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0-31 20:58:34

실드

쉴더에서 넘어옴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Fate 시리즈의 설정에 대한 내용은 실더(Fate 시리즈)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 개요2. 파생: 인터넷 은어
2.1. 구문
2.1.1. 실드로 치다/실드로 때리다2.1.2. 쉴더/실더/실드러2.1.3. 피의 쉴드
3. 이름을 차용한 것

1. 개요

실드(Shield[ʃiːld])는 "방패", "보호하다."라는 뜻의 영어 단어이다. 의미가 확장되어 "보호막", "보호자"의 의미로 쓰이기도 하며, "가리다."로 쓰이기도 한다.

한글 표기는 \]가 포함된 단어가 대다수 그렇듯 "실드"와 "쉴드"가 혼용되고 있는데 외래어 표기법상 "실드"가 맞는다. 가나 표기로는 장음이 들어가 "シールド"이다.

역사적으로는 방어구로서 방패를 가리키기도 하고 그러한 방패에 새기는 문장을 가리키기도 한다. 자세한 것은 문장학문장(그림) 문서 참고.

지리학에서는 오랜 침식을 겪어 방패를 엎어놓은 듯 완만하게 된 안정된 지형을 'shield'라고 한다. 한국에서는 한자어로 순상지(楯狀地)라고 한다. 이 의미는 Suess(1888)[1]에서 독일어 'Schild'로서 처음 사용되었으며 1906년 영어 'shield'로 번역되었다.

2. 파생: 인터넷 은어

'쉴드 치다'라는 형태로 많이 사용된다. 2000년대 한국에서 스타크래프트의 높은 영향력을 감안했을 때 아무래도 프로토스 보호막에서 왔을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2] '방패'와 같이 쓰이는 "들다" 같은 동사가 아니라 '커튼', '암막'처럼 "가리개" 류의 단어에 쓰는 '치다'와 함께 쓰이는 면에서 더욱 그렇다.

영어의 본래 의미는 "보호하다", "가리다"이지만 한국에서 쓰이는 유행어로서의 뉘앙스는 썩 긍정적이지 않다. 말싸움이 났을 때 어느 한 쪽을 편들거나 누군가가 까이는 대상이 되었을 때 본인을 대신하여 상황 설명, 변명을 해주거나, 동정론을 펴거나, 맞장구를 쳐줘서 여론몰이를 하는 행동을 가리키는데 단순히 편을 드는 정도가 아니라 충분한 논리를 갖추지 않은 채 대상을 무분별하게 맹목적으로 그냥 막 두둔하며 옹호하려고만 한다고 비꼬는 뉘앙스가 담긴[3]표현이다. 정신승리난독증 같은 단어가 그렇듯 변질되어 사용되기도 하는데 목적으로 보호하는 게 아니라 충분한 논리와 근거를 갖추어서 주장하는 상대를 공격하고자 할 때 쓰이기도 한다.

실드를 치지 말아야 할 상황에서 실드를 치거나 잘못된 방향으로 실드를 치는 경우 본래 비난받던 사람보다 더욱 욕을 먹으며 까일 수도 있다.[4] 그럼에도 인터넷에선 이런 류의 실드가 빈번히 발생하는 편이다. 과한 실드를 치는 사람들의 경우 강요적인 태도나 감정적인 태도, 많은 논리적 오류, 자기 의견이 관철될 때까지 끈질기게 도전하는 정신, 감싸려는 대상에 대해 무비판적이고 허용적이기만 한 태도를 보이는 경우가 많다. 이들은 제대로 된 비판도 들으려 하지 않고 무작정 실드부터 들이밀고 본다. 따라서 이런 사람들과 인터넷에서 언쟁을 하게 되면 제대로 토론이 되기보단 목소리 크거나 오래 남는 놈이 이기는 싸움으로 흘러가기 쉽다. 어느 커뮤니티나 게임 채팅 창 등에서 실드 치는 사람들이 많다면 둘 중 하나인 경우로 보면 되는데, 먼저 해당 커뮤니티나 게임의 분위기가 상당히 긍정적인데 사람들의 관심을 받으려는 자가 엉뚱한 짓을 하는 경우가 있으며 사실상 대다수를 차지할 두 번째는 분위기가 완전히 엉망이 될 대로 엉망이 된 나머지 평범한 사람들은 이미 학을 떼고 나가버렸고 해당 시스템 하에서 이득을 보는 소수 유저들만 남은 것이다. 두 번째 경우는 인터넷 독재 상태일 가능성이 있다.

2.1. 구문

2.1.1. 실드로 치다/실드로 때리다

여기에서 파생된 말로 "실드로 치다." 혹은 "실드로 때리다."가 있다.[5] 실드를 치다가 돌연 배신하는 경우를 방패로 지켜주던 사람을 오히려 방패로 두들겨 패기 시작하는 것으로 비유하여 생긴 말이다.

이러한 기본 의미 외에도 '실드로 때린다.'에는 그와 연관되어 변형된 다른 의미들도 있는데 먼저 분명 한 쪽 편을 드는 게 맞기는 한데 그 과정에서 의도가 있든 없든 다른 피해를 입히는 사례에 대해서도 사용한다. 가령 특정 인물이 거짓말을 하지 않았다는 변호를 해주면서 "이 사람은 그런 거짓말을 할 정도로 똑똑하지 않다.'라고 말한다거나, 불륜 의혹을 반박하며 '그 사람은 다른 사람과 놀아날 정도로 매력이 있거나 유혹을 할 능력이 있는 사람이 아니다.'[6]라고 말하는 게 그 예다.

다음으로는 실드를 치면서 그걸 이용해서 단순 방어뿐만 아니라 아예 강하게 반격을 나가는 경우를 뜻하기도 하며 이걸 약간 꼬아서 실드 칠 여지도 없이 맞아야 된다고 생각하거나 그외 나름 이유가 있는 경우 "실드 치러 왔습니다."라고 올린 뒤 약간의 간격을 둔 뒤에 "실드로 치러 왔다고 ㅇㅇㅇ야!!" 하는 식으로 변형되는 경우도 있다.[7]

2.1.2. 쉴더/실더/실드러

원래 의미대로 실드를 치는 사람을 "쉴더"나 "실더", "실드러" 등으로 칭한다. 이 중 "실드러"는 콩글리시로서 '실드'에 '-'를 붙인 말이다. '-' 문서에서도 설명하듯, '-러'는 한국에서만 유행하는 표현이고 영어로서는 비문이다. 영어에서는 '-er'를 쓰는 것이 맞으므로 영어로 "'shield' 하는 사람"은 "shielder"(실더)가 맞다. Fate/Grand Order실더 마슈 키리에라이트가 좋은 사례다.

다만,실제로 "shielder"가 영어권에서 "지키는 사람"이란 뜻으로 쓰이기는 하지만 보통 그러한 의미로는 이 단어보다 "guardian"(가디언), "defender"(디펜더) 등이 더 선호되는 경향이 있다. 그도 그럴 게 이 단어의 어원인 "shield"는 그 자체의 기본적 의미인 "방패"로부터 대유법으로서 "수호자"라는 의미를 나타낼 수 있기 때문이다. "방패잡이"처럼 "방패"와 완전히 다른 뜻을 가리킬 게 아니고서야[8] "수호자" 정도의 의미는 "shielder"가 아닌 "shield"로 충분하다. 동사로서의 의미도 "guard"나 "defend"가 더 포괄적이어서 지칭 범위도 더 넓다. 그래서 가디언/디펜더/팔라딘 같은 평범한 이름 대신 굳이 실더라는 클래스명을 붙인 캐릭터는 정석적인 검/메이스/창+방패 조합이 아니라 캡틴 아메리카마냥 방패 하나만 덜렁 들거나, 아예 쌍방패를 드는 변태성을 강조한 극단적인 캐릭터가 대부분이다. 웃긴 건 대놓고 방어올인을 했다면서 방패로 때리던 어쩌던 해서 딜도 곧잘 넣는 경우가 많다.

더 나아가서 정말로 "방패를 든 사람" 혹은 "방패잡이"를 가리키는 경우에도 "shielder"보다는 '-man'이 붙은 "shieldman"을 주로 쓴다. 이는 'shield'와 'man'이 게르만어계 고유어휘인 반면 '-er'는 라틴어계 차용어휘이기 때문이다.[9][10] 영어에서는 일반적으로 게르만어계 어휘는 게르만어계끼리 조합하고 로망스어계는 로망스어계끼리 결합하여 혼종어를 피하는 경향을 보이는 조어 법칙이 있다. 이와 마찬가지 방식으로 조어되는 단어로는 "sword(s)man"(잡이), "maceman"(철퇴잡이), "spearman"(잡이), "pikeman"(장창잡이) "bowman"(잡이), "crossbowman"(쇠뇌잡이), "horseman"(기수) 등 여럿 있다. 찾아보면 그 외에도 각종 무기나 장비 뒤에 '-man'을 붙인 것들이 많다. 혹은 "armour-bearer"(갑옷지기), "colour-bearer"(깃발지기; 기수), "cross-bearer"(십자지기), "cup-bearer"(지기) 등의 단어처럼 "들고 있는 자", "보유자", "운반자" 정도의 뜻을 가진 '-bearer'를 쓸 때도 있다.

구글 검색 결과는 "쉴더"(14만) > "실더"(10만) > "쉴드러"(7만) > "실드러"(2만) 순이다. (2020년 3월 기준) 단, '실더/쉴더'는 앞서 언급한 페이트 등 유행어 외의 용례도 꽤 있다.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37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37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2.1.3. 피의 쉴드

다른 파생어보다는 드물게 쓰이지만 "피의 쉴드"라는 말이 있는데 자신의 평판이 깎일 것을 각오하고 실드를 치는 것을 가리킨다.

3. 이름을 차용한 것

3.1. 브랜드

3.1.1. NVIDIA SHIELD, NVIDIA안드로이드 게이밍 특화 디바이스 시리즈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NVIDIA SHIELD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NVIDIA SHIELD Portable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NVIDIA안드로이드 휴대용 게임기의 옛 브랜드는 NVIDIA SHIELD Portable라고 한다.

3.2. 단체

3.2.1. WWE의 스테이블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실드(WWE)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NXT에서 활약하던 세스 롤린스, 로만 레인즈, 딘 앰브로스로 구성된 스테이블이다.

3.3. 작품명

3.3.1. 미국 드라마 더 실드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더 실드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제목 더 실드(The Shield)는 방패처럼 생긴 경찰 배지를 칭하는 은어에서 왔다.

3.3.2. 미국 드라마 에이전트 오브 쉴드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에이전트 오브 쉴드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위 항목의 정보기관 S.H.I.E.L.D.에서 유래한 제목이다.

3.3.3. 포켓몬스터소드·실드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포켓몬스터소드·실드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4. 대중매체

3.4.1. 실드, 던전 앤 드래곤 시리즈마법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실드(던전 앤 드래곤 시리즈)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4.2. 실드, 러쉬 워즈카드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러쉬 워즈/카드 문서
2.1.3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4.3. 프로토스 보호막, 스타크래프트 시리즈 프로토스방어막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프로토스 보호막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4.4. 마블 코믹스의 정보 기관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S.H.I.E.L.D.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4.5. 디플렉터 실드, 스타트렉의 방어막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디플렉터 실드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4.6. 액트 오브 워의 유닛

S.H.I.E.L.D. 파워드 슈트 비스무리한 장비를 입은(착용한?) 유닛.

보병과 항공기에게 효과적인 개틀링과, 차량과 장갑에게 강한 미사일을 장착하고 있다. 다만 두 개를 동시에 쓰지는 못 하고 모드를 바꿔줘야 한다.

특이한 점은 스타크래프트 시리즈건설로봇처럼 기계, 생체 양쪽으로 취급해서 치료/수리가 모두 가능하다는 것. 하지만 애초에 해당 유닛의 진영의 회복은 기계든 생체든 상관 없이 다 회복시켜주는 스킬이라 다른 진영과의 팀플레이에서나 의미 있지 그 외에는 별 의미가 없다.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220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220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3.5. 리듬 게임에서

롱노트가 있고 롱노트 시작을 제대로 눌러줘야 하는 게임에서 통용되는 리듬게임 용어이다. 앞에 숏노트가 8비트 혹은 그보다 짧은 간격으로 붙어있는 형태를 실드 노트라고 부른다. 롱노트가 있는 라인에 2연타 이상이 붙어있게 되는, 숏노트가 롱노트를 보호해주는 것 같다고 해서 이름붙은 형태이다. 정확한 횟수로 연타 후 홀드해주지 않으면, 롱노트를 아예 안 눌러버리거나 롱노트를 눌렀는데 끊어버리는 실수를 하기 쉬운 형태이다.


[1] Suess, Eduard; Sollas, William Johnson; Sollas, Hertha B. C. (3 June 2018). The face of the earth (Das antlitz der erde). Oxford, Clarendon press – via Internet Archive. #[2] 비슷하게 스타크래프트에서 유래한 것이 확실한 인터넷 은어로는 '버로우 타다'가 있다.[3] 즉 자신이 빨아대는 누군가를 비난 공격으로 부터 보호해준 답시고 보호막(쉴드)을 쳐주며 감싸고 돈다 는 뜻[4] 대표적인 게 빠가 까를 낳는다. 이것이 심하면 하이브리스토필리아가 되기도 한다.[5] 이 때의 "치다."는 위의 "실드 치다."의 "치다."와는 달리 "타격한다."라는 의미이다.[6] 실제 사례로, 마리 퀴리가 폴 랑주뱅과 불륜 스캔들로 고생하자, 알버트 아인슈타인은 '마리는 성격상 누굴 유혹할 만큼 매력적인 사람이 아니다."라고 변호했다.[7] 어떤 사람을 아주 싫어할 때 "그 사람 지지자 입니다."라는 제목을 달고 "불로 지지자."라는 내용을 쓰는 것과 비슷한 맥락이다.[8] 위 페이트의 예도 이에 속한다. 랜서, 아처, 라이더 등 다른 것들이 "~를 하는 사람"이기 때문에 "방패를 든 사람"을 특별히 지칭할 필요가 있다.[9] '-er'를 게르만어 고유 어휘로 보는 설도 있으나 라틴어 어휘에서 비롯하여 게르만조어로 차용되었다는 것이 통설이다. 참고로 영어에는 로망스어 계통의 같은 뜻을 지닌 접미사 '-or'도 있는데, 이는 '-er'하고는 어원상 서로 연관이 없는 가짜동족어이다. 반면 역시 프랑스어에서 빌려온 '-ier'는 '-er'와 어원은 같으나 유입 시기가 다른데 '-er' 쪽이 게르만조어 단계에서 가져온 단어이므로 훨씬 이른 시기에 들어온 말이다. 그래서 동원어이기는 해도 서로 직접 연관된 말은 아니다.[10] 물론 'man'과 비교하니 그렇다는 것이지 '-er'도 까마득한 과거에 게르만어로 들어온 차용어인지라 게르만어계 어휘하고도 곧잘 결합되고는 한다. 이를테면 "rider"는 'ride'와 '-er'가 합쳐졌는데 'ride'도 게르만 고유 어휘다.
로그가 누락된 본 문서의 기여자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