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2px -12px" | 블라고에브그라드주 (블라고에브그라드) | 부르가스주 (부르가스) | 도브리치주 (도브리치) | 가브로보주 (가브로보) |
하스코보주 (하스코보) | 커르잘리주 (커르잘리) | 큐스텐딜주 (큐스텐딜) | 로베치주 (로베치) | |
몬타나주 (몬타나) | 파자르지크주 (파자르지크) | 페르니크주 (페르니크) | 플레벤주 (플레벤) | |
플로브디프주 (플로브디프) | 라즈그라드주 (라즈그라드) | 루세주 (루세) | 슈멘주 (슈멘) | |
실리스트라주 (실리스트라) | 슬리벤주 (슬리벤) | 스몰랸주 (스몰랸) | 소피아 | |
소피아주 (소피아) | 스타라자고라주 (스타라자고라) | 터르고비슈테주 (터르고비슈테) | 바르나주 (바르나) | |
벨리코터르노보주 (벨리코터르노보) | 비딘주 (비딘) | 브라차주 (브라차) | 얌볼주 (얌볼) | }}}}}}}}} |
Сливен 슬리벤 Sliven | |||||
국가 | |||||
주 | 슬리벤주 | ||||
면적 | 193.78㎢ | ||||
인구 | 83,740명[1] | ||||
시간대 | UTC+03:00 | ||||
시장 | Stefan Radev [[불가리아 사회당| 불가리아 사회당 ]] | ||||
1. 개요
불가리아 동부에 위치한 도시로 북부 트라키아 지역에 위치해 있다. 19세기 오스만 제국과 싸웠던 비정규 농민군 하덕(Hajduk)의 지휘자들을 일컫는 보이보다(Voyvoda) 100명을 기념해 100보이보다의 도시로 불리기도 한다.2. 역사
슬리벤은 트라키아인들이 살었던 정착지에서 시작했다. 로마 제국이 트라키아를 정복하면서 슬리벤은 트라키아 속주의 일부가 되었다. 그러나 로마 제국이 쇠락해지고 불가르인과 아바르인들이 계속 슬리벤 일대를 침략하였다. 결국 비잔틴 제국은 슬리벤 일대를 불가리아 제1제국에 주었고, 보리스 1세는 슬리벤 일대에 도시와 요새를 건설하였다. 불가리아 제2제국의 22대 차르인 이반 알렉산더르는 슬리벤에 24개의 수도원을 세웠다. 하지만 오스만 제국이 불가리아를 침략해 오면서 수도원 대부분 파괴되었다.오스만 제국 시기 슬리벤은 공예의 중심지로 총, 곡괭이, 철제 도구를 생산하였다. 그래서 슬리벤은 19세기 오스만 제국군과 싸웠던 비정규 농민군 하덕의 중심지였지만 주 인구는 튀르키예인들이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유럽에 민족주의 바람이 불자 슬리벤에서는 불가리아 최초의 연극인 미할 미슈코에드가 공연되는 등 불가리아 민족 운동의 중심지가 되었다. 1876년 불가리아 전역에서는 오스만 제국의 지배에 저항하는 4월 봉기가 일어났고 슬리벤은 제2혁명지구의 중심지였다. 1877년 러시아-튀르크 전쟁이 일어난 동안 슬리벤의 상점과 주택이 불탔다. 하지만 1878년 1월 16일 슬리벤은 러시아 군대에 의해 해방되었다. 불가리아 민족 부흥기 동안 슬리벤은 가장 중요한 문화 중심지 중 하나였다. 불가리아의 혁명가 하지 디미타르, 불가리아는 대표하는 시인이자 작곡가인 도브리 친툴로프, 불가리아를 대표하는 의사이자 의학자인 이반 셀리민스키 등 불가리아의 저명인들이 슬리벤에서 태어났다.
3. 경제
슬리벤의 주요 산업은 섬유 산업으로 많은 회사들이 양모, 의류, 양말을 생산하고 읶다. 또한 천해의 기후로 인해 와인 산업도 매우 발전했다.4. 관광
- 시니테 카마니 자연 공원(Природен парк Сините камъни) : 불가리아 동부 발칸 산맥에 위치한 자연 공원으로 산악 등반, 동굴 탐험, 자전거 타기, 모터링, 패러글라이딩, 스키 스포츠 및 산악 하이킹을 포함한 야외 관광 및 활동을 위한 인기 있는 곳이다.
- 스타리야트 브랴스트 (Старият бряст) : 슬리벤 중심부에 위치한 1,100년 된 느릅나무로 오스만 제국 시절, 이 나무는 불가리아 혁명군을 처형 장소로 사용되었다는 전설이 있다.
- 투이다 요새 (Fortress Tuida) : 초기 비잔틴 시기 요새로 현재 발굴이 진행 중 이다.
5. 자매도시
[1] 통계인구, 2020년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