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3-30 13:21:09

부르가스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2px -12px"
파일:블라고에브그라드 주.svg
블라고에브그라드주
(블라고에브그라드)
파일:부르가스 주.svg
부르가스주
(부르가스)
파일:도브리치 주.svg
도브리치주
(도브리치)
파일:가브로보 주.svg
가브로보주
(가브로보)
파일:하스코보 주.svg
하스코보주
(하스코보)
파일:커르잘리 주.svg
커르잘리주
(커르잘리)
파일:큐스텐딜 주.svg
큐스텐딜주
(큐스텐딜)
파일:로베치 주.svg
로베치주
(로베치)
파일:몬타나 주.png
몬타나주
(몬타나)
파일:파자르지크 주.svg
파자르지크주
(파자르지크)
파일:페르니크 주.svg
페르니크주
(페르니크)
파일:플레벤 주.svg
플레벤주
(플레벤)
파일:플로브디프 주.svg
플로브디프주
(플로브디프)
파일:라즈그라드 주.png
라즈그라드주
(라즈그라드)
파일:루세 주.svg
루세주
(루세)
파일:슈멘 주.svg
슈멘주
(슈멘)
파일:실리스트라 주.png
실리스트라주
(실리스트라)
파일:슬리벤 주.png
슬리벤주
(슬리벤)
파일:스몰랸 주.png
스몰랸주
(스몰랸)
파일:소피아 시.png
소피아
파일:소피아 주.svg
소피아주
(소피아)
파일:스타라자고라 주.svg
스타라자고라주
(스타라자고라)
파일:터르고비슈테 주.png
터르고비슈테주
(터르고비슈테)
파일:바르나 주.png
바르나주
(바르나)
파일:벨리코터르노보 주.svg
벨리코터르노보주
(벨리코터르노보)
파일:비딘 주.png
비딘주
(비딘)
파일:브라차 주.svg
브라차주
(브라차)
파일:얌볼 주.svg
얌볼주
(얌볼)
}}}}}}}}}

Бургас
부르가스
Burgas
국가파일:불가리아 국기.svg 불가리아
부르가스주
면적253.644km²
인구210,284명[1]
시간대UTC+02:00
시장Dimitar Nikolov
불가리아의 유럽 발전을 위한 시민

1. 개요2. 역사3. 관광4. 자매도시5. 여담

1. 개요

불가리아에서 4번째로 큰 도시이자 부르가스주의 주도로 탑과 요새를 의미하는 그리스어 Πύργος에서 유래하였다.

2. 역사

부르가스는 불가리아의 다른 도시들과 마찬가지로 트라키아인들이 살았던 곳이다. 하지만 페르시아 제국의 다리우스 1세가 이 곳을 정복하고 그리스인들과 트라키아인들과 교역하기 위한 시장을 열면서 부르가스는 번영하기 시작핬다. 로마 제국 통치 시기 당시 로마 황제였던 베스파시아누스는 참전 용사들을 위해 이 곳의 땅을 주기도 했다. 그 이후 부르가스는 다른 불가리아 도시들과 마찬가지로 불가리아 칸국비잔틴 제국이 싸우는 주요 격전지가 되었으며, 불가리아 칸국의 칸 크룸은 이 일대에 140km의 국경 장벽을 건설하기도 했다. 이후 부르가스는 오스만 제국에 의해 정복당했으며 17세기 들어서야 아헬로-피르가스(Ahelo-Pirgas)라는 이름의 정착촌이 들어섰다. 이 당시 인구는 약 3,000명에 불과했다. 오스만 제국이 점차 발칸 반도에서 영토를 뺐기자 부르가스의 가치는 급격하게 상승했다. 부르가스는 오스만 제국의 곡물을 수출하는 주요한 항구가 되었으며 트라브존 다음으로 흑해에서 가장 중요한 항구로 성장하였다.

하지만 1885년 부르가스는 결국 불가리아 공국에 병합되었으며 불가리아의 주요한 항구 도시로 발전하기 시작했다. 플로브디프로 가는 철도 노선의 개통을 시작으로 부르가스에 인쇄소, 설탕 정제소, 정유소 및 비누 공장이 들어서기 시작했고 남유럽 최초의 연필 공장도 부르가스에 세워졌다. 하지만 1945년 공산주의자들이 불가리아에 집권하자 부르가스에 살던 지식인들이 탄압당했고 각종 공장, 상점, 사유지가 국유화되었다. 또한 부르가스 젊은이들은 대학 및 기타 고등 교육에 대한 접근이 거부되었고, 그들 중 일부는 감옥과 노동 수용소에 수감되었다. 하지만 불가리아의 공산 정권이 무너지고 부르가스는 과거의 위상을 되찾아 불가리아에서 가장 큰 항구로 불가리아 경제에 기여하고 있다.

3. 관광

4. 자매도시

5. 여담


[1] 통계인구, 2024년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