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bordercolor=#074ca1><tablebgcolor=#074ca1> | 삼성 라이온즈 역대 시즌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color: #000000; margin:-6px -2px -12px" | 1982 | 1983 | 1984 | 1985 | 1986 |
2위 | 4위 | 2위 | '''1위 ''' | 2위 | |
1987 | 1988 | 1989 | 1990 | 1991 | |
2위 | 3위 | 4위 | 2위 | 3위 | |
1992 | 1993 | 1994 | 1995 | 1996 | |
4위 | 2위 | 5위 | 5위 | 6위 | |
1997 | 1998 | 1999 | 2000 | 2001 | |
4위 | 3위 | 매직 1위 | 드림 3위 | 2위 | |
2002 | 2003 | 2004 | 2005 | 2006 | |
'''1위 ''' | 4위 | 2위 | '''1위 ''' | '''1위 ''' | |
2007 | 2008 | 2009 | 2010 | 2011 | |
4위 | 4위 | 5위 | 2위 | '''1위 ''' | |
2012 | 2013 | 2014 | 2015 | 2016 | |
'''1위 ''' | '''1위 ''' | '''1위 ''' | 2위 | 9위 | |
2017 | 2018 | 2019 | 2020 | 2021 | |
9위 | 6위 | 8위 | 8위 | 3위 | |
2022 | 2023 | 2024 | 2025 | 2026 | |
7위 | 8위 | 2위 | ?위 | ?위 | |
■: 우승|■: 준우승 | ■: 포스트시즌 진출 |
삼성 라이온즈 시즌별 성적 | ||||
프로야구 창립 | ← | 1982 시즌 | → | 1983 시즌 |
삼성 라이온즈 1982년 페넌트레이스 월별 일정 | |||||
3~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10월 |
삼성 라이온즈 1982 시즌 성적 | |||||
순위 | 승 | 무 | 패 | 승률 | 1위와의 승차 |
2 / 6 | 54 | 0 | 26 | 0.675 | 2.0 |
1. 개요
삼성 라이온즈의 1982 시즌을 정리한 문서.2. 팀 창단
1982년 2월 3일 정오 서울신라호텔에서 창단식이 열렸다. 삼성그룹의 창업 발상지인 대구경북 지역을 연고로 하고 삼성 관계자의 말을 빌면 신사도를 아는 중후함을 팀 이미지로 부각시키고 늠름한 사자의 기상으로 프로야구의 선구적인 팀이 되기위해 백수의 제왕인 사자를 팀의 상징으로 내세웠다. 대구를 연고로 창단됐기에 감독에는 대구지역 야구계의 아버지이자 경북고와 대구상고에서 무수한 우승을 일궈낸 서영무 중앙대 감독을 선임했고, 대구에서 라이벌로 통하는 경북고 출신과 대구상고 출신의 알력 싸움을 막기 위해 경북고 출신이며 당시 한일은행 감독이었던 임신근과 대구상고 출신이며 당시 한일은행 코치였던 우용득을 코치로 선임했다. 둘 다 서영무의 제자이기도 했다.삼성은 6개 구단 중 가장 막대한 재력을 바탕으로 선수들을 영입했고, 다른 구단보다 먼저 선수 선발을 끝냈다. 프로 출범을 앞두고 각 구단에서는 아마야구·실업선수들에게 등급을 매겨 그를 바탕으로 선수들의 연봉과 계약금을 정해 선수들과 입단 협상을 벌였는데, 삼성만 일정 등급 이상만의 선수와 교섭했기에 상대적으로 인지도가 떨어지는 선수들은 외면당했다. 하지만 그럴 수밖에 없었던 것이 삼성의 경우엔 연고지에 워낙 뛰어난 선수가 많았다. 당시 대구·경북 출신 선수들은 1970년대 후반까지 고교야구를 이끌었던 주역들이었고 이들 중 다수가 대학야구나 실업야구에서도 그 명성을 유지했다. 그래서 당시 팀당 1~2명 정도만 S급 대우를 해줄 수 있었는데, 삼성만 S급 대우를 포기하고 배대웅, 이만수, 이선희, 정현발, 천보성, 황규봉 등 6명을 공평하게 A급 대우로 해주는 걸로 했다. 배대웅은 실업야구 시절 국가대표 2루수로 활약했고, 이선희는 실업야구 시절 이름난 일본 킬러였고, 정현발은 고교 시절부터 팀의 4번 타자를 맡아온 강타자였고, 황규봉은 고교 시절부터 줄곧 팀의 에이스를 맡아온 투수였고, 천보성은 은퇴한 상태였지만 당시에는 보통 20대 후반, 길어야 30세를 전후해 은퇴하는 게 당연하던 시절이었기에 은퇴한 것이지 선수로 뛰는 데는 문제가 없었다. 이만수는 앞의 5명과 달리 대학선수였지만 그 역시 고교 시절부터 강타자로 이름을 날렸다. 이렇듯 삼성 소속 선수들이 다들 이름 있는 선수들이다 보니, 이후 1980년대 중후반까지는 신인 지명에서 주전을 차지 못할 게 뻔하니 삼성에 지명되고도 프로행을 마다하고 실업야구를 선택하는 선수도 있었다. 성준, 류중일과 함께 경북고 야구부 마지막 전성기의 일원이었던 권택재가 대표적인 예.
1981년 12월 말 당시 선수 선발을 끝냈을 때 있었던 26명 중 김용만[1], 김정태[2], 이삼열[3], 이수빈[4], 조호[5] 등 5명이 빠지고 1982년 2월에 있었던 2차 지명으로 장태수가 추가로 입단하면서[6] 최종적으로 다음 22명으로 창단됐다. 참고로 당시 포지션과 프로에서 포지션이 다소 차이가 있었다.
- 투수 : 권영호(경리단), 박영진[7](성균관대), 성낙수(포철), 이선희(포철), 황규봉(한국화장품)
- 포수 : 박정환[8](포철), 손상대(롯데), 손상득(포철), 이만수(한양대)
- 내야수 : 김한근(롯데), 배대웅(포철), 서정환(포철), 오대석(한양대), 장태수(상업은행), 천보성(前 롯데[9]), 함학수(포철)
- 외야수 : 김휘욱(한국화장품), 박찬(前 농협[10]), 송진호(포철), 정구왕(한국화장품), 정현발(롯데), 허규옥(롯데), 김정태(농협)
실업야구 출신 19명과 대졸 선수 3명으로, 대다수가 원 소속 팀의 주전은 기본이었고 국가대표 경험을 갖고 있었다. 여기에 만약을 대비해 우용득, 임신근 두 코치를 선수로 등록시켰다.
이 선수들만으로도 국가대표팀에 나서도 될 만큼 막강한 전력을 구축했지만 동기 천보성과 달리 은퇴를 번복하지 않은 남우식, 일본프로야구 진출을 위해 그에 앞서 군 복무 중이었던 김시진, 1982년 세계야구선수권대회에 참가하기 위해 실업팀에 잔류한 장효조 등 더 막강한 전력을 구축할 수 있었음에도 그러지 못한 아쉬움 또한 있었다.
3. 3~4월
자세한 내용은 삼성 라이온즈/1982년/3~4월 문서 참고하십시오.4. 5월
자세한 내용은 삼성 라이온즈/1982년/5월 문서 참고하십시오.5. 6월
자세한 내용은 삼성 라이온즈/1982년/6월 문서 참고하십시오.6. 7월
자세한 내용은 삼성 라이온즈/1982년/7월 문서 참고하십시오.7. 8월
자세한 내용은 삼성 라이온즈/1982년/8월 문서 참고하십시오.8. 9~10월
자세한 내용은 삼성 라이온즈/1982년/9~10월 문서 참고하십시오.9. 포스트시즌
9.1. 한국시리즈
자세한 내용은 1982년 한국시리즈 문서 참고하십시오.10. 선수별 개인 성적
- 진한 표시는 리그 5위내 성적. 붉은 글씨는 1위 입상 성적.
- 투수는 이닝이 많은 순서대로, 타자들은 타수가 많은 순서대로.
10.1. 투수
- 우완
이름 | 경기수 | 선발등판 | 이닝 | 승 | 패 | 세이브 | ERA | 피안타 | 사사구 | 탈삼진 | |
1 | 황규봉 | 47 (1위) | 16 | 222⅓ (3위) | 15 (공동 2위) | 11 | 11 (1위) | 2.47 (4위) | 188 | 40 | 99 (4위) |
14 | 성낙수 | 28 | 19 | 125 | 8 (10위) | 3 | 2 (6위) | 2.81 (5위) | 119 | 29 | 56 |
11 | 박영진 | 6 | 1 | 8⅓ | 0 | 0 | 1 | 8.64 | 16 | 5 | 3 |
17 | 송진호 | 1 | 0 | 3 | 0 | 0 | 0 | 6.00 | 3 | 2 | 2 |
- 좌완
이름 | 경기수 | 선발등판 | 이닝 | 승 | 패 | 세이브 | ERA | 피안타 | 사사구 | 탈삼진 | |
27 | 권영호 | 32 | 21 | 178⅔ (6위) | 15 (공동 2위) | 5 | 2 (6위) | 2.37 (3위) | 139 | 59 | 72 (10위) |
26 | 이선희 | 38 (6위) | 22 | 167 (9위) | 15 (공동 2위) | 7 | 1 | 2.91 (7위) | 152 | 82 | 73 (9위) |
참고로 선발등판 경기 총합이 79경기, 승리 총합이 53경기로 한 경기가 빠져 있는데, 이유는 위에서 언급한 MBC와의 몰수게임 때문. 몰수게임에서 나온 기록은 공식 기록으로 치지 않는다.
10.2. 타자
- 포수
이름 | 경기수 | 타수 | 타율 | 안타 | 2루타 | 3루타 | 홈런 | 타점 | 득점 | 도루 | |
22 | 이만수 | 78 | 270 | .289 | 78 | 16 (6위) | 1 | 13 (4위) | 51 (공동 5위) | 46 | 6 |
2 | 손상득 | 53 | 143 | .238 | 34 | 3 | 2 | 2 | 16 | 21 | 8 |
23 | 박정환 | 51 | 120 | .300 | 36 | 6 | 1 | 5 | 24 | 17 | 2 |
28 | 손상대 | 12 | 19 | .211 | 4 | 0 | 0 | 0 | 2 | 1 | 1 |
- 내야수
이름 | 경기수 | 타수 | 타율 | 안타 | 2루타 | 3루타 | 홈런 | 타점 | 득점 | 도루 | |
12 | 함학수 | 73 | 261 | .261 | 68 | 14 | 2 | 7 | 51 (공동 5위) | 46 | 8 |
16 | 오대석 | 72 | 258 | .283 | 73 | 15 (10위) | 1 | 4 | 30 | 48 (7위) | 14 |
3 | 배대웅 | 71 | 235 | .230 | 54 | 9 | 0 | 5 | 27 | 30 | 7 |
29 | 김한근 | 64 | 193 | .264 | 51 | 13 | 1 | 5 | 28 | 33 | 4 |
6 | 서정환 | 47 | 124 | .202 | 25 | 1 | 1 | 2 | 19 | 18 | 9 |
7 | 천보성 | 36 | 90 | .267 | 24 | 6 | 0 | 0 | 10 | 13 | 2 |
- 외야수
이름 | 경기수 | 타수 | 타율 | 안타 | 2루타 | 3루타 | 홈런 | 타점 | 득점 | 도루 | |
4 | 장태수 | 64 | 214 | .336 (3위) | 72 | 15 (10위) | 3 (6위) | 3 | 27 | 42 | 34 (4위) |
10 | 허규옥 | 66 | 206 | .291 | 60 | 11 | 2 | 3 | 22 | 41 | 27 (6위) |
20 | 정현발 | 54 | 146 | .288 | 42 | 9 | 1 | 5 | 26 | 31 | 4 |
8 | 정구왕 | 46 | 145 | .283 | 41 | 1 | 2 | 0 | 17 | 14 | 16 |
17 | 송진호 | 35 | 80 | .138 | 11 | 2 | 0 | 1 | 7 | 11 | 3 |
44 | 박찬 | 29 | 76 | .289 | 22 | 4 | 0 | 1 | 8 | 12 | 2 |
18 | 김휘욱 | 34 | 64 | .156 | 10 | 1 | 1 | 1 | 9 | 5 | 0 |
38 | 임신근[11] | 2 | 3 | .000 | 0 | 0 | 0 | 0 | 0 | 0 | 0 |
11. 수상 및 기록
- 오대석 : 골든글러브 유격수 부문, 베스트 10 유격수 부문, 사이클링 히트(6월 12일 구덕 삼미 슈퍼스타즈전)
- 이만수 : 베스트 10 포수 부문
- 장태수 : 베스트 10 중견수 부문
12. 둘러보기 틀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 bordercolor=#061731> | 한국프로야구 구단별 1982 시즌 |
{{{#!wiki style="margin:0 -10px -5px" {{{#!wiki style="color:#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or:#181818" | |||
롯데 자이언츠 1982년 | 삼미 슈퍼스타즈 1982년 | 삼성 라이온즈 1982년 | |
해태 타이거즈 1982년 | MBC 청룡 1982년 | OB 베어스 1982년 | |
[1] 경북고, 건국대 출신 포수로 원래 롯데 자이언트 소속이었다. 해태 타이거즈의 창단 멤버로 알려져 있지만, 엄밀하게는 1982년 2월에 있었던 2차 지명으로 해태 타이거즈에 입단했다.[2] 대구상고, 건국대 출신 1루수로 원래 농협 소속이었다. 이후 1984년 신인지명에서 삼성이 1차 지명을 했지만 상무에 입대하면서 입단하지 않았고, 1986년 빙그레 이글스에 2차 지명을 받고 입단했으나 1987년에 은퇴했다.[3] 대구상고 출신 내야수로 원래 농협 소속이었다. 농협에 남았다가 1984년 OB 베어스에 코치 겸 선수로 프로야구계에 들어왔다.[4] 대구상고, 성균관대 출신 내야수로 원래 포철 소속이었다. 포철에 남아 1989년에 은퇴했다. 이수빈 삼성생명 회장과는 동명이인이다.[5] 대구상고, 성균관대 출신 내야수로 원래 한국화장품 소속이었다. MBC 청룡의 창단 멤버로 알려져 있지만, 엄밀하게는 1982년 2월에 있었던 2차 지명으로 MBC 청룡에 입단했다.[6] 장태수를 비롯해 삼성은 대구상고, 영남대 출신인 제일은행의 투수 조규식과 부산상고 출신인 한일은행의 외야수 홍경태까지 3명을 지명했지만 장태수만 입단했다.[7] 원래 농협에서 박영진을 스카우트했었지만 박영진은 프로행을 선택했다.[8] 애초 선수 선발을 했을 때는 내야수로 분류됐다.[9] 1980년 은퇴해 롯데호텔 직원으로 근무하고 있었다.[10] 1980년 은퇴했었다.[11] 투수코치 겸 선수로 등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