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시장
,
,
,
,
,
,
,
,
,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서울 | 부산 | 대구 | 인천 | |||||
오세훈 | 박형준 | 홍준표 | 유정복 | ||||||
광주 | 대전 | 울산 | 세종 | ||||||
강기정 | 이장우 | 김두겸 | 최민호 | ||||||
경기 | 강원 | 충북 | 충남 | ||||||
김동연 | 김진태 | 김영환 | 김태흠 | ||||||
전북 | 전남 | 경북 | 경남 | ||||||
김관영 | 김영록 | 이철우 | 박완수 | ||||||
제주 | |||||||||
오영훈 | |||||||||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임기: 2022년 7월 1일 ~ 2026년 6월 30일(예정) | |||||||||
1960-1961 · 민선 1기 · 민선 2기 · 민선 3기 · 민선 4기 · 민선 5기 · 민선 6기 · 민선 7기 | }}}}}}}}} |
세종특별자치시장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초대 유한식 | 제2·3대 이춘희 | 제4대 최민호 | ||
| }}}}}}}}} |
<colcolor=#fff> 세종특별자치시장 世宗特別自治市長 Mayor of Sejong City | |
현직 | <colbgcolor=#fff,#191919>최민호 / 제4대 (민선 8기) |
취임일 | 2022년 7월 1일 |
정당 | |
홈페이지 |
[clearfix]
1. 개요
세종특별자치시장은 세종특별자치시를 대표하고, 그 사무를 총괄하는 광역자치단체장이다.광역자치단체장 중에서 관할 인구가 가장 적지만, 서울특별시장[1]을 제외한 타 광역시장 및 도지사와 마찬가지로 차관급의 예우를 받는다.
세종특별자치시의 인구가 적고 그렇다고 제주특별자치도지사만한 자치권을 갖는 것도 아니지만[2] 세종특별자치시에 있는 정부세종청사에 정부기관들이 몰려 있는만큼 중요한 자리이다. 세종특별자치시장의 정치적 위상은 도지사보다는 실권을 가진 인천광역시장이나 울산광역시장 급에 가까우며, 현재는 아직 아니지만 정치권에서 차후 세종특별자치시장은 세종특별자치시장 경력 만으로 대통령 선거에 뛰어들 수 있을 정도로 영향력이 클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현재 세종특별자치시장직을 역임한 인물은 현직을 포함해 유한식, 이춘희, 최민호 3명인데, 마지막 연기군수를 역임한 유한식만 세종특별자치시 관내 출신이고, 이춘희와 최민호는 원래 관내 출신이 아니나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장을 역임한 뒤 세종특별자치시장직에 당선되었다.
연기군수의 실질적 후신이지만 공식적으로는 후신이 아니다. 따라서 대수는 승계되지 않고 초대부터 다시 카운트한다. 제주특별자치도, 강원특별자치도, 전북특별자치도의 경우 기존 도(광역자치단체) 영역과 100% 동일하고 이전과 이후 모두 도지사(광역자치단체장)로서 공식적으로 특별자치도지사가 후신이 되었지만, 연기군수 → 세종특별자치시장은 기초자치단체장이 광역자치단체장으로 바뀐 것이라 경우가 완전히 다르다.
2. 역대 세종특별자치시장
<rowcolor=white> 민선 (선출직) 세종특별자치시장 | |||||
<rowcolor=white> 대수 | 이름 | 재임 기간 | 당적[3] | 출신지 | 비고 |
초대 | 유한식 (兪漢植) | 2012년 7월 1일 ~ 2014년 6월 30일 | [[자유선진당| | 충남 연기 | [4] |
2대 | 이춘희 (李春熙) | 2014년 7월 1일 ~ 2018년 6월 30일 | [[새정치민주연합| | 전북 고창 | [5] |
3대 | 2018년 7월 1일 ~ 2022년 6월 30일 | | |||
4대 | 최민호 (崔旼鎬) | 2022년 7월 1일 ~ 현재 | | 대전 |
3. 생존 중인 전직 민선 세종특별자치시장
2025년 기준 전직 민선 세종특별자치시장은 전원 생존해 있다.- 유한식 (2012년 7월 1일 ~ 2014년 6월 30일 재임, 민선 5기, 1949년 6월 20일 출생, [age(1949-06-20)]세)
- 이춘희 (2014년 7월 1일 ~ 2022년 6월 30일 재임, 민선 6·7기, 1955년 12월 6일 출생, [age(1955-12-06)]세)
4. 역대 선거 결과
| ||||||
2012 | 2014 | 2018 | 2022 | |||
자유선진당 | 국민의힘 | |||||
유한식 | 이춘희 | 최민호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주요 후보 득표율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구분 | 주요 후보 득표율 | ||||
2012년 | 1위: [[자유선진당| 2위: [[민주통합당| 3위: [[새누리당| | |||||
2014년 | 1위: [[새정치민주연합| 2위: [[새누리당| | |||||
2018년 | 1위: 이춘희 71.30% 2위: [[자유한국당| 3위: [[바른미래당| | |||||
2022년 | 1위: 최민호 52.83% 2위: 이춘희 47.16% | }}}}}}}}} |
4.1. 2012년 상반기 재보궐선거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최민호(崔旼鎬) | 9,716 | 3위 |
[[새누리당| | 20.91% | 낙선 | |
2 | 이춘희(李春熙) | 17,349 | 2위 |
[[민주통합당| | 37.34% | 낙선 | |
3 | 유한식(兪漢植)[6] | 19,387 | 1위 |
[[자유선진당| | 41.73% | 당선 | |
계 | 선거인 수 | 80,059 | 투표율 59.14% |
투표 수 | 46,452 | ||
무효표 수 | 894 |
||<-6><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191919><tablebordercolor=#00529c><bgcolor=#00529c> 2012년 상반기 재보궐선거 세종특별자치시장 읍면별 개표 결과 ||
이 선거에 출마한 후보 3명은 모두 세종특별자치시장에 당선되었으며, 또한 이 선거에서 득표율 순서대로 세종특별자치시장을 지내게 된다.<colbgcolor=#eee,#353535> 정당 | 새누리당 | 민주통합당 | 자유선진당 | 격차 (1위/2위) | 투표율 (선거인/표수) |
후보 | 최민호 | 이춘희 | 유한식 | ||
득표수 (득표율) | 9,716 (20.91%) | 17,349 (37.34%) | 19,387 (41.73%) | +2,038 (△4.39) | 59.14% |
조치원읍 | 21.32% | 38.64% | 40.04% | △1.39 | 57.39% |
동면 | 16.46% | 30.55% | 52.99% | △22.45 | 57.51% |
서면 | 17.51% | 33.99% | 48.50% | △14.51 | 61.85% |
남면 | 16.89% | 53.59% | 29.52% | ▼24.07 | 64.25% |
금남면 | 15.83% | 38.28% | 45.89% | △7.61 | 58.80% |
전의면 | 20.69% | 23.10% | 56.21% | △33.12 | 53.43% |
전동면 | 23.47% | 23.31% | 53.22% | △29.91 | 58.55% |
소정면 | 19.98% | 21.96% | 58.06% | △36.10 | 55.18% |
공주시 반포면 | 33.05% | 33.05% | 33.90% | △0.85 | 57.19% |
공주시 장기면 | 26.09% | 42.92% | 31.00% | ▼11.92 | 57.73% |
공주시 의당면 | 26.49% | 35.64% | 37.87% | △2.23 | 62.41% |
청원군 부용면 | 29.06% | 41.90% | 29.03% | ▼12.87 | 58.45% |
후보 | 최민호 | 이춘희 | 유한식 | 격차 | |
부재자투표 | 24.81% | 39.41% | 35.78% | ▼3.62 |
4.2.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유한식(兪漢植) | 26,451 | 2위 |
[[새누리당| | 42.21% | 낙선 | |
2 | 이춘희(李春熙) | 36,203 | 1위 |
[[새정치민주연합| | 57.78% | 당선 | |
계 | 선거인 수 | 101,559 | 투표율 62.65% |
투표 수 | 63,629 | ||
무효표 수 | 975 |
||<-5><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191919><tablebordercolor=#0082cd><bgcolor=#0082cd>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세종특별자치시장 읍면동별 개표 결과 ||
정당 | 새누리당 | 새정치민주연합 | 격차 (1위/2위) | 투표율 (선거인/표수) |
후보 | 유한식 | 이춘희 | ||
득표수 (득표율) | 26,451 (42.21%) | 36,203 (57.78%) | -9,752 (▼15.57) | 62.65% |
조치원읍 | 40.37% | 59.62% | ▼19.25 | 57.54% |
연기면 | 53.23% | 46.76% | △6.47 | 61.89% |
연동면 | 56.44% | 43.55% | △12.89 | 61.82% |
부강면 | 57.35% | 42.64% | △14.71 | 64.99% |
금남면 | 44.45% | 55.54% | ▼11.09 | 57.79% |
장군면 | 55.68% | 44.31% | △11.37 | 56.95% |
연서면 | 51.90% | 48.09% | △3.81 | 61.12% |
전의면 | 59.76% | 40.23% | △19.53 | 56.13% |
전동면 | 58.96% | 41.03% | △17.93 | 55.48% |
소정면 | 64.98% | 35.01% | △29.97 | 52.50% |
한솔동 | 20.66% | 79.33% | ▼58.67 | 67.10% |
도담동 | 28.35% | 71.64% | ▼43.29 | 63.65% |
후보 | 유한식 | 이춘희 | 격차 | |
거소투표 | 53.09% | 46.90% | △6.19 | |
관외사전투표 | 39.14% | 60.85% | ▼21.71 |
세종특별자치시장 출구조사 결과 | |||
<colbgcolor=#eee,#353535> 후보 | 유한식 | 이춘희 | 격차 |
전체 | 43.9% | 56.1% | 12.2%p |
4.3.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이춘희(李春熙) | 96,896 | 1위 |
| 71.30% | 당선 | |
2 | 송아영(宋雅永) | 24,546 | 2위 |
[[자유한국당| | 18.06% | 낙선 | |
3 | 허철회(許哲會) | 14,444 | 3위 |
[[바른미래당| | 10.64% | 낙선 | |
계 | 선거인 수 | 222,852 | 투표율 61.75% |
투표 수 | 137,603 | ||
무효표 수 | 1,717 |
세종특별자치시장 출구조사 결과 | |||
<colbgcolor=#eee,#353535> 후보 | 이춘희 | 송아영 | 격차 |
전체 | 72.2% | 18.0% | 54.2%p |
전국 득표율 1위 당선인이 바로 세종특별자치시의 아름동에서 나왔는데, 더불어민주당과 자유한국당이 1:1로 붙은 시의원 선거에서 더불어민주당 시의원이 무려 87.39%라는 경악할 정도의 득표율을 보여주었다. 다시 말해서, 자유한국당은 12.61%에 그쳐, 선거비 전액 보전을 못 받았다. 이춘희가 동 지역에서 평균 75.08%라는 득표율을 보여줬는데, 아름동에서만 77.44%가 나왔다. 그야말로, 동 자체가 더불어민주당 성향이라고 봐도 무방할 정도다. 제19대 대통령 선거에서는 문재인 전 대통령에게 무려 60.29%라는 득표율을 보여주었다. 비호남권에서 사상 최초로 범진보 정당의 지지율이 80%를 돌파한 지역이다.
4.4.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이춘희(李春熙) | 69,995 | 2위 |
| 47.16% | 낙선 | |
2 | 최민호(崔旼鎬) | 78,415 | 1위 |
| 52.83% | 당선 | |
계 | 선거인 수 | 292,259 | 투표율 51.24% |
투표 수 | 149,751 | ||
무효표 수 | 1,341 |
선거 벽보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 |
세종특별자치시장 출구조사 결과 | |||
<colbgcolor=#eee,#353535> 후보 | 이춘희 | 최민호 | 격차 |
전체 | 49.4% | 50.6% | 1.2%p경합 |
이는 현직인 이춘희 후보에 대한 반감이 크게 영향을 미쳤는데, 실제로 제20대 대통령 선거 때만 해도 윤석열이 이기긴 했지만 2%p대의 경합 우세였던 조치원읍에선 최민호 후보에게 몰표가 나오며 무려 25%p 격차로 패했고, 동 지역에서도 몇몇 지역에선 최민호 후보에게 우위를 내줬다. 심지어 제20대 대통령 선거 당시 가장 이재명에게 표를 많이 준 아름동에서도 고작 885표(11%) 차이로 앞서는 데 그쳤다. 다만 세종특별자치시의회에서는 더불어민주당이 1당을 그대로 유지한 만큼 아직도 보수세에 비해 민주당세가 우위라는 사실은 여전하며, 이춘희 개인에 대한 부정적 평가가 더불어민주당 지지층들도 등을 돌리게 만들었다고 해석하는 편이 옳다.[8]
4.5. 제9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0 | ||
| 00.00% | ||
2 | 0 | ||
| 00.00% | ||
계 | 선거인 수 | 투표율 00.00% | |
투표 수 | |||
무효표 수 |
선거 벽보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 |
세종특별자치시장 출구조사 결과 | |||
<colbgcolor=#eeeeee,#353535> 후보 | ○○○ | ○○○ | 격차 |
전체 | 00.00% | 00.00% | 00.00%p |
5. 역대 정당별 전적
민주당계 정당 | 보수 정당 | 제3후보[9] | |
재보선 | 이춘희 | 최민호 | 유한식[10] |
[[민주통합당| | [[새누리당| | [[자유선진당| | |
낙선 37.34% | 낙선 20.91% | 당선 41.73% | |
6회 | 이춘희 | 유한식 | - |
[[새정치민주연합| | [[새누리당| | ||
당선 57.78% | 낙선 42.21% | ||
7회 | 이춘희 | 송아영 | 허철회[11] |
| [[자유한국당| | [[바른미래당| | |
당선 71.30% | 낙선 18.06% | 낙선 10.64% | |
8회 | 이춘희 | 최민호 | - |
| | ||
낙선 47.16% | 당선 52.83% | ||
9회 | ○○○ | ○○○ | - |
| | ||
- | - |
6. 역대 후보별 순위
<rowcolor=#000000,#fff> | 1위 | 2위 | 3위 |
재보선 | 유한식 | 이춘희 | 최민호 |
6회 | 이춘희 | 유한식 | |
7회 | 이춘희 | 송아영 | 허철회 |
8회 | 최민호 | 이춘희 | |
9회 |
- 사퇴, 사망, 등록 무효 후보 제외.
7. 시정 구호
시장 | 시정 구호 |
유한식 | <colcolor=#000000,#fff> 누구나 살고 싶은 행복도시 세종 |
이춘희 | 대한민국의 새로운 중심 행복도시 세종[12] |
시민주권 특별자치시 행정수도 세종[13] | |
최민호 | 창조와 도전의 미래전략수도 세종 |
8. 이야깃거리
세종특별자치시가 정식 출범하고 치르는 2012년 상반기 재보궐선거에 출마한 세 후보 모두 세종특별자치시장을 역임하였다.9. 관련 문서
[1] 장관급.[2] 이름이 비슷한 특별자치도와는 달리 광역시와 비슷한 자치권을 갖는다.[3] 선거 당시 당적.[4] 2012.11.16.
[[새누리당|
]]으로 흡수 합당.[5] 2015.12.28.
으로 당명 변경.[6] 직전 연기군수.[7] 다만 여론조사에서 오차범위 내지만 최민호 후보가 근소하게 이춘희 후보를 앞서는 결과가 계속 나오면서 국민의힘 측에서도 긍정적 전망이 나오긴 했다.[8] 다음 지방선거 때는 모두의 예상대로 다시 민주당 시장으로 바뀔 공산이 높다.[9] 3% 이상 득표자만 기재.[10] 보수 정당 후보.[11] 제3지대 정당 후보.[12] 민선 6기.[13] 민선 7기.
[[새누리당|
으로 당명 변경.[6] 직전 연기군수.[7] 다만 여론조사에서 오차범위 내지만 최민호 후보가 근소하게 이춘희 후보를 앞서는 결과가 계속 나오면서 국민의힘 측에서도 긍정적 전망이 나오긴 했다.[8] 다음 지방선거 때는 모두의 예상대로 다시 민주당 시장으로 바뀔 공산이 높다.[9] 3% 이상 득표자만 기재.[10] 보수 정당 후보.[11] 제3지대 정당 후보.[12] 민선 6기.[13] 민선 7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