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1차 세계 대전의 독일 해군 군함 | |||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colbgcolor=#2e2e2e> 연습함 | <colbgcolor=#fefefe,#191919>드라헤급 | |
| 건보트 | 일티스급, 파터란트, 그라프 폰 괴첸, 칭다오, 아터, 포어베르츠급 | ||
| 어뢰정 / 함 Torpedoboote | A급, 1898급, 1906급, 1906급, 1911급, 1913급, 1914급, 1916급, 1917급, | ||
| 잠수함 U-Boote | U보트 | ||
| 항공모함 | |||
| 경순양함 Kleiner Kreuzer | 코모란급, 클라스 플레밍급, 카이제린 아우구스타, 빅토리아 루이제급 | ||
| 헬라, 가젤급, 브레멘급, 쾨니히스베르크급(1905), 드레스덴급, 노틸러스급, 콜베르크급, 마그데부르크급, 카를스루에급, 그라우덴츠급, 필라우급, 비스바덴급, 쾨니히스베르크급(1915), 브루머급, 쾰른급 | |||
| 대형순양함 Großer Kreuzer | 퓌르스트 비스마르크, 프린츠 하인리히, 프린츠 아달베르트급, 론급, 샤른호르스트급, 블뤼허 | ||
| 폰 데어 탄급, 몰트케급, 자이틀리츠급, 데어플링어급, | |||
| 전열함/ 대형전열함 Linienschiffe/ Großlinienschiffe | 브란덴부르크급, 카이저 프리드리히 3세급, 비텔스바흐급, 브라운슈바이크급, 도이칠란트급 | ||
| 나사우급, 헬골란트급, 카이저급, 쾨니히급 | |||
| 바이에른급, | |||
| 기타 | 지아들러 | ||
| ※ | |||
| }}}}}}}}} | |||
| |
| Schlachtschiff der Wittelsbach-Klasse |
1. 개요
비텔스바흐급 전함은 독일 제국 해군의 전드레드노트급 전함으로, 총 5척이 건조되었으며 각 함의 함명은 4번함 슈바벤을 제외하면 독일 제국을 구성하는 구성국들을 다스리는 대표적인 가문들 이름에서 유래했다.비텔스바흐급 전함은 파도가 온화한 발트해에서의 운용을 목적으로 했기 때문에 해방함처럼 수면부터 건현까지가 낮은 평갑판형 선체를 채용했다.
2. 제원
| 비텔스바흐급 전함 Schlachtschiff der Wittelsbach-Klasse | ||
| 이전급 | 카이저 프리드리히 3세급 | |
| 다음급 | 브라운슈바이크급 | |
| 기준배수량[1] | 11,774톤 | |
| 만재배수량 | 12,798톤 | |
| 전장 | 126.8 m | |
| 전폭 | 22.8 m | |
| 흘수 | 7.95 m | |
| 출력 | 13,808 IHP | |
| 최고 속력 | 18노트 (약 33km/h) | |
| 항속거리 | 10노트 (약 19km/h) 순항 시 9,300km | |
| 동력 | 기관 | 보일러 12기 |
| 증기 터빈 3기 | ||
| 추진 | 3축 프로펠러 | |
| 승조원 | 장교 | 33명 |
| 수병 | 650명 | |
| 무장 | 주포 | 9.4인치(240 mm) SK L/40 함포 4문2연장 포탑 2기 |
| 부포 | 150 mm SK L/40 함포 18문 | |
| 88 mm SK L/30 양용포 12문 | ||
| 어뢰[2] | 450 mm 어뢰 3연장 발사대 2기 | |
| 장갑 | 측면 | 100 ~ 225 mm |
| 주포탑 | 250 mm | |
| 갑판 | 50 mm | |
3. 동형함 목록
| 함명 | 기공 | 진수 | 취역 | 퇴역 | 비고 |
| 비텔스바흐 (Wittelsbach) | 1899년 9월 30일 | 1900년 7월 3일 | 1902년 10월 15일 | 1916년 8월 24일 | 1921년 7월 7일 스크랩용으로 판매 |
| 베틴 (Wettin) | 1899년 10월 10일 | 1901년 6월 6일 | 1902년 10월 1일 | 1920년 3월 11일 | 1921년 11월 21일 스크랩용으로 판매 |
| 체링겐 (Zähringen) | 1899년 11월 21일 | 1901년 6월 12일 | 1902년 10월 25일 | 1920년 3월 11일 | 1945년 3월 26일 항구 봉쇄용으로 자침 |
| 슈바벤 (Schwaben) | 1900년 9월 15일 | 1901년 8월 19일 | 1904년 4월 13일 | 1921년 3월 8일 | 1921년 3월 8일 스크랩용으로 판매 |
| 메클렌부르크 (Mecklenburg) | 1900년 5월 15일 | 1901년 11월 9일 | 1903년 5월 25일 | 1916년 1월 24일 | 1921년 8월 16일 스크랩용으로 판매 |
1번함인 비텔스바흐는 1899년 9월에 기공하였고 2번함 베틴은 같은 해 10월, 3번함 체링겐은 같은해 11월에 기공되었다.
그 후 1900년에 4번함 슈바벤과 5번함 메클렌부르크도 각각 11월과 9월에 기공되었다.비텔스바흐급 전함은 제1차 세계 대전 당시 발트해에 배치된 제4 전대에서 활동했다. 1917년까지 비텔스바흐급 전함은 보조함으로 변경되어 비텔스바흐는 1915년에 좌초사고 후 퇴역했다. 2번함 <베틴>은 킬에서 운송선이 되었으며 3번함 체링겐은 수뢰훈련함으로 이용되었다. 4번함 슈바벤은 소해정모함이 되었으며 5번함 메클렌부르크는 죄수호송선으로 이용되었다.
체링겐을 제외한 나머지 함들은 1920년부터 1921년 사이에 해체되거나 매각되었으며 <자이틀링겐>은 1944년까지 독일해군의 표적함으로 사용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