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4-08 11:30:46

서문여자고등학교

서문여고에서 넘어옴


이 문서는 학교 관련 문서이며, 로그인 후 수정 가능합니다. 다음과 같은 서술은 작성 시 편집권 남용으로 간주되어 제재될 수 있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
  • 현황과 역사를 불문하고 학교 간 우열이나 서열을 확정·조장하는 서술과 학교 수준을 비하하는 서술
  • 학교 내 특정 임의 단체(급식, 매점 등)와 교내 학생 단체(동아리, 학생회 등)에 관한 서술
  • 언론에 보도되지 않은 학교 관련 사건 사고에 관한 서술
  • 학교 밖에서 알려지지 않은 교사나 학생에 관한 서술
  • 템플릿:학교에 존재하지 않는 문단에 관한 서술
  • 편집지침에 어긋나는 서술
서문여자고등학교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파일:서초구 CI_White.svg 서울특별시 서초구 고등학교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letter-spacing: -1px"
남자고등학교
,
여자고등학교
,
이외 남녀공학

※: 자사고, ⊙: 자공고, ▣: 특목고, ◈: 특성화고, 이외 일반계고
동덕여자고등학교 반포고등학교 상문고등학교 서문여자고등학교
서울고등학교 서울웹툰애니메이션고등학교 서초고등학교 세화고등학교
세화여자고등학교 양재고등학교 언남고등학교
}}}}}}}}} ||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 각종학교
학교 틀 둘러보기

파일:서울특별시교육청 휘장.svg 강남 8학군 소속 고등학교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tablebgcolor=#fff,#1F2023> 강남구 개포고등학교경기고등학교경기여자고등학교단국대학교사범대학부속고등학교서울세종고등학교숙명여자고등학교압구정고등학교영동고등학교은광여자고등학교중동고등학교중산고등학교중앙대학교사범대학부속고등학교진선여자고등학교청담고등학교풍문고등학교현대고등학교휘문고등학교
서초구 동덕여자고등학교반포고등학교상문고등학교서문여자고등학교서울고등학교서초고등학교세화고등학교세화여자고등학교양재고등학교언남고등학교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20px 10px; background-image: #088A08
'''[[틀:학교법인 성산학원|{{{#088a08 {{{-1 학교법인 }}}{{{+1 성산학원}}}}}}]]'''
서문여자중학교 서문여자고등학교
서문여자고등학교
瑞文女子高等學校
Suhmoon Girls' High School
파일:tjans.png
<nopad>
<colbgcolor=#088a08> 개교 1973년 3월 5일
유형 일반고등학교
성별 여자고등학교
형태 사립학교
학교법인 성산학원[1]
교장 제13대 김계영
교훈 견지 · 창조 · 공생
교화 목련
교목 은행나무
학생 수 918명 [기준]
교직원 수 78명 [기준]
관할청 서울특별시강남서초교육지원청
주소 서울특별시 서초구 동광로 12길 84 (방배동)
홈페이지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1. 개요2. 학교 연혁3. 교훈 및 상징
3.1. 교가
4. 학교 특징
4.1. 복장
5. 학교 생활
5.1. 방과 후 학교5.2. 주요 행사
6. 학교 시설
6.1. 본관6.2. 3학년관6.3. 체육관, 급식실6.4. 도서관
7. 출신 인물8. 이용 가능한 대중교통9. 사건 사고10. 기타11. 관련 문헌

1. 개요

서울특별시 서초구 방배동에 위치한 강남 8학군 사립 여자고등학교이다. 같은 재단인 서문여자중학교와 함께 있다.

2. 학교 연혁

3. 교훈 및 상징

3.1. 교가

파일:서문여자고등학교교가.png
박종화 작사, 김동진 작곡의 곡이다. 스펀지에 별이 교가에 가장 많이 등장하는 학교로 나온 적이 있으며,[4] 라디오에도 나왔었다.

4. 학교 특징

4.1. 복장

5. 학교 생활


2025학년도부터 월, 수, 목은 6교시 후 하교한다. 매주 금요일 6, 7교시는 창체 시간으로 지정되어있다. 방송교육[8]또는 학급 자치회 등의 활동을 한다. 동아리 활동을 보통 금요일 5, 6, 7교시에 연속해서 하며 그날 못한 5교시 수업을 주로 창체시간에 한다.
추가적으로 서문여고에서는 독서노트로 독서록을 대신한다.[9]

5.1. 방과 후 학교

1학기 때 1기, 여름방학 때 2기, 2학기 때 3기, 겨울방학 때 4기로 총 3번의 방과후학교가 있다.
방과후학교가 생활기록부 기록이 가능했을 때에는 학원을 미루고 방과후학교를 2개, 3개씩 듣는 경우가 많아 방과후학교 목록에 있기만 하면 개설이 확정된것이나 다름 없었지만, 생기부 기록이 불가능해지자 방과후학교에 대한 관심은 없어져 10개를 계획해도 실제로 개설이 되는건 2, 3개 정도밖에 없다. 이마저도 개근할 필요가 없으니 다들 빠지거나 중간에 취소하는 경우가 많다.
한 강의당 내는 비용은 13만원 정도이다. 인원이 20명을 못채우면 이것보다 많이 내기도 한다.

5.2. 주요 행사

추가로 2019년 기준 서문여자고등학교의 축제인 서문 축전이 몇년만에 개방을 허용하였다.
지금은 축전 외부인 개방이 안된다.

6. 학교 시설

6.1. 본관

총 4층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구성은 다음과 같다.
1층: 교사용 식당, 3학년부, 교무기획부, 국어1실, 교장실.
2층: 1학년 1반~12반. 1학년부, 연구부, 창의체험부, 학생회실, 영어교실1
3층: 2학년 1반~12반. 2학년부, 학생안전부, 진로상담부, 파스칼실
4층: 또래상담실
각 층의 계단을 바라보는 방향 기준 왼쪽 복도 끝은 3학년 건물과 연결되어있다. 복도 중앙은 계단, 양 끝쪽은 빗길로 오르내릴 수 있도록 되어있다. 2, 3층은 양 끝 복도에 여자 화장실과 정수기[10]가 마련되어있으며 남자화장실은 1층에 위치하고 있다. 1층 복도 중앙에는 성산학원 창립자 초상화가 걸려있다. 건물의 뒷편에는 벚꽃나무들이 심어져 있고 매점과 함께 앉아서 쉴 수 있는 별 혜움터가 마련되어 있다.

6.2. 3학년관

6.3. 체육관, 급식실

서문여자중학교와 같은 체육관, 급식실을 이용한다. 체육관의 경우 수업시간을 최대한 겹치지 않게 운영한다. 급식실은 고등학생들이 먼저 이용한 후 중학생들이 이용한다.

6.4. 도서관

7. 출신 인물

8. 이용 가능한 대중교통

파일:서문여자고등학교위치.png
서초구의 서쪽 끝에 있으며, 동작구와 인접해 있다. 교통편으로는 총신대입구(이수)역 4호선, 이수역 7호선, 040번, 148번, 350번, 502번, 540번, 643번, 742번, 752번, 4212번, 4318번, 4319번, 5524번, 8541번, 동작07번, 동작17번, 서초05번, 서초06번, 서초13번, 서초14번, 서초16번, 11-2번, 11-5번, 7007-1번, 6016번 등이 있다.

9. 사건 사고

10. 기타

11. 관련 문헌


[1] 용산구에 위치한 배문중학교, 배문고등학교와 같은 재단(학교법인 성산학원) 소속이었으나 2019년에 배문학원을 따로 설립 하였다.[기준] 2024년 3월 4일[기준] [4] 무려 20번이다.[5] 동복과 하복 치마 모두 무릎 밑으로 내려와야 한다. 줄이면 바로 잡히는 경우가 많고 대부분 줄이지 않는다.[6] 체육 시간에만 입어야 한다. 등하교시 체육복 착용에 매우 엄격한 편. 시험기간 한정 잠시 허용해 주기도 한다. 일과시간 중에는 크게 잡지 않는다[7] 담임의 재량에 따라 30분이거나 35분인 반도 있다.[8] 성폭력예방교육, 환경보존교육, 경제교육 등등이 있다. 자습하는 친구들이 많다[9] 입학할 때 하나 주어지며 잃어버린다 해도 새로 받을 수 없다. 교과 세특이나 자율활동에 읽은 책을 입력하려고 할 때 선생님들이 독서노트를 요구하는 경우가 있으니 유의하자.[10] 정수기는 중앙에도 있다.[11] 단, 졸업·전학·자퇴·제적 등 학적변동 여부를 명시한다.[재학] 현재 재학 중[13] #서문여고를 빛낸 방송·연예계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