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6-14 21:22:45

사우디아라비아-이집트 관계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아시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파일:대만 국기.svg
대만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인도네시아
파일:인도 국기.svg
인도
파일:파키스탄 국기.svg
파키스탄
파일:방글라데시 국기.svg
방글라데시
파일:몰디브 국기.svg
몰디브
파일:아프가니스탄 국기.svg
아프가니스탄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
우즈베키스탄
유럽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튀르키예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서아시아·북아프리카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이스라엘
파일:이란 국기.svg
이란
파일:카타르 국기.svg
카타르
파일:예멘 국기.svg
예멘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아랍에미리트
파일:오만 국기.svg
오만
파일:이라크 국기.svg
이라크
파일:바레인 국기.svg
바레인
파일:쿠웨이트 국기.svg
쿠웨이트
파일:레바논 국기.svg
레바논
파일:팔레스타인 국기.svg
팔레스타인
파일:요르단 국기.svg
요르단
파일:시리아 국기.svg
시리아
파일:이집트 국기.svg
이집트
파일:리비아 국기.svg
리비아
파일:수단 공화국 국기.svg
수단 공화국
파일:모로코 국기.svg
모로코
아프리카
파일:소말리아 국기.svg
소말리아
파일:모리타니 국기.svg
모리타니
파일:세네갈 국기.svg
세네갈
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
나이지리아
아메리카 · 오세아니아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다자관계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파일:팔레스타인 국기.svg 파일:아랍 연맹 깃발.svg
이스라엘·팔레스타인·아랍권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파일:이란 국기.svg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사우디아라비아·이란·이스라엘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아시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파일:인도 국기.svg
인도
유럽 · 아메리카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파일:벨라루스 국기.svg
벨라루스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우크라이나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파일:그리스 국기.svg
그리스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튀르키예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서아시아 · 북아프리카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이스라엘
파일:팔레스타인 국기.svg
팔레스타인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사우디아라비아
파일:이란 국기.svg
이란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아랍에미리트
파일:카타르 국기.svg
카타르
파일:바레인 국기.svg
바레인
파일:이라크 국기.svg
이라크
파일:시리아 국기.svg
시리아
파일:레바논 국기.svg
레바논
파일:요르단 국기.svg
요르단
파일:쿠웨이트 국기.svg
쿠웨이트
파일:리비아 국기.svg
리비아
파일:수단 공화국 국기.svg
수단 공화국
파일:모로코 국기.svg
모로코
아프리카
파일:에티오피아 국기.svg
에티오피아
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
나이지리아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남아프리카 공화국
다자관계
파일:이집트 국기.svg 파일:수단 공화국 국기.svg 파일:에티오피아 국기.svg
이집트·수단 공화국·에티오피아
파일:이집트 국기.svg 파일:리비아 국기.svg 파일:수단 공화국 국기.svg
이집트·리비아·수단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파일:팔레스타인 국기.svg 파일:아랍 연맹 깃발.svg
이스라엘·팔레스타인·아랍권
}}}}}}}}}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파일:이집트 국기.svg
사우디아라비아 이집트
1. 개요2. 역사적 관계
2.1. 중세2.2. 근세2.3. 19세기2.4. 20세기2.5. 21세기
3. 관련 문서

1. 개요

사우디아라비아이집트의 관계에 대한 문서이다.

양국은 아랍 문화권, 이슬람 문화권에 속해 있으며, 이란이 사우디는 물론 이집트와도 사이가 몹시 안 좋은 것과 달리 사우디와 이집트 간의 관계는 좋은 편에 속한다.

2. 역사적 관계

2.1. 중세

7세기에 이슬람교아라비아 반도에서 발흥한 이후, 아랍 세력은 여러 지역을 정복 및 확장했다. 당시 동로마 제국의 영토였던 이집트가 정통 칼리파 시대 당시 이슬람 제국에 의해 정복당했다. 다만, 12세기까지는 콥트교 신자들이 다수였기 때문에 초창기의 우마이야 왕조 지배자들은 제한적인 종교의 자유를 인정했다. 우마이야 왕조의 지배하에서 콥트교 신자들은 종교의 자유를 인정받았다. 그리고 그리스어로 된 서적들이 아랍어로도 많이 번역되었다. 하지만 콥트교 신자들이 이슬람교로 개종하고 아랍어를 사용하면서 이집트 일대는 대부분의 주민들이 아랍어 화자, 무슬림이 되었다.

우마이야 칼리프조와 압바스 칼리프조 이후 이집트와 히자즈 지역을 모두 통치한 왕조로는 파티마 왕조, 아이유브 왕조, 맘루크 왕조가 있다.

2.2. 근세

아라비아 반도와 이집트는 오스만 제국의 지배를 받았다. 오스만 제국의 술탄은 맘루크 왕조를 정복하는 과정에서 홍해 맞은 편 헤자즈 지방의 토후들로부터 항복을 받았고 이후 칼리프 칭호와 성지의 수호자를 가졌다. 전근대 메카와 메디나의 주민들 뿐만 아니라 성지를 방문하는 순례자들에게 식량을 공급하는 일은 오직 지리적으로 가까운 이집트만이 담당할 수 있었다. 홍해를 사이에 둔 이집트는 나일강 유역에서 상당한 양의 곡물을 수확할 수 있었던 것은 물론 도시화율도 높았던 반면, 아라비아 반도 일대는 예멘을 제외하면 척박한 기후로 인해 메카와 메디나를 제외하고는 개발되지는 못했다.

2.3. 19세기

19세기에 들어서면서 오스만 제국의 세력이 약해지자 오스만 제국의 지배에서 벗어날려는 움직임이 일어났다. 아라비아 반도에선 오스만 제국에서 독립하려는 움직임이 커졌다. 이집트는 메흐메드 알리의 주도하에 독립움직임이 일어났다. 모하메드 알리는 오스만 제국의 종주권을 인정하면서도 사실상 독립세력이 되었다. 아라비아 반도에서 일어난 독립열기에 대해 오스만 제국은 군대를 파견해 진압했다. 이집트는 19세기에 영국의 지배를 받았다.

2.4. 20세기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이집트는 영국의 지배에서 벗어나 이집트 왕국이 되었다. 아라비아 반도는 영국의 보호령이 되었다. 아라비아 반도는 영국의 보호령이 되었지만, 20세기 중반 이후에 영국의 지배에서 벗어났다. 그리고 이집트는 제2차 세계 대전 이후에 왕정이 무너지고 공화정이 들어섰다.

이집트와 사우디는 영국의 지배에서 벗어나 독립했다. 양국은 독립 이후, 이스라엘을 견제하기 위해 협력했다. 다만, 이집트가 이스라엘과 수교한 반면, 사우디는 이스라엘을 인정하지 않고 수교하지 않았다.

2.5. 21세기

양국은 이슬람 협력기구, 아랍 연맹회원국들이다. 그리고 양국은 아랍어권, 아랍문화권, 이슬람문화권에 속해 있기 때문에 교류와 협력이 활발하다. 다만, 사우디가 이슬람 근본주의 정책을 실시하고 있다보니 사우디인들중에는 이집트로 가서 을 마시는 경우가 자주 있다. 사우디와 달리 이집트는 군부가 세속주의정책을 실시하고 있고 콥트교신자들을 보호하고 있다. 사우디의 이슬람 근본주의 정책에 대해 이집트는 사우디를 비판하고 있다.

이집트인들은 메카로 성지순례를 하러 가는 경우가 많은 편이다. 그리고 사우디내에는 이집트인들이 이주 및 정착하고 있다. 양국은 아랍어가 공용어이지만, 아랍어 방언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중 이집트 아랍어가 아랍어 방언중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집트의 경제가 어려워지자, 이집트인들이 사우디아라비아로 근무하는 이들이 늘어났지만, 사우디인들이 이집트인 근로자를 학대하거나 차별하는 행위로 갈등을 빚기도 한다.

2004년 2월 25일, 이집트와 사우디, 시리아 3국이 아랍연맹 개혁안을 마련했다고 밝혔다.#

2011년 이집트 혁명으로 무슬림 형제단 계열 무함마드 무르시 정권이 출범하자 사우디가 무바라크 축출에 반발하기도 했으나 압델 파타 엘 시시가 쿠데타로 무슬림 형제단을 추방하고 집권하자 사우디는 쿠데타 지지 의사를 밝혔다.#

2017년 6월 14일에 이집트 의회가 홍해에 위치한 자국 소유의 섬 2곳을 사우디로 양도하기로 합의했다.# 이집트 최고헌법재판소는 사우디에 홍해 섬 2곳에 대한 양도를 인정하는 판결을 내렸다.#

2018년 3월 5일에 빈살만 왕세자가 이집트를 방문했다.# 6월 25일에 엘시시 대통령은 사우디의 여성 운전 허용을 사회 진보를 위한 조치라고 밝혔다.# 9월 12일에 사우디에서 이집트인 남성이 사우디인 여성과 같이 식사를 했다는 이유로 체포됐다.#

리비아 내전 당시에 사우디와 이집트, 아랍에미리트는 하프타르를 지지 및 지원한 적이 있었다.#

2020년 3월에 코로나19로 인해 사우디에서 발이 묶인 이집트인들이 사우디측이 마련한 특별기를 타고 이집트로 귀국했다.#

3.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