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칭으로 불암산역이라고 불렸던 서울 경전철 동북선의 역에 대한 내용은 서울 경전철 동북선/115정거장 문서
, 이름이 비슷한 김해시에 있는 부산김해경전철의 역에 대한 내용은 불암역 문서
참고하십시오.불암산역 | ||
진접 방면 별내별가람 ← 4.4 ㎞ | 4호선 (409) | 오이도 방면 상 계 1.2 ㎞ → |
역명 표기 | ||
진접선 | 불암산 Buramsan 佛巖山 / 佛岩山 / [ruby(仏岩山, ruby=プラムサン)] | |
4호선 | ||
주소 | ||
서울특별시 노원구 상계로 305 (상계동 111) | ||
소속 영업사업소 | ||
4호선 | 상계영업사업소 불암산역 | |
운영 기관 | ||
4호선 | 서울교통공사 | |
개업일 | ||
4호선 | 1993년 4월 21일 | |
진접선 | 2022년 3월 19일 | |
역사 구조 | ||
지상 3층 | ||
승강장 구조 | ||
복선 상대식 승강장 (횡단 불가) | ||
철도거리표 | ||
기점[1] | 진접선 당고개[2] | 진접 방면 별내별가람 4.4 ㎞ → |
[clearfix]
1. 개요
대합실 |
2. 역 정보
역 안내도 크게 보기 |
역 디자인이 화려하게 꾸며졌기 때문에 개통 후 2000년대 초반까지 상계역과 더불어 드라마, 광고 촬영지로 많이 이용되었다.
운임 구역이 방향 별로 분리되어 반대편 직접 횡단이 불가능하다. 원래는 방향 별이 아닌 1, 4~6번 출구와 2~3번 출구에 각각 게이트가 있고 승강장을 오가는 것이 가능한 구조였으나 2008년에 대체되었다. 이 역에 있었던 舊 던킨도너츠 매장[4]은 원래 1, 4~6번 출입구에서 올라오는 고객들을 위한 매표소였다. 역 구조를 수정하면서 2~3번 출입구 매표소만 남기고 빈 자리에 던킨도너츠를 입주시켰다가 빵집으로 바뀐 상태. 불암산역은 서울 지하철 구간뿐만 아니라 수도권 전철 4호선 구간의 모든 지상역 중 유일하게 반대편 직접 횡단이 불가능하다.
반대편 횡단이 불가능한 역으로, 불암산행 종착 열차가 바로 오이도행 승강장으로 진입하면 진접 방면 승객들은 다음에 들어오는 진접행 열차로 갈아타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2022년 9월에는 불암산역에는 진접 방면으로 가는 승객들이 오이도 방면 승강장에 내리면 게이트에 카드를 찍지 말고 비상게이트를 통해 반대편 승강장으로 넘어가라는 안내문이 부착되었다.[5] 2023년 7월 1일부터는 10분 이내, 동년 10월 7일부터는 15분 이내 재승차 시 환승할인이 적용되므로 교통카드로 승차했다면 개찰구를 찍고 바로 넘어가도 문제는 없다.
2022년 3월에는 에스컬레이터 설치 공사로 인해 1/4번 출입구에서는 지하철 이용이 불가하며, 지하철 이용을 위해서는 무조건 2/3번 출입구로 출입해야 한다. 화장실 이용객을 위해 1/4번 출입구를 완전히 폐쇄하지는 않았다.
서울교통공사 소속 전동차 중에서 막차시간 때 창동차량사업소로 들어가지 않고 이 역의 인상선에서 주박하는 열차가 있다. 직류 및 직교류 겸용 전동차 둘 다 있다.[6][7] 아울러 막차 시간대에 진접역에서 출발하여 이 역에서 종착하는 열차가 평일에 1대, 주말에 2대 있는데 그 뒤로 행선지에 회송을 띄우고 창동차량사업소로 들어간다.
서울교통공사 소속 열차는 종착 안내방송에서 중일문 안내방송이 끝난 후 마지막으로 발빠짐 주의 안내방송을 송출한다.
2.1. 역명
2.1.1. 당고개역 시절
계획 및 공사 당시 가칭은 '신상계'였고, 실제로 이 역 3번 출입구 근처에 서울신상계초등학교가 있다.당고개라는 이름의 유래는 '서낭당이 있는 고개'란 뜻이다. 순우리말처럼 보이지만 완전한 순우리말은 아니고, 엄밀히 따지자면 '堂고개'로 표기하는 것이 정확하다. 당현천과 당현초등학교의 '당현' 또한 당고개의 한자식 표기인 '堂峴'에서 따왔기 때문이다. 당고개라는 이름은 인근이 개발되고 지하철이 건설될 때는 완전히 잊힌 이름이라, 제정 당시에는 주민들에게조차 잊힌 옛 지명을 썼다는 점에서 지역 주민들의 불만과 언론의 지적이 있었다.[8]
초창기 역명판 | 초창기 폴사인 | 지하철체 구 역명판 |
2.1.2. 역명 개정
2024년 2월 28일 노원구에서 역명 변경을 추진 중임이 알려졌다. 그 후 6개월이 지나고 8월 보도에 따르면 노원구 지명위원회가 당고개역을 불암산역으로 개명하는 안건을 통과시켰다. 특히 일대 재개발 후 새로 들어온 주민들이 적극적으로 역명 개정을 요구했는데, 이는 당고개라는 이름은 잘 알려지거나 쓰이지 않았던 이름이고[11] 민간 신앙과 관련된 명칭이라 꺼려지고 낙후된 느낌이 들며, 종로구 창신동이나 용산구 용문동 등 서울 내 다른 지역에도 있는 이름이라는 것이 개명 추진 명분이다. 기사해당 안건은 2024년 9월 23일에 서울시 지명위원회를 통과하였으며 # 이에 따라 2024년 10월 31일에 역명 변경 결정 고시가 올라와 공식적으로 개명되었다. 서울시보 2024년 10월 31일 뒤이어 서울교통공사 사이버 스테이션 사이트에도 반영되었다.
실제로 역명이 바뀐다면 그야말로 교체해야 될 것이 산더미이다. 일반적으로는 역 내부와 역 주변 시설(정류장 등)만 바꾸면 되지만 당고개역은 4호선 열차의 시종착역이라 모든 4호선 열차가 불암산이라는 행선지 문구와 차량 내에 있는 안내 LCD와 노선도에 당고개 문구를 전부 지우고 불암산을 추가해야 하고, 4호선 모든 역에 있는 당고개 문구를 전부 불암산으로 교체해야 하며, 열차 도착 안내 LCD에도 불암산을 추가해야 한다. 다른 지하철역에 있는 노선도와 타 노선 차량에 있는 노선도의 당고개 문구도 전부 불암산으로 교체해야 한다. 시간도 오래 걸릴 뿐더러 교체하는 데도 많은 돈이 들어간다.[12] 30년 넘게 4호선의 시종착역이었던지라 시민들의 혼동이 우려되는 것은 물론이다.[13]
역명 변경이 확정된 지 2주 가량 지난 11월 중순, 불암산역 승강장의 스크린도어 LCD 표기가 “불암산”으로 변경된 것이 확인되었다. 상계역의 진접 방면 스크린도어 LCD는 불암산 방면으로 뜬다. 다만 이외 모든 표기는 2024년 12월 14일 기준으로 여전히 “당고개”로 표시되는 중. 심지어 다른 역의 LCD 행선기 및 역에서 열차 진입 시 안내방송도 여전히 당고개행으로 나오며, 다른 역과 열차 안에 부착된 4호선 노선도에서도 여전히 수정되지 않았다. 혼동을 최소화하기 위해 기관사가 불암산행 열차, 구 당고개행 열차라고 안내방송을 하기도 한다.
이후 역명 개정이 확정되고 2달 가량 지난 2024년 12월 말, 안산선과 과천선 일부 역들의 스크린도어 노선도가 개정되며 “불암산”으로 개칭된 노선도가 부착된 것이 확인됐다. 다만 여전히 다른 표기는 아직 개정되지 않았다. 심지어 서울교통공사 수도권 전철 전체 노선도에 지티엑스운정역은 운정중앙역으로 바꿔놓고 정작 당고개역은 수정하지 않았다.
2.2. 회차
1993년 4월 21일부터 2022년 3월 18일까지 거의 29년 동안 4호선의 종착역이었으며, 따라서 불암산역 전후로 X자 분기선이 있다.진접선 개통 전 불암산역에서는 수락산 방향으로 회차선이 뻗어 있었으며 인상선의 일부가 터널로 되어 있었다. 불암산역에서 회차하는 열차는 이 터널을 들어갔다가 나왔다. 박스형 터널로 이루어졌다. 상단은 터널, 하단은 고가 교각으로 이루어져 있어서 박스형 터널 구조물이 노출되어 있다. 터널 일부 장소에는 환기구가 있어 햇빛이 약간 보인다. 터널이 약 200m라서 회차 시 열차의 모든 부분이 터널에 완전히 들어가지는 않았다. 성림아파트 단지 101동 부근에서 지하로 들어가나, 지형의 고저차로 인해 102동 쪽 정문과 놀이터 쪽에서 바라보면 환기구가 보이며, 환기구 바로 밑에 차도가 있는 상당히 특이한 구조이다.
진접선 개통으로 더 이상 시종착역은 아니지만 꽤 많은 열차들이 이 역에서 시종착하며[14] 서울교통공사와 남양주시의 협약에 의하여 한국철도공사 소속 전동차들은 이 역까지만 운행하고 불암산역 회차선에서 방향을 바꾸어 오이도행이나 안산행으로 운행한다. 별내별가람역부터는 서울교통공사 소속 전동차 사당역 착발 열차만 들어간다. 단, 2026년에 진접차량기지가 준공되면 한국철도공사 소속 전동차도 운행 예정이다.
진접선은 이 회차선용 터널에서 그대로 연장되어 터널에서 별내별가람역까지 이어진다. 불암산역을 출발하자마자 터널을 들어가고서 100m 정도 가면 지하로 들어간다. 진접선 연장을 위해 회차선을 별내별가람역 방향으로 이설했으며 기존의 회차선을 지나서 인상선을 신설했다. 신설된 인상선은 불암산역과의 거리가 약 800m이며 반경 300m급의 급커브이다. 회차선을 멀리 이설한 이유는 기존 회차선이 있는 박스형 터널 옆에 확장할 공간이 없기 때문이다. 진접선 본선은 인상선 진입 전 옆으로 분기되어 연결된다. 잠시 나오는 복복선 기준으로 중앙에 복선 선로가 불암산 인상선이고 양 옆에 단선 선로가 진접선이다. 즉 진접 - 불암산을 오갈 때 분기 선로를 반드시 지나야 한다. 또한 이 분기선을 기준으로 터널 조명의 위치가 바뀐다.
회차터널로 들어간 직후에는 당고개하늘공원이라는 공원이 있다. 원래는 아무것도 없는 공터였으나 2017년경 조성되었다. 2024년 8월 경 불암산 회차터널 직전에 쳐진 초록색 펜스가 방음벽으로 교체되었다.
2.3. 5번 출입구
1, 4번 출입구에서 본 폐상가 통로의 모습 | 5번 출입구 앞의 모습[15] | |
5번 출입구 우측에 세워진 당고개역 시절 5번 출입구 구 폴사인 | 새롭게 세워진 5번 출입구 폴사인 |
현재는 폐상가가 철거되고 리모델링이 되어 옛말이 되었다. 주변에 안내 표지판도 설치되어 출입구로서의 기능을 회복했다. 그러다가 당고개변전소 노후전력설비 개량 공사로 인해 2021년 4월 26일부터 2022년 6월 24일까지 임시로 폐쇄된 바 있다.
불암산역 주변 지형의 고저차로 인해 1~4번 출구와는 달리 5~6번 출구는 계단을 내려갔다 다시 올라가야 하는 구조이다.
3. 역 주변 정보
역 주변은 단독 주택 위주의 주거 지역으로 구성되어 있다. 3번 출구로 나가서 조금만 걸어가면 공원이 있고, 5~6번 출구로 나가서 조금만 걸으면 수락산이다. 지도상에 성림아파트 인근 에서 지하로 들어가고, 성림아파트와 용운암의 중간 지점에서 환기구를 볼 수 있으며, 영천선원 지점까지가 회차선 끝지점이다.도깨비 시장이라는 재래시장 한가운데에 지어 놓았기 때문에 건축 당시에는 꽤 시끄러웠다. 시장은 사라졌지만 시장이었던 자리는 아직 남아있다. 시장이라고 말할 정도의 규모도 아니며 낡은 가게나 중국집이 조금 많은 '재개발 예정지' 정도의 느낌이다. 시장이 사라진 탓에 분위기는 많이 조용해졌고 그나마 오래된 가게들도 하나하나 새 가게로 바뀌고 있다.
불암산역 인근 당현천마을, 양지마을, 합동마을, 희망촌은 1960년대 말에 정부에서 서울시내 판자촌을 철거하며 판자촌 거주민들에게 토지를 불하해주겠다는 조건으로 이주해 형성된 마을이다. 이들 마을 특징은 인위적으로 조성된 달동네 형태가 매우 잘 남아 있다는 점이다. 이들 마을 항공사진을 보면 정육면체 형태의 토지분배를 확인할 수 있다. 32~40평 정도 되는 정사각형에 가까운 사각형에 집 4채가 들어가 있는 형태가 규칙적으로 나타나는데, 이것이 바로 당시 정부에서 서울시내 판자촌 주민들을 이주시킨 후 토지 구획을 나눠서 배분했을 때 흔적이다. 저소득층인 판자촌 거주민을 이주시킨 곳이라 생활 환경은 그다지 좋지 않다. 대부분의 집이 블록이나 벽돌을 쌓아 올린 뒤 목재로 지붕틀을 올리고 기와를 얹은 허술한 구조이고 1960년대 말에서 70년대 초에 건축된 낡은 집들이 절대 다수다. 무너져서 잔해만 남은 집들도 간간히 있다.
이 역 동북쪽으로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가 놓여 있었는데 나들목이 없다. 이것은 이 구간이 수락산과 불암산 터널 사이에 짧게 끼어서 나들목을 놓기가 굉장히 어렵기 때문이다. 이 두 산은 화강암질이라 파거나 뚫기가 어렵다. 게다가 이곳과 불암산역, 상계역 방향 덕릉로는 중간에 교차로, 횡단보도가 많은 왕복 4차로 도로여서 도로용량이 작아 자칫 나들목을 놓았다가는 출구의 지정체로 고속도로 본선의 통행마저 방해할 수 있다. 이 문제는 덕릉터널 개통시에도 제기되어 터널공사 반대론의 근거가 되었다. 진입은 의정부IC나 별내IC를 이용하는 것이 좋다. 원래 별내IC는 덕릉고개를 넘어야 했는데 이 도로가 왕복 2차로에 구불구불해서 소요 시간이 길었으나, 2016년 2월에 덕릉터널이 개통하면서 거리나 소요시간이 엇비슷해졌다. 방향에 따라서 거쳐야 하는 톨게이트 수가 더 늘어날 수도 있어서 주의가 필요하다. 하지만 상계 재정비촉진지구 관련 교통대책으로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덕릉로 연결하는 (가칭)상계IC 신설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다.
터널로 들어가지 않고 산길을 따라 덕릉고개 너머로 나가면 선조의 아버지인 덕흥대원군의 묘를 볼 수 있다.
남양주로 넘어가는 길목(도보로 역에서 20분 정도)에 제220보병여단이 있어서 훈련날 아침이면 예비군 대원들로 북새통을 이루었다. 이 때문에 별내동으로 넘어가는 버스 중 남양주 버스 10-5와 남양주 버스 85-1번은 덕릉터널 개통에도 불구하고 기존 덕릉고개 경유를 고수 중이다.
3.1. 출구 정보
불암산역 출구 정보 | |
1,4,5,6번 출구 | |
1 | 상계3·4동 삼락시장 |
4 | 상계4치안센터 |
5 | 수락산 방면 |
6 | 상계3·4동공공복합청사 덕릉예비군훈련장 덕릉동원훈련장 |
2,3번 출구 | |
2 | 상계종합사회복지관 상계3동우체국 동아불암아파트 불암현대아파트 서울덕암초등학교 |
3 | 당고개파출소 서울신상계초등학교 수락산당고개공원 서울둘레길 1코스 |
4. 일평균 이용객
||<tablebgcolor=#fff,#1f2023><tablebordercolor=#00a4e3><bgcolor=#00a4e3> 연도 || ||<bgcolor=#00a4e3> 비고 ||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1994년~2009년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 1994년 | 17,754명 | |||
1995년 | 19,353명 | ||||
1996년 | 15,845명 | ||||
1997년 | 17,432명 | ||||
1998년 | 18,678명 | ||||
1999년 | 자료없음 | ||||
2000년 | 21,721명 | 비고 | |||
2001년 | 22,669명 | ||||
2002년 | 23,896명 | ||||
2003년 | 24,292명 | ||||
2004년 | 25,309명 | ||||
2005년 | 24,728명 | ||||
2006년 | 24,701명 | ||||
2007년 | 24,735명 | ||||
2008년 | 25,513명 | ||||
2009년 | 25,241명 | }}}}}}}}} | |||
2010년 | 25,384명 | ||||
2011년 | 25,106명 | ||||
2012년 | 25,055명 | ||||
2013년 | 26,260명 | ||||
2014년 | 27,415명 | ||||
2015년 | 27,596명 | ||||
2016년 | 27,435명 | ||||
2017년 | 26,561명 | ||||
2018년 | 25,767명 | ||||
2019년 | 26,310명 | ||||
2020년 | 20,747명 | ||||
2021년 | 21,203명 | ||||
2022년 | 17,437명 | ||||
2023년 | 17,661명 | ||||
2024년 | |||||
출처 | |||||
서울교통공사 자료실[16] |
- 교통이 불편한 상계3~4동 및 별내면 주민들이 꾸준히 애용하는 역이다. 2000년대 초반까지 2만명대 초중반의 수요를 유지하다가 남양주시 별내면 청학리 택지개발로 2002~2003년 무렵에는 2만 명대 중반으로, 별내신도시 입주시기인 2013~2014년에는 이용객 숫자가 2만 명대 중후반으로 소폭 상승했다.
- 2015년부터는 노원구의 인구 감소로 2만 명대 중반으로 승객이 감소했으며 진접선의 개통에 따라 별내, 오남, 진접에서 넘어와 불암산역을 이용하던 승객들이 이탈해 2022년에는 4000명이 줄었다.
- 하지만 장기적으로는 다시금 이용객이 증가할 가능성이 높다. 이 역을 역세권으로 삼는 상계뉴타운 1~2구역 개발이 순조롭게 진행 중이고 추후에 상계뉴타운의 메인이 될 5구역까지 계획 중이기 때문이다. 실제로 2구역과 5구역은 가까운 동에서는 도보 1분거리의 초역세권이다. 게다가 둘 다 1500세대 이상을 넘어가므로 이용객이 늘어나지 않는다는 게 오히려 이상한 일일 것이다. 재개발과 입주가 전부 완료된다면 이곳을 배후 수요처로 삼는 불암산역의 수요가 크게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5. 승강장
구 당고개역 역명판 | 승강장 |
↑ 별내별가람 | |||
하 | ㅣ | ㅣ | 상 |
↓ 상계 |
상 | 4호선 | 별내별가람·오남·진접 방면 당역 종착 |
하 | 창동·명동·오이도 방면 |
역사 밖에서 보면 꼭대기가 일직선 승강장처럼 보이지만 사실은 곡선형 승강장으로, 이 역은 상계 방면으로 8퍼밀 내리막이 있다. 이 역부터 창동역까지는 지상이며, 진접 방면 마지막 지상역이다. 진접선 407정거장이 개통되면 이 역부터 오남역까지 지상역과 지하역이 번갈아 나타난다.
모든 한국철도공사 열차와 안산/오이도발 서울교통공사 열차와 일부 사당발 서울교통공사 열차는 이 역에서 종착한다. 다음 역인 별내별가람역부터는 사당발 서울교통공사 열차만 운행한다.
지연이 심하면 불암산행 종착 열차가 바로 하행 승강장으로 진입하여 승·하차 처리를 하는 회차 방식을 사용하는 경우가 있다. 심지어 하행 승강장에 이미 열차가 있는 경우에는 상행 승강장에서 사당/안산/오이도행 열차를 취급할 때도 있다.[17]
6. 연계 교통
A | |||
11990 | 당고개역 | 1-8 | 노원구청 방면 |
10 | 종점 | ||
10-5 | |||
105 | 남양주(오남, 진접) 방면 | ||
105-1 | 남양주(내각, 장현, 광릉내) 방면 | ||
서울09출근 | 노원역9번출구 방면 | ||
79031 | 33-1 | 종점 | |
85-1 | |||
B | |||
11664 | 당고개역 | 1-8 | 의정부(민락동, 고산동) 방면 |
서울09퇴근 | |||
10 | 남양주(별내, 사릉, 오남) 방면 | ||
10-5 | 구리(돌다리), 남양주(퇴계원, 금곡동, 호평동) 방면 | ||
79094 | 33-1 | 남양주(청학리) 방면 | |
85-1 | 남양주(별내동) 방면 | ||
C | |||
11225 | 흥안운수종점 | 1138 | 창동, 수유역 방면 |
1139 | 방학동 방면 | ||
1224 | 태릉, 청량리 방면 | ||
D | |||
11224 | 흥안운수종점 | 1138 | 차고지 방면 |
1139 | |||
1224 | |||
가 | |||
번 출구 당고개공원 대여소 (1634) |
다른 연계 버스는 사실상 없고 근처에 흥안운수 종점이 있으나, 이곳에서 출발하는 서울시내버스는 전부 상계역으로 나간다. 2004년까지는 노원 06, 07번 마을버스가 불암산역을 경유했으나 둘 다 소리없이 없어졌고, 2012년 연말에 1138번이 변경되면서 당고개 - 수유역 - 당고개 - 별내지구 - 당고개로 운행했으나 그마저도 2013년에 다시 원래대로 환원되면서 당고개역은 서울면허 노선이 들어오지 않게 바뀌었다. 이 역으로 들어오는 서울 버스는 의정부에서 오는 출퇴근 시간대의 서울09번이 유일하다. 의정부시 민락동, 남양주시 진접읍, 오남읍, 별내면이나 별내신도시에서 넘어오는 노선버스가 직행좌석버스 2개(105, 105-1), 시내버스 3개(1-8, 10, 10-5) 및 마을버스 4개(33, 33-1, 80, 85)나 있어 남양주권에서 서울 시내로 진입하기 위해 버스를 타고 넘어오는 이용객도 상당히 많다. 의정부로 가던 노선(17번)이 2010년에 생겼으나 2012년에 폐지되었다가 현재는 민락동-노원역을 1-8번 노선이 운행하고 있고, 10번은 엄청난 감차로 거의 운행하지 않는다. 남양주시에서는 별내별가람역을 키우기 위해 별내지구와 당고개역을 잇던 33, 80, 85번 마을버스를 전부 단축시켰다.
7. 사건 사고
7.1. 사회복무요원에 대한 불법 업무 지시
자세한 내용은 서울교통공사/논란 및 사건 사고 문서 참고하십시오.8. 기타
- EZ2DJ 수록곡 중 Gray Street의 BGA의 배경이 이 역이다.
- 스타벅스 닉네임 이벤트를 할 때 있었던 개드립닉네임 중에 '사호선당'이라는 닉네임이 있었다. '4호선 당고객님'을 의도한 것.
- "지하철에서 살아남기" 라는 책에서 '땅고개행'이라고 나온다.
- 당고개는 이곳 말고도 용산구에도 있다. 한자 지명까지 이 역 이름의 유래가 된 당고개의 堂峴과 똑같다. 용산의 당고개는 조선시대에 대역죄인들을 처형하던 처형장이 있었던 곳으로 조선 말엽에는 천주교 신자들이 그곳에서 많이 처형당했다. 그래서 용산의 당고개는 순교 성지로 지정되어 있으며, 용산전자상가 인근 모 아파트 단지 인근에 공원처럼 조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 역의 당고개는 처형장과 관계가 없는 지명이다. 용산 당고개 성지, 즉 당고개 성당은 현재 효창공원앞역 5번 출구에 있다. 아예 역 내에 안내표지판이 자그맣게 있으므로 어렵지 않게 갈 수 있다. MBC 수목 미니시리즈 '네 멋대로 해라'의 주인공 복수의 집 촬영지가 용산의 당고개 였는데 간혹 이곳 당고개역으로 착각하고 찾아오는 이용객들도 있었다.
- 이 역에 상계승무사업소가 위치하여, 서울교통공사 일부 열차의 승무교대가 이루어진다.
- 서울남산체로의 역명판 교체는 2020년 7월경에 이루어졌다. 상계역과 비슷한 시기이며, 노원역, 창동역보다 한달정도 빠른 시점. 따라서 이때는 별내별가람 안내가 없는 서울남산체 역명판을 볼 수 있었다.
9. 둘러보기
수도권 전철 4호선 역 목록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00a4e3> 진접선 | 진접 - 오남 - 별내별가람 - 불암산 |
서울 지하철 4호선 | 불암산 - 상계 - 노원 - 창동 - 쌍문 - 수유 - 미아 - 미아사거리 - 길음 - 성신여대입구 - 한성대입구 - 혜화 - 동대문 - 동대문역사문화공원 - 충무로 - 명동 - 회현 - 서울역 - 숙대입구 - 삼각지 - 신용산 - 이촌 - 동작 - 총신대입구(이수) - 사당 - 남태령 | |
과천선 | 남태령 - 선바위 - 경마공원 - 대공원 - 과천 - 정부과천청사 - 인덕원 - 평촌 - 범계 - 금정 | |
안산선 | 금정 - 산본 - 수리산 - 대야미 - 반월 - 상록수 - 한대앞 - 중앙 - 고잔 - 초지 - 안산 - 신길온천 - 정왕 - 오이도 | }}}}}}}}} |
다른 노선의 역 둘러보기 |
진접선의 역 목록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1) - - - | }}} (1) 진접선 철도 거리표에는 역명 개칭 미반영}}}}}} |
[1] 상계역 방면 서울 지하철 4호선과 직결운행[2] 진접선 역명은 여전히 당고개로 등재되어 있다.[3] 개정 전 9번.[4] 지금은 공장제 빵을 파는 가게로 바뀌었다. 개당 천원이라는 저렴한 가격이 포인트.[5] 이것이 번거로우면 미리 상계역~사당역 구간에서 진접행으로 갈아탈 수도 있다.[6] 직교류차는 주중에는 #4714으로 종착해 그 다음날 #4513로 운행하고, 주말에는 #4680으로 종착해 그 다음날 #4511로 운행한다.[7] 직류차는 주중에는 #4232으로 종착해 그 다음날 #4001로 운행하고, 주말에는 #4192으로 종착해 그 다음날 #4003으로 운행한다.[8] 「새 地下鉄 驛이름 너무 어렵다」, 조선일보, 1991-08-02[9] 해당 영상, 출처: 유튜브[10] 해당 영상, 출처: 유튜브[11] 다만 어원인 당현이 상기한 것처럼 지금도 당현천에 쓰이고 있으며 서울당현초등학교 역시 여기에서 교명을 따 왔다.[12] 그나마 다행인 점은 2022년 진접선의 개통으로 대부분의 서울 구간의 4호선 역은 “당고개” 문구가 “진접” 문구로 대체되었다는 것이다. 다만 대다수의 코레일 관할 역과 아직 당고개 문구가 남아있는 역도 많기 때문에 마냥 비용이 적게 드는 것은 또 아니다. 그나마, 코레일 역 구간의 경우 안내방송이 TTS인지라, 고치기만 하면 바로 반영될 수 있지만, 이는 안내방송 한정이며, 역마다 행선지 표지판이랑 노선도 교체를 해야한다는 점은 변함없다.[13] 실제로 수도권 전철 1호선의 경우 1974년 첫 개통 이후 30년 가까이 '수원행' 열차가 운행되어 오다가 2003년 4월 30일 병점역까지 연장되었는데, 일개 큰 읍의 마을 이름인 '병점'보다 경기도를 대표하는 도시인 '수원'의 인지도가 넘사벽급으로 높았기 때문에 (구)수원행 열차를 자주 이용했던 시민들의 혼란이 매우 컸었다. 결국 병점행 열차 앞 유리창마다 '수원'이라고 쓰인 널빤지를 대야 했고 차내전광판에도 '수원·병점행' 표시가 있었다. 이후 신창역 연장에도 비슷하게 한동안 천안·신창행을 병기한 적이 있다.[14] 사당행 상당수가 진접역 시종착으로 바뀌었지만, 지금도 평일 기준 오전 8회, 오후 18회의 열차가 불암산역을 출발하여 사당역까지 간다.[15] 직원용 주차장이나 적재창고로 보이며, 좌측의 무번호 출입구는 진입이 불가했으나 개조 후에 6번 출입구로 쓰인다.[16] 옛 자료 출처: 지하철 수송계획, 서울지하철경영[17] 이 경우 역무원과 사회복무요원이 직접 개찰구와 승강장에 나와서 안내하지만 진접 방면 이용객은 열차에 승차하기 전 행선지 확인을 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