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문여자고등학교 관련 틀 | |||||||||||||||||||||||||||||||
|
서문여자고등학교 瑞文女子高等學校 Suhmoon Girls' High School | |
| |
<nopad> | |
<colbgcolor=#088a08> 개교 | 1973년 3월 5일 |
유형 | 일반고등학교 |
성별 | 여자고등학교 |
형태 | 사립학교 |
학교법인 | 성산학원[1] |
교장 | 제13대 김계영 |
교훈 | 견지 · 창조 · 공생 |
교화 | 목련 |
교목 | 은행나무 |
학생 수 | 918명 [기준] |
교직원 수 | 78명 [기준] |
관할청 | 서울특별시강남서초교육지원청 |
주소 | 서울특별시 서초구 동광로 12길 84 (방배동) |
홈페이지 | |
1. 개요
서울특별시 서초구 방배동에 위치한 강남 8학군 사립 여자고등학교이다. 같은 재단인 서문여자중학교와 함께 있다.2. 학교 연혁
- 1972.06.17 서문여자고등학교 예비인가
- 1972.12.24 현 본관 중심부 완공(연면적 2,347㎡)
- 1972.12.29 서문여자고등학교 본 인가(각 학년 10학급)
- 1972.12.29 초대 교장 설립자 조서희 선생 취임
- 1972.12.29 학교법인 배문학원을 학교법인 성산학원으로 명칭 변경
- 1973.03.05 서문여자고등학교 개교식 및 제1회 입학식(610명)
- 1973.11.13 현 본관 증축공사 준공(연면적 6,707㎡)
- 1973.12.28 학급 증설인가(인가 학급수 각 학년 12학급 총 36학급)
- 1974.03.05 제2대 교장 이종하 선생님 취임
- 1974.12.02 학급 증설인가(인가 학급수 각 학년 15학급 총 45학급)
- 1975.05.30 별관 교사 준공(연면적 2,871㎡)
- 1975.09.09 서문여자고등학교 체육관 <성산관> 준공(연면적 1,204㎡)
- 1976.02.25 제3대 교장 염홍천 선생님 취임
- 1976.02.28 제1회 졸업생 585명 배출
- 1977.06.13 생활관 준공(연면적 2,149㎡)
- 1979.04.16 일본학교법인 호리꼬시(堀越)학원과 자매결연
- 1980.05.23 제4대 교장 양학환 선생님 취임
- 1981.06.28 도서관 준공(연면적 264㎡)
- 1982.03.02 제5대 교장 조하급 선생님 취임
- 1982.04.30 조경공사 준공
- 1983.12.29 배구부 숙소 <목련관> 및 발간실 준공(연면적 1,124㎡)
- 1984.03.20 전산실 설치 (총 33대)
- 1984.06.13 시청각실 기자재 설치
- 1987.03.04 학교법인 성산학원 제3대 이사장 조서희 선생 취임
- 1991.04.30 학교법인 성산학원 제4대 이사장 이정금 여사 취임
- 1992.05.22 교훈탑 제막
- 1994.02.21 설립자 성산 조서희 선생 동상 제막
- 1999.02.11 목련관 3층으로 개축(연면적 578㎡)
- 2001.07.02 학교급식시설 및 매점 증축(연면적 321㎡)
- 2004.08.31 정보화 도서관 리모델링 공사(연면적 248㎡)
- 2005.08.30 시청각실 리모델링 공사(156평방미터)
- 2006.08.22 제6대 교장 이종범 선생님 취임
- 2007.09.01 제7대 교장 정징 선생님 취임
- 2010.01.31 교과교실(국어 2실, 수학 3실, 영어 3실) 준공
- 2011.01.27 성산관 준공(연면적 4,746㎡)
- 2011.03.01 제8대 교장 한형인 선생님 취임
- 2011.05.16 학교법인 성산학원 제 5대 이사장 조하급 박사 취임
- 2011.12.30 체육관 리모델링 공사 준공(연면적 1,936㎡)
- 2015.02.04 제40회 졸업생 507명 배출(누계 29,272명)
- 2015.03.01 제9대 교장 박화종 선생님 취임
- 2019.01.30 제44회 졸업생 494명 배출(누계 31,264명)
- 2019.03.01 제10대 교장 한승훈 선생님 취임
- 2020.02.26 꿈담학습카페 준공(연면적 128.2㎡)
- 2020.04.03 <서문역사관> 준공(연면적 180㎡)
- 2020.05.22 <오천서정(五天瑞亭)> 준공(연면적 141.8㎡)
- 2021.03.01 제11대 교장 유만선 선생님 취임
- 2022.02.09 제47회 졸업생 295명 배출(누계 32,202명)
- 2022.03.01 제12대 교장 김병화 선생님 취임
- 2023.02.08 제48회 졸업생 290명 배출(누계 32,492명)
- 2023.04.07 학교법인 성산학원 제6대 이사장 김순옥 여사 취임
3. 교훈 및 상징
3.1. 교가
4. 학교 특징
4.1. 복장
- 동복 : 체크무늬 치마 또는 긴바지.[5] 넥타이와 리본 택1. 치마와 같은 무늬인 단추 조끼. 어두운 남색 마이.
- 춘추복 : 동복에서 마이 제외.
- 하복 : 반팔 셔츠 두 종류. 회색리본. 회색 치마 또는 긴바지.
- 생활복 : 회색 반팔 상의(하복 치마와 착용). 어두운 남색 기모 바지(춘추복 또는 동복 상의와 착용)
- 체육복[6] : 하복 - 연한 노란색 반팔과 초록색 반바지. 동복 - 하얀색 상의와 남색 바지에 줄무늬.
- 기타 : 어두운 남색 가디건. 회색 후드집업. 초록색 야구잠바.
5. 학교 생활
- 아침 7시 40분[7]: 등교
- 7시 45분 ~ 7시 55분: 아침 자습
- 8시 ~ 11시 50분: 한 교시당 수업 50분 쉬는시간 10분. 1~4교시
- 11시 50분 ~ 12시 40분: 점심시간
- 12시 45분~ 12시 55분: 점심 자습
- 1시 ~ 1시 50분: 5교시
- 2시 ~ 2시 50분: 6교시
- 2시 50분 ~ 3시 10분: 청소시간
- 3시 10분 ~ 4시: 7교시
2025학년도부터 월, 수, 목은 6교시 후 하교한다. 매주 금요일 6, 7교시는 창체 시간으로 지정되어있다. 방송교육[8]또는 학급 자치회 등의 활동을 한다. 동아리 활동을 보통 금요일 5, 6, 7교시에 연속해서 하며 그날 못한 5교시 수업을 주로 창체시간에 한다.
추가적으로 서문여고에서는 독서노트로 독서록을 대신한다.[9]
5.1. 방과 후 학교
1학기 때 1기, 여름방학 때 2기, 2학기 때 3기, 겨울방학 때 4기로 총 3번의 방과후학교가 있다.
방과후학교가 생활기록부 기록이 가능했을 때에는 학원을 미루고 방과후학교를 2개, 3개씩 듣는 경우가 많아 방과후학교 목록에 있기만 하면 개설이 확정된것이나 다름 없었지만, 생기부 기록이 불가능해지자 방과후학교에 대한 관심은 없어져 10개를 계획해도 실제로 개설이 되는건 2, 3개 정도밖에 없다. 이마저도 개근할 필요가 없으니 다들 빠지거나 중간에 취소하는 경우가 많다.
한 강의당 내는 비용은 13만원 정도이다. 인원이 20명을 못채우면 이것보다 많이 내기도 한다.
5.2. 주요 행사
- 학원창립기념식 - 5월
- 수련회 (1학년) - 5월
- 수학여행 (2학년) - 5월
- 서문체전 - 10월
- 서문축전 - 10월
추가로 2019년 기준 서문여자고등학교의 축제인 서문 축전이 몇년만에 개방을 허용하였다.
지금은 축전 외부인 개방이 안된다.6. 학교 시설
- 고등학교 1, 2학년 건물 (본관)
- 고등학교 3학년 건물 (3학년관 또는 별관)
- 성산관 (2층에 체육관, 1층에 급식실)
- 성산당 (지상에 도서관, 지하에 시청각실, 시청각실은 오천홀이라고도 불린다.)
- 중학교 건물
6.1. 본관
총 4층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구성은 다음과 같다.
1층: 교사용 식당, 3학년부, 교무기획부, 국어1실, 교장실.
2층: 1학년 1반~12반. 1학년부, 연구부, 창의체험부, 학생회실, 영어교실1
3층: 2학년 1반~12반. 2학년부, 학생안전부, 진로상담부, 파스칼실
4층: 또래상담실
1층: 교사용 식당, 3학년부, 교무기획부, 국어1실, 교장실.
2층: 1학년 1반~12반. 1학년부, 연구부, 창의체험부, 학생회실, 영어교실1
3층: 2학년 1반~12반. 2학년부, 학생안전부, 진로상담부, 파스칼실
4층: 또래상담실
각 층의 계단을 바라보는 방향 기준 왼쪽 복도 끝은 3학년 건물과 연결되어있다. 복도 중앙은 계단, 양 끝쪽은 빗길로 오르내릴 수 있도록 되어있다. 2, 3층은 양 끝 복도에 여자 화장실과 정수기[10]가 마련되어있으며 남자화장실은 1층에 위치하고 있다. 1층 복도 중앙에는 성산학원 창립자 초상화가 걸려있다. 건물의 뒷편에는 벚꽃나무들이 심어져 있고 매점과 함께 앉아서 쉴 수 있는 별 혜움터가 마련되어 있다.
6.2. 3학년관
6.3. 체육관, 급식실
서문여자중학교와 같은 체육관, 급식실을 이용한다. 체육관의 경우 수업시간을 최대한 겹치지 않게 운영한다. 급식실은 고등학생들이 먼저 이용한 후 중학생들이 이용한다.6.4. 도서관
7. 출신 인물
- 김민경 : 음악인이다. 뎁이라는 예명으로 활동하고 있다.
- 김민선 : 스피드스케이팅 선수
- 김자연
- 김태연: 배우
- 김하늘: 골프선수
- 김지성 : 배우
- 미란이: 래퍼
- 박나림 : 아나운서
- 박담채 : 유튜버
- 박시은 : 배우 (1997년 서문여고 얼짱 3인방 중 한 사람 이효리, 박시은, 한지민)[ * 당시 재학생에 의하면 이 세 명이 묻힐 정도로 예쁜 학생들이 꽤 있었다고 한다.]
- 서연 : 걸그룹 첫사랑의 멤버.[재학]
- 오미화
- 오지혜 : 배우
- 우연
- 이세영 : 배우
- 이소영 : 여성 인플루언서
- 이소은
- 이승연
- 이연경
- 이영 : 제21대 국회의원
- 이정희 : 변호사, 정치인
- 이화선 : 모델, 배우, 카레이서. 이효리와 고등학교 시절 같은 반이었다고 한다.
- 이효리 : 가수, 방송인[13]
- 임상민
- 임세령 : 대상그룹 임창욱 회장의 장녀이자, 대상그룹 부회장.
- 장연주 : 가수
- 장옥주
- 장필순 : 가수
- 정경순 : 배우
- 진지희
- 채유미 : 서울특별시의회의원
- 한지민 : 배우
- 황수경 : 前 아나운서
- 황수경 : 공무원
- 온보현 사건의 피해자 박주윤# : 교사
8. 이용 가능한 대중교통
서초구의 서쪽 끝에 있으며, 동작구와 인접해 있다. 교통편으로는 총신대입구(이수)역 4호선, 이수역 7호선, 040번, 148번, 350번, 502번, 540번, 643번, 742번, 752번, 4212번, 4318번, 4319번, 5524번, 8541번, 동작07번, 동작17번, 서초05번, 서초06번, 서초13번, 서초14번, 서초16번, 11-2번, 11-5번, 7007-1번, 6016번 등이 있다.
9. 사건 사고
10. 기타
- 코로나로 문을 닫았던 매점이 2022년 하반기쯤 다시 열렸다.
- 학교 골프부가 유명하며, 학교에서도 많은 관심과 지원을 주고 있다. 그 외 운동부로는 배구부가 있다.
11. 관련 문헌
[1] 용산구에 위치한 배문중학교, 배문고등학교와 같은 재단(학교법인 성산학원) 소속이었으나 2019년에 배문학원을 따로 설립 하였다.[기준] 2024년 3월 4일[기준] [4] 무려 20번이다.[5] 동복과 하복 치마 모두 무릎 밑으로 내려와야 한다. 줄이면 바로 잡히는 경우가 많고 대부분 줄이지 않는다.[6] 체육 시간에만 입어야 한다. 등하교시 체육복 착용에 매우 엄격한 편. 시험기간 한정 잠시 허용해 주기도 한다. 일과시간 중에는 크게 잡지 않는다[7] 담임의 재량에 따라 30분이거나 35분인 반도 있다.[8] 성폭력예방교육, 환경보존교육, 경제교육 등등이 있다. 자습하는 친구들이 많다[9] 입학할 때 하나 주어지며 잃어버린다 해도 새로 받을 수 없다. 교과 세특이나 자율활동에 읽은 책을 입력하려고 할 때 선생님들이 독서노트를 요구하는 경우가 있으니 유의하자.[10] 정수기는 중앙에도 있다.[11] 단, 졸업·전학·자퇴·제적 등 학적변동 여부를 명시한다.[재학] 현재 재학 중[13] #서문여고를 빛낸 방송·연예계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