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21 23:40:36

서울대학교/교양교육과정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서울대학교


서울대학교 기초교육원 홈페이지[1]

1. 개요2. 2025년 이전
2.1. 교양교육과정 구성2.2. 교양 이수규정2.3. 학문의 기초2.4. 사고와 표현2.5. 외국어2.6. 수량적 분석과 추론2.7. 과학적 사고와 실험2.8. 컴퓨터와 정보 활용
3. 2025년 이후
3.1. 학문의 토대3.2. 지성의 열쇠3.3. 베리타스3.4. 지성의 확장

1. 개요

서울대학교에서 개설되는 방대한 종류의 교양 과목들과 학과별 이수 규정에 대해 설명한다.

모든 학과들은 졸업 전까지 일정 수준 이상의 교양과목 이수 조건을 요구한다.

재학생들은 전공 이수 규정은 대체로 쉽게 만족시키는 편이나, 교양 과목들의 경우 수강신청 난이도가 높은 것들이 많고 상당히 복잡한 측면도 있기에 고학년, 심지어 졸업학기가 되어서야 부랴부랴 수강하는 경우도 많다.

2. 2025년 이전

2.1. 교양교육과정 구성

크게 학문의 기초, 학문의 세계, 선택교양 이 3개의 대분류로 나뉜다.
그렇기에 가장 공부량이 많고 빡센 교양이면서도, 동시에 전공 진입에 있어서는 가장 중요한 과목들이 이 영역에 포진해있기도 하다. 예를 들어 이공계 학생이 본 영역의 교양수학을 제대로 공부해놓지 않으면 이후의 전공 내용들을 이해하기 매우 힘들어질 것이다.[2] 본 영역의 교과목들은 교양이라 생각한다기 보다는 전공 체험판(?)이라고 생각하며 공부하는 과목이라고 평소에 생각해 놓는 것이 심리적 측면에서나 학점 측면에서나 편하다.

2.2. 교양 이수규정

서울대학교는 단과대별로, 혹은 학과별로 이수규정이 상이하기 때문에 본 문서에서 이를 전부 설명하는 것은 비효율적이고, 자세한 내용을 원하면 본 내용을 참조하면 좋을 것이다.

2.3. 학문의 기초

분석적이며 종합적인 읽기 능력과 논리적이고 비판적으로 사고할 수 있는 능력을 함양한다. 말과 글을 통해 생각을 표현하고 소통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도록 한다. [3]

2.4. 사고와 표현

2.5. 외국어

2.6. 수량적 분석과 추론

2.7. 과학적 사고와 실험

2.8. 컴퓨터와 정보 활용

3. 2025년 이후


교양 교육과정이 개편되어 학문의 토대, 지성의 열쇠, 베리타스, 지성의 확장으로 나뉜다.
(서울대학교 학부대학 홈페이지의 순서를 따름)

파일:서울대학교 교양 개편.jpg

3.1. 학문의 토대

학문의 토대는 글쓰기와 말하기, 외국어, 수학·과학·컴퓨팅으로 나뉜다.

3.2. 지성의 열쇠

문화 해석과 상상
역사적 탐구와 철학적 사유
인간의 이해와 사회 분석
과학적 사고와 응용

이 있다.

3.3. 베리타스

베리타스 강좌 1
베리타스 강좌 2
베리타스 실천

이 있다.

3.4. 지성의 확장


지식의 세계
공감과 공존
자율과 창의
예술과 체육
학부생 세미나

이 있다.
[1] 서울대학교의 모든 교양 과목들을 총괄하는 곳이다.[2] 1학년때 완벽히 마스터해놓아야 한다는 뜻이 아니고, 나중에 공식이나 아이디어 등을 까먹었을 때 해당 교양수학 책을 다시 피며 전체적인 흐름을 기억해낼 수 있을 만큼은 숙지를 해놓는 것이 좋다.[3] 기초교육원에 나와있는 공식 서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