宋孝翼
1940년 10월 28일 ~ ([age(1940-10-28)]세)
1. 개요
대한민국의 전 정치인이다.2. 생애
1940년 10월 28일 경상북도 대구부 대봉정(현 대구광역시 남구 대명동) 2217번지에서 태어났다.[1] 원적지는 경상북도 성주군 초전면 고산리 578번지이다.[2] 대구명덕초등학교(8회), 대구중학교(11회), 대구상업고등학교[3](31회)를 졸업한 뒤 대구대학 정치학과에 진학했다. 1960년 4.19 혁명에 참여하였고, 같은 해 민족통일전국학생총연맹 경북대표 및 중앙총무위원으로 선출되었다. 1961년 5.16 군사정변이 일어나자 통일운동 관여 혐의로 투옥되었고, 1962년 한미행정협정을 촉구하는 선언문을 기초한 혐의로 구금되어 같은 해 대구대학 4학년을 중퇴하였다. 이후 중앙대학교 법정대학 정치외교학과(63학번)[4]를 졸업하였다. 이후에도 민주화 운동에 참여하였고, 사상계와 서울신문사에서도 근무하였다. 대한민국 육군 제50보병사단에서 군 복무를 마쳤다.1967년 제7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통일사회당 후보로 경상북도 대구시 남구 지역구에 출마하였으나 민주공화당 이효상 후보에 밀려 3위로 낙선하였다. 이후 연세대학교 행정대학원에서 행정학 석사 과정을 수료하였고, 제3세계문제연구소 소장을 지냈다.
1985년 제1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신정사회당 후보로 대구직할시 수성구·남구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민주정의당 이치호 후보와 신한민주당 신도환 후보에 밀려 5위로 낙선하였다. 1988년 제13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평화민주당 후보로 대구직할시 남구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민주정의당 이정무 후보에 밀려 5위로 낙선하였다. 1992년 제14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당 후보로 대구직할시 수성구 을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통일국민당 윤영탁 후보에 밀려 4위로 낙선하였다.
1996년 제15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무소속 후보로 대구광역시 남구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자유민주연합 이정무 후보에 밀려 9위로 낙선하였다.
3. 선거 이력
연도 | 선거종류 | 선거구 | 소속정당 | 득표수(득표율) | 당선여부 | 비고 |
1967 | 제7대 국회의원 선거 | 경북 대구 남[5] | | 869 (1.39%) | 낙선 (3위) | |
1985 | 제12대 국회의원 선거 | 대구 수성·남[6] | | 14,105 (4.88%) | 낙선 (5위) | |
1988 | 제13대 국회의원 선거 | 대구 남 | [[평화민주당| | 1,839 (1.38%) | ||
1992 | 제14대 국회의원 선거 | 대구 수성 을 | | 4,640 (5.69%) | 낙선 (4위) | |
1996 | 제15대 국회의원 선거 | 대구 남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1,500 (1.57%) | 낙선 (9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