인 경우는 연령의 제한을받지 아니한다.[1] (개정 04. 3. 25.)
② 본 연맹의 지도자는 그 임무에 따라 다음의 3종으로 구분한다.
본 연맹의 훈육 프로그램을 지도하는 다음의 남녀 지도자로서 당해 지도자의자격증 갖춘 자 (개정 16. 2. 25.)
가. 단대장, 대장, 부대장 (개정 09. 11. 13.)
나. (삭제 09. 11. 13.)
다. 본 연맹의 중앙본부, 지방·특수연맹, 지구연합회의 지구 치프커미셔너(지구훈육위원장 및 커미셔너(훈육위원), 훈련팀 (개정 20. 3. 14.)
라. 로버스카우트 (신설 99. 12. 17.)

한국스카우트연맹에서는 로버스카우트를 청소년활동의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보기보다 훈육지도자로 보고 있다.

4.1. 한국스카우트연맹 로버스카우트중앙협의회

한국스카우트연맹은 로버스카우트중앙협의회는 1982년 설립되었으며, 2016년 2월 25일 전국총회에서 헌장기관으로 인정받은 한국의 로버스카우트들의 자율적인 활동을 주관하는 조직이다. 로버스카우트 중앙협의회는 전국 단위로 구성되어, 중앙협의회 산하에 각 지방 특수연맹별 지회를 두고 있다.

로버스카우트 중앙협의회 회장은 한국스카우트연맹의 대의원으로써, 전국총회 등에서 의결권을 가진다.

4.1.1. 역대 회장

스카우트 활동을 오래 한 사람들은 알 수 있겠지만, 역대 한국스카우트연맹 로버스카우트중앙협의회 회장 중 일부는 한국스카우트연맹의 전종지도자(직원)으로 근무중이거나 혹은 임원으로써 봉사하는 경우를 심심치 않게 찾아볼 수 있다.
한국스카우트연맹 로버스카우트중앙협의회 역대회장
재임기간 성명(소속)
초대(1982) 최건(서울연맹, 고려대학교)
제2대(1983) 정기호(서울연맹, 단국대학교)
제3대(1984) 김성복(대전연맹, 모닥불지역대)
제4대(1985) 미상
제5대(1986) 미상
제6대(1987) 정희선(서울연맹, 금강지역대)
제7대(1988) 한상민(전북연맹, 우석대학교)
제8대(1989) 김종숙(대전연맹, 모닥불지역대)
제9대(1990) 김승수(서울연맹, 한국외국어대학교)
제10대(1991) 김홍문(서울북부연맹 건국대학교)
제11대(1992) 홍경휘(경기연맹, 경희대학교)
제12대(1993) 하정운(경기연맹, 강남대학교)
제13대(1994) 김강현(서울북부연맹, 세종대학교)
제14대(1995) 채용산(대전연맹, 대전산업대학교)
제15대(1996) 이명훈
제16대(1997) 안진규(경남연맹, 경상대학교)
제17대(1998) 손창섭(충북연맹, 충주대학교)
제18대(1999) 윤여승(충남연맹, 영캠퍼)
제19대(2000) 김동욱(경남연맹, 경상대학교)
제20대(2001) 안성진(경기남부연맹, 강남대학교)
제21대(2002) 고대웅(전북연맹, 원광대학교
제22대(2003) 정서용(서울남부연맹, 돗가비스카우트)
제23대(2004) 임은선(서울남부연맹, 우리로버스카우트)
제24대(2005) 장형규(충북연맹, 벤처스카우트)
제25대(2006) 이정훈
제26대(2007) 홍성수
제27대(2008) 최윤정
제28대(2009) 신효섭
제29대(2010) 공훈표
제30대(2011) 임서영
제31대(2012) 문병철
제32대(2013) 박민셕
제33대(2014)
제34대(2015) 이홍주
제35대(2016)
제36대(2017)
제37대(2018) 권오독
제38대(2019) 김유빛나라
제39대(2020) 박찬영
제40대(2021)
제41대(2022) 예승현
제42대(2023)
제43대(2024) 김민서
제44대(2025) 곽다은

5. 주요행사

5.1. 전국총회

5.2. 로버무트

‘’‘로버무트’’’(Rover Moot)는 로버스카우트를 위한 대규모 국제 및 국내 야영 행사이다. 로버스카우트 연령대(만 18~25세)의 청년 스카우트들이 모여 국제 교류, 리더십 개발, 봉사 활동, 모험을 경험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로버무트는 잼버리와 달리, 성인 스카우트로 가는 과정에서 보다 자율적인 활동과 네트워킹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로버스카우트들끼리 다양한 문화 교류와 도전적인 탐험 활동을 통해 성장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 특징이다.
1931년 제1회 웓르무트(1st World Moot)가 스위스에서 개최 된 이후, 이를 계기로 각국에서도 자체적으로 로버무트가 진행되기 시작했다. 한국의 로버무트는 1982년 한국스카우트연맹 중앙훈련원에서 최초로 개최되었다.

5.2.1. 한국의 로버무트 개최 현황

한국의 로버무트는 일반적으로 한국스카우트연맹 로버스카우트중앙협의회에서 주관하며, 야영장은 당대 로버스카우트중앙협의회장이 맡는게 일반적이다. 다음은 역대 한국의 로버무트 개최 현황이다.
역대 한국 로버무트 개최 현황
회차 대회명 대회기간 장소 참가인원
제1회 전국스카우트 클럽 야영대회 1982.05.17 ~ 20 한국스카우트연맹 중앙훈련원 365명
제2회 전국스카우트 클럽 야영대회 1983.08.03 ~ 08 포천 불재 캠프장 504명
제3회 84 국제 로버무트 1984.08.05 ~ 13 경주 황성공원 1220명
(국내 - 1052명, 국외 168명)
제4회 로버무트 1987.07.18 ~ 24 전북 송광훈련장 715명
제5회 로버무트 1988.07.15 ~ 21 중앙 야영장 755명
제6회 전국대학스카우트 야영대회 1989.07.13 ~ 19 가산 산성 야영장 641명
제7회 창립 70주년 기념 로버무트 1992.07.16 ~ 22 천안 태조산 야영장 676명
제8회 광복 50주년 기념 로버무트 1995.07.24 ~ 30 강원도 세계잼버리장 405명
제9회 창립 75주년 기념 로버무트 1997.07.10 ~ 16 청풍 야영장 350명
제10회 로버무트 1999.07.13 ~ 18 독립기념관 서곡 야영장 320명
제11회 국제 로버무트 2001.07.13 ~ 18 강원도 위도 야영장 300명
(국내-250명, 국외 50명)
제12회 로버무트 2003.07.14 ~ 19 서울대공원 청소년야영장 600명
제13회 금강산 로버무트 2005.07.12 ~ 16 금강산 해수욕장 300명
제14회 스카우트 운동 100주년 기념 로버무트
르네상스(Renaissance) 또 다른 100주년을 향한 비상
순천시 청소년 수련소 미상
제15회 Re-born 다시 태어나는 로버무트 2009.07.24 ~ 29 독립기념관 서곡 야영장 미상
제16회 로버무트 2011.07.15 ~ 19 서삼릉 중앙 훈련원 미상
제17회 Run and Run 2013.08.16 ~ 18 경구 국민청소년수련원 약 250명
제18회 빛나라 로버! 2019.08.13 ~ 15. 줄포만 갯벌생태공원 약 250명

5.2.2. 세계 로버 무트(World Moot) 개최 현황



[1] 군대를 다녀오는 남성들이 로버스카우트 활동을 함에 있어 불이익을 받지 않기 위함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22
, 16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22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1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1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