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DEPRECATED] top1 파라미터는 더 이상 사용되지 않습니다! 대신 문서명1 파라미터를 사용해 주세요.
#!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브롤스타즈/패치 기록|브롤스타즈/패치 기록]]
#!if this['this'] == null
'''이 문서는'''
#!if this['this'] != null
'''이 문단은'''
#!if 토론주소2 == null
''' [[https://namu.wiki/thread/|토론]]을 통해 브롤스타즈 문서 및 하위 문서에서 줄임말을 사용하지 않기로 합의되었습니다.''' 합의된 부분을 토론 없이 수정할 시 [[나무위키:기본방침/이용자 관리 방침#편집권 남용|편집권 남용]]으로 간주되어 제재될 수 있습니다.
#!if 토론주소2 != null
''' 아래 토론들로 합의된 편집방침이 적용됩니다.''' 합의된 부분을 토론 없이 수정할 시 [[나무위키:기본방침/이용자 관리 방침#편집권 남용|편집권 남용]]으로 간주되어 제재될 수 있습니다.{{{#!wiki style="text-align:center;"
{{{#!folding [ 내용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0px -5px;"
||<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fff,#1c1d1f><bgcolor=#fff,#1c1d1f><(>'''[[https://namu.wiki/thread/|토론]] - 브롤스타즈 문서 및 하위 문서에서 줄임말을 사용하지 않기'''
----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2'''
----
{{{#!if 토론주소3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3'''
----
}}}{{{#!if 토론주소4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4'''
----
}}}{{{#!if 토론주소5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5'''
----
}}}{{{#!if 토론주소6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6'''
----
}}}{{{#!if 토론주소7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7'''
----
}}}{{{#!if 토론주소8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8'''
----
}}}{{{#!if 토론주소9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9'''
----
}}}{{{#!if 토론주소10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10'''
----
}}}{{{#!if 토론주소11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11'''
----
}}}{{{#!if 토론주소12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12'''
----
}}}{{{#!if 토론주소13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13'''
----
}}}{{{#!if 토론주소14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14'''
----
}}}{{{#!if 토론주소15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15'''
----
}}}{{{#!if 토론주소16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16'''
----
}}}{{{#!if 토론주소17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17'''
----
}}}{{{#!if 토론주소18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18'''
----
}}}{{{#!if 토론주소19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19'''
----
}}}{{{#!if 토론주소20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20'''
----
}}}{{{#!if 토론주소21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21'''
----
}}}{{{#!if 토론주소22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22'''
----
}}}{{{#!if 토론주소23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23'''
----
}}}{{{#!if 토론주소24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24'''
----
}}}{{{#!if 토론주소25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25'''
----
}}}{{{#!if 토론주소26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26'''
----
}}}{{{#!if 토론주소27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27'''
----
}}}{{{#!if 토론주소28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28'''
----
}}}{{{#!if 토론주소29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29'''
----
}}}{{{#!if 토론주소30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30'''
----
}}}{{{#!if 토론주소31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31'''
----
}}}{{{#!if 토론주소32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32'''
----
}}}{{{#!if 토론주소33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33'''
----
}}}{{{#!if 토론주소34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34'''
----
}}}{{{#!if 토론주소35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35'''
----
}}}{{{#!if 토론주소36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36'''
----
}}}{{{#!if 토론주소37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37'''
----
}}}{{{#!if 토론주소38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38'''
----
}}}{{{#!if 토론주소39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39'''
----
}}}{{{#!if 토론주소40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40'''
----
}}}{{{#!if 토론주소41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41'''
----
}}}{{{#!if 토론주소42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42'''
----
}}}{{{#!if 토론주소43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43'''
----
}}}{{{#!if 토론주소44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44'''
----
}}}{{{#!if 토론주소45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45'''
----
}}}{{{#!if 토론주소46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46'''
----
}}}{{{#!if 토론주소47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47'''
----
}}}{{{#!if 토론주소48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48'''
----
}}}{{{#!if 토론주소49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49'''
----
}}}{{{#!if 토론주소50 != null
'''[[https://namu.wiki/thread/|토론]] - 합의사항50'''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word-break: keep-all" | <table align=center><tablewidth=330><tablebordercolor=#017dda> | 브롤스타즈 관련 문서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colbgcolor=#f01919> 게임 요소 | <colbgcolor=#ffffff,#1f2023>브롤러(세부사항 · 트리오 · 마스터리 · 칭호) · 스킨 · 게임 모드(특수 모드) · 맵 · 트로피 리그 · 클럽(클럽 리그,문제점) · 시스템(스타 드롭 · 상점) · 브롤 패스(브롤 패스 2.0) · 맵 메이커 | |
패치 기록 | 2017년 · 2018년 · 2019년 · 2020년 · 2021년(40.141 버전) · 2022년 · 2023년 · 2024년(스폰지밥 콜라보 업데이트) · 2025년 | ||
E스포츠 | 브롤스타즈 오픈 코리아 · 브롤스타즈 월드 챔피언십(참가 팀 목록) · 프로게임단 목록 | ||
이벤트 | 15승 크리에이터 릴레이 | ||
로어 | WKBRL · 8비트 미니게임 · 스타 파크 | ||
기타 | 문제점 및 비판(밸런스 문제 · 쇼다운 티밍 · 트롤 유저 문제) · 사건 사고 · 버그 · 팁 · 광고 · 로딩 화면 변천사 · 테마 · Bad Randoms · 2차 창작 · 브롤 토크 · 게이머 · 브롤리데이 · 충 · 메타 및 브롤러 성능ㆍ카페 · 갤러리 |
1. 시즌 36, 37 업데이트
- 신규 하이퍼차지[1]
- 신규 스킨
- 슈퍼 히어로(시즌37)[19]
- 기타 스킨
- 세부 변경 사항
2. 2월 밸런스 패치
이번 패치는 적절한 패치라 평가받는데, 하이퍼차지를 받고 입지가 급부상한 스튜, 사거리 버프로 인해 오랫동안 1티어 자리에 앉았던 페니, 연속 데미지 버프로 1티어로 입지가 떡상한 거스, 극강의 숨겨진 사기캐였던 주주가 너프를 받았다. 버프는 출시 전부터 평타 성능이 너무 안좋아 고평가받지 못했던 올리와 다른 메타에서 버려진 브롤러들을 버프해주었다. 한 가지 아쉬운점이 있다면 다른 메타에 떨어진 브롤러들을 버프를 안해 주었고 패치 폭이 많지 않기[28] 때문에 살짝 아쉬운 감이 있다.[29]버프
- 올리
- 야단법석(일반 공격)의 데미지가 850에서 1000으로 증가
- 최면술(특수공격) 시전 중 침묵 효과 삭제[30]
- 미플
- 폭탄천국(일반 공격)의 재장전 속도가 2초에서 1.9초로 감소
- 러프스
- 하이퍼차지의 방어력과 피해량 증가량이 10%에서 15%로 증가
너프
- 거스
- 오싹한 풍선(일반 공격)의 데미지가 1120에서 1080으로 감소
- 스튜
- 가소 힐(스타파워)의 체력 회복량이 640에서 512로 감소
- 페니
- 하이퍼차지 충전량이 35%에서 30%로 감소
- 주주
- 일반 공격의 특수 공격 충전 상수가 90에서 72로 감소
- 맥스
- 하이퍼차지 충전량이 40%에서 35%로 감소
- 리코
- 하이퍼차지 충전량이 40%에서 35%로 감소
- 루
- 하이퍼차지 충전량이 40%에서 30%로 감소
조정
- 켄지
- 참치 슬라이스(특수 공격)을 사용할 때 사용 위치가 드러나도록 변경[31]
3. 3월 밸런스 패치
e스포츠 대회 등의 이유로 오랜기간 밸런스 패치가 이루어지지 않다가 이루어진 패치다. 가젯 리워크 이후로 첫 패치이기 때문에 가젯 쿨타임 조정이 많으며, 과도하게 난사됐던 상당수 가젯의 쿨타임 증가와 사기라고 평가받던 하이퍼차지에 대한 패치가 주를 이뤘다. 또한 신캐인 핑크스가 최악의 평가를 받으며 픽률이 바닥을 기는 바람에 핑크스에게 여러부분 버프를 해줬다. 패치에 대한 반응은 가젯 쿨타임 조정과 사기 하이퍼차지들의 너프는 좋은 편이나, 신규 하이퍼차지들이 제대로 쓰여보기도 전에 과도하게 충전량을 너프했다는 의견도 있다. 특히 관짝에 박혀있던 샘이 드디어 좋은 하이퍼차지를 받고 좀 쓰이나 했더니 충전량을 반토막 낸 것은 너무하다는 평이 많다.너프
- 행크
- 하이퍼차지 상태의 물고기 어뢰(특수 공격) 추적 성능 50% 감소
- 스튜
- 스피드존(가젯) 지속 시간 감소 '34초 → 10초'
- 미스터 P
- 하이퍼차지 슈퍼 짐꾼 지속 시간 감소 '무제한 → 10초'
- 하이퍼차지 슈퍼 짐꾼 이동 속도 감소 '1400 → 1300'
- 샘
- 하이퍼차지 충전량 감소 '40% → 20%'
- 비
- 성난 벌집(가젯) 재사용 대기 시간 증가 '17초 → 20초'
- 포코
- 소리굽쇠(가젯) 재사용 대기 시간 증가 '16초 → 20초'
- 보호의 선율(가젯) 재사용 대기 시간 증가 '11초 → 18초'
- 올리
- 특수 공격 충전에 필요한 일반 공격 명중 횟수 증가 '5회 → 6회'
- 컨트롤 킥(가젯) 재사용 대기 시간 증가 '17초 → 20초'
- 베리
- 멜트다운(일반 공격) 치유량 감소 '피해량의 50%' → '피해량의 40%'
- 멜로디
- 하이퍼차지 충전량 감소 '35%' → '25%'
- 주주
- 원소술사(가젯) 받는 피해량 감소 효과 감소 '50%' → '30%'
- 자넷
- 하이퍼차지 충전량 감소 '50%' → '40%'
- 그레이
- 지팡이(가젯) 재사용 대기 시간 증가 '18초' → '20초'
- 루
- 특수공격 충전에 필요한 일반공격 투사체 명중 갯수가 8개에서 9개로 증가
- 칼
- 가열 장치(가젯) 재사용 대시 시간 증가 '15초' → '17초'
- 레온
- 막대사탕 드랍(가젯) 지속 시간 감소 '15초' → '10초'
- 스퀴크
- 와인드업(가젯) 재사용 대기 시간 증가 '11초' → '14초'
- 미플
- 미플의 저택(가젯) 재사용 대시 시간 증가 '20초' → '22초'
- 분노의 종료(가젯) 재사용 대시 시간 증가 '16초 → '18초'
- 모티스
- 하이퍼차지 충전량 감소 '40%' → '30%'
- 로사
- 식물 육성 램프(가젯) 재사용 대기 시간 증가 '10초' → '13초'
- 진
- 복수의 정령(가젯) 재사용 대기 시간 증가 '16초' → '20초'
- 벨
- 예비용 함정(가젯) 재사용 대기 시간 증가 '17초' → '20초'
- 프랭크
- 하이퍼차지 충전량 감소 '40%' → '30%'
- 메그
- 하이퍼차지 충전량 감소 '40%' → '35%'
- 체스터
- 하이퍼차지 충전량 감소 '40%' → '30%'
버프
- 핑크스
- 이동 속도 증가 '720' → '770'
- 착시 현상(일반 공격) 재장전 속도 증가 '1.6초' → '1.3초'
- 에드거
- 플라이 하이(가젯) 재사용 대기 시간 감소 '23초' → '21초'
- 하드코어(가젯) 재사용 대기 시간 감소 '19초' → '17초'
- 찰리
- 특수 공격 충전에 필요한 일반 공격 명중 횟수 감소 '7회' → '6회'
- 보
- 하이퍼차지 충전량 증가 '35%' → '45%'
- 엠즈
- 하이퍼차지 충전량 증가 '30%' → '40%'
- 모
- 돌팔매질(일반 공격) 재장전 속도 감소 '2초' → '1.5초'
- 맥스
- 공간 이동 운동화(가젯) 재사용 대기 시간 감소 '12초' → '10초'
- 셰이드
- 깜짝 놀랐지(가젯) 재사용 대기 시간 감소 '11초' → '9초'
- 타라
- 특수 공격 충전에 필요한 일반 공격 명중 횟수 감소 '11회' → '10회'
- 롤라
- 하이퍼차지 충전량 증가 '25%' → '35%'
4. 시즌 38, 39, 업데이트
- 신규 하이퍼차지
- 거스 (스푸키 팝): 특수 공격 적중 시 아군은 회복, 적에겐 피해를 입히는 유령을 사방으로 흩뿌린다.
- 릴리 (발아): 특수 공격이 벽에 튕길 수 있게 되며, 적 적중 시 그림자 영역에 진입한다.
- 클랜시 (리콜 오브 듀티): 특수 공격이 적을 관통한 뒤 돌아온다.[33]
- 앰버 (기름 유출): 특수 공격의 범위가 크게 증가하며, 불을 붙인 후에도 3초간 필드에 지속한다.
- 윌로우 (정서적 안정): 특수 공격 적중 시 4초간 무적이 된다.[34]
- 그리프 (세금 환급): 특수 공격이 벽을 관통하고 최대 사거리에서 추가 투사체가 생긴다.
- 카제 (고대의 기운)
- 게이샤 폼: 특수 공격이 지속적으로 피해를 입힌다.
- 닌자 폼: 특수 공격의 돌진 속도가 증가하고, 표식이 즉시 피해를 입힌다.
- 신규 스킨
- 신규 이벤트
- 신규 모드
- 브롤 MOBA
- 세부 변경 사항
- 하이스트에서 금고의 체력이 25% 줄어들 때마다 넉백과 함께 일정 시간 피해를 받지 않는 보호막이 생기도록 변경된다.
- 가젯의 유무를 확인할 수 있도록 변경[35], 가젯의 쿨타임 시간을 알 수 있도록 변경
- 특수 공격 조준 시 보이는 표시가 하이퍼차지 사용 여부에 따라 구분되도록 변경됐다.
- 한국어 글꼴이 변경되었다.
[1] 무려 12개가 추가되며 2번에 시즌에 걸쳐 6개씩 출시된다.[2] 회전 카트(특수 공격) 사용 시 지면에 불타는 장판을 설치하고 장판에 서있는 적은 피해를 받음.[3] 여우 사냥(특수 공격)으로 소환되는 지뢰 수가 2개 증가하고 원래 설치한 지뢰들과 중복 설치 가능.[4] 강철 벌떼(특수 공격)가 최대 사거리에 도달하거나 적중 시* 2갈래로 퍼짐.[5] 그롬 폭탄(특수 공격)이 총 2번 폭발하며 2번째 폭발 땐 X자로 폭발함. 돌연변이 재탕.[6] 과대망상(특수 공격)으로 소환된 분신의 체력과 공격력 증가.[7] 로켓 너클(특수 공격)의 투사체 속도가 증가하고 적을 명중하면 특수 공격이 즉시 충전됨.[8] 설탕 광선(특수 공격)이 3갈래로 발사됨. 돌연변이 재탕.[9] 물고기 어뢰(특수 공격)가 적을 추적함.[10] 짐꾼 공격(특수 공격)으로 설치된 거점에서 소환되는 짐꾼의 공격력, 체력, 이동 속도가 증가하고 최대 2마리 생성.[11] 몽타주(특수 공격) 사용 시 360°로 보호막을 형성하고 반사된 투사체 피해량 증가.[12] 메카 모드일때 강철 팔뚝(특수 공격)의 범위가 증가하고 메카로 변신할 때 소모성 보호막을 얻음.[13] 캔디 팝(특수 공격) 사용 시 사방으로 독구름을 발사하고 슬로우 장판이 생김.[크로마] [크로마] [B] 브롤 패스 스킨이다.[BP] 브롤 패스 플러스 스킨이다.[BP] 브롤 패스 플러스 스킨이다.[19] 최초로 슈퍼쉘 메이크 당선 스킨들이 시즌 스킨들로 출시된다.[B] 브롤 패스 스킨이다.[BP] 브롤 패스 플러스 스킨이다.[BP] 브롤 패스 플러스 스킨이다.[23] 실제 보드게임 우노를 모티브한 스킨이다.[슈퍼쉘스토어] [25] 킹 프랭크처럼 슈퍼쉘 스토어에서만 구매 가능.[26] 전투당 가젯을 1번 더 사용할 수 있었던 기존의 가젯 기어는, 가젯 재사용 시간을 15% 감소시키는 가젯으로 바뀌었다.[27] 또 이제부터 최근에 출시한 브롤러들 위주로 스킨을 출시한다고 한다. 원래는 출시한 지 오래된 브롤러, 하이퍼차지가 추가된 브롤러들 위주로 스킨이 출시됐었다.[28] 버프된 브롤러들은 고작해야 3명.[29] 이번 밸런스 패치 내역을 보면 지난 밸런스 패치 내용에 비하면은 양이 적은 걸 볼 수 있는데, 그만큼 지금 모든 브롤러의 밸런스가 꽤 괜찮다는 걸 알 수 있다. 원래는 한겨울에 밸패를 1번 이상 했었는데, 올겨울에는 안 한 것만 보면 그만큼 지금의 모든 브롤러들의 밸런스가 정말로 좋다는 증거이다.[30] 이제 가지고 있는 탄환의 50%를 소모한다고 한다.[31] 너프에 가까운 패치이다. 상대가 궁이 끝난 후 켄지가 어디에 있을지 알기 쉽게 됐기 때문.[32] 신규 희귀도로, 잠금 해제하는데 5500의 크레딧이 소요된다.[33] 벽은 관통하지 못한다.[34] 리스폰 시 생기는 보호막과 같은 판정으로, 모든 CC기 및 피해량을 무시한다.[35] 브롤러 발밑에 있는 가젯 모양의 색깔로 판단 가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