솔나방 Pine moth | |
| |
학명 | Dendrolimus spectabilis Butler, 1877 |
<colbgcolor=#fc6> 분류 | |
계 | 동물계 Animalia |
문 | 절지동물문 Arthropoda |
강 | 곤충강 Insecta |
목 | 나비목 Lepidoptera |
과 | 솔나방과 Lasiocampidae |
속 | 솔나방속 Dendrolimus |
종 | 솔나방 D. spectabilis |
솔나방의 유충(송충이)
[clearfix]
1. 개요
나비목 솔나방과에 속하는 곤충의 일종.2. 상세
대한민국, 일본, 중국, 시베리아, 유럽 등지에 주로 분포한다.날개의 길이는 수컷이 25~30mm, 암컷이 28~48mm 정도이다. 수컷의 더듬이 빗살은 긴 반면, 암컷은 짧다. 대부분 바탕색은 갈색 계통이며 무늬는 수컷보다 암컷이 더 선명하다.
애벌레는 송충이라고 불리는데 낙엽 밑 또는 소나무 껍질 틈에서 겨울을 난다. 소나무류에 속하는 소나무, 솔송나무, 전나무 등의 잎을 먹으므로 해충에 속한다.
송충이는 온몸에 긴 털이 나 있는데 독이 있어 살갗에 닿게 되면 심히 근질근질하여 괴롭게 된다. 성충은 6월 ~ 7월과 8월 ~ 10월에 주로 발생한다.
3. 사람과의 관계
대한민국에서는 소나무를 보호하기 위해 1960년대에서 1980년대까지는 송충이 잡기 운동을 펼쳤다. 이 시기에는 도심에서도 심한 곳은 길바닥에 말 그대로 우수수 굴러다녀 피하는 것조차 불가능해 신발바닥에 녹색국물을 묻힌 채 거닐어야 했을 정도였다. 2000년대에는 사실상 도심에서 찾아보기 힘들 정도로 완전히 자취를 감추었다.[1] 하지만 2010년대 들어서 초중고등학교 조경수에 가능한 한 농약을 사용하지 않으려 하다보니 최소한 학교 내에서는 찾아보기 어렵지 않다. 그래도 예전처럼 파고라 아래서 까먹는 도시락 위로 뚝뚝 떨어질 정도는 아니지만...4. 기타
한때 한국에서 끼친 해악도 그렇고 성충보다는 유충이 더 눈에 잘 띄는 관계로 성충인 솔나방보다는 유충인 송충이가 더 인지도가 높으며, 백과사전 등에서도 솔나방보다는 송충이가 표제어로 올라올 때가 많을 정도다."송충이는 솔잎만 먹어야지 갈잎을 먹으면 죽는다"는 속담이 존재하며, 흔히 두꺼운 눈썹을 가지고 있는 사람을 보고 "송충이 눈썹"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밤나무 마름병으로 미국밤나무를 숙주 삼아 살아가던 미국의 여러 나방이 멸종한 사례로 볼 때, 기후위기 또는 소나무재선충으로 소나무 숲이 급감하면 멸종해버릴 지도 모른다. 물론 재선충에 저항력이 있는 미국산 소나무나 재선충과 관련이 없는 낙엽송이나 전나무에서도 살아갈 수는 있지만 이들도 기후위기로부터 그렇게 안전하지 않다.
[1] 사실 2000년대~2010년대 이후엔 도심지에선 송충이처럼 덩치 큰 나방 애벌레나 비슷하게 덩치 큰 나비류의 애벌레는 잘 보이지 않는다. 나방 닮은 선녀벌레는 아주 잘 보이지만 나비/나방류 애벌레들 중 그나마 여전히 잘 보이는 건 쌀나방 애벌레 정도.[2] 송충이 네가 왜 어깨서 나와… 도심 공원에 득실득실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