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05 18:35:29

보현산천문대

문서가 존재하는 대한민국의 천문대
파일:보현산천문대로고.png 파일:Seogwipo_logo.png 파일:대전시민천문대 로고.png
파일:2018-01-11 21_57_47-청양군청 칠갑산천문대.png 파일:홍대용과학관로고.png 파일:yyg천문대.jpg

보현산천문대
Bohyunsan Optical Astronomy Observatory
파일:6cc3d25c093c4708bd65a36407f636ea.jpg
<colbgcolor=#372d86><colcolor=#fff> 국가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운영기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하 한국천문연구원
유형 천문대
준공 1996년 4월 ([age(1996-04-01)]주년)
위치 경상북도 영천시 화북면 정각리 산6-3
링크 파일:보현산천문대로고.png


1. 개요2. 상세3. 연혁4. 관측 장비5. 발견한 천체6. 교통
6.1. 보현산천문대6.2. 보현산천문과학관

[clearfix]

1. 개요

파일:aa16a2e08f6c4126b682c7e7071dfb3c.jpg
▲ 보현산천문대의 여명 (한국천문연구원 전영범 박사 촬영)
파일:보현산 천문대1.jpg
▲ 보현산천문대에서 바라본 밤 하늘


경상북도 영천시 화북면 정각리 산 6-2에 있는 해발 1,124m 보현산[1] 정상에 건설된 천문대.[2] 소백산천문대대덕전파천문대와 함께 국내 3대 천문 관측소 중 1곳이다.

2. 상세


한국천문연구원 산하의 천문학 연구 기관으로, 한국에서 가장 큰 1.8m 반사 망원경 및 태양 플레어 망원경 등 다수의 천체 관측 시설을 보유하고 있으며, 국내에서 발견한 소행성 13개 중 12개가 이 곳에서 발견되기도 했다. 특기할 만한 점이라면, 이 1.8m 직경 반사 망원경의 이름은 '도약' 이며, 1만원권 지폐의 뒷면 도안에도 존재한다.

하지만 이 곳은 천문학자들이 천문 관측 및 연구를 하는 시설이기 때문에 일부 시간대 외에는 일반 시민들한테 개방하지 않는다. 보현산천문대에서 일반인한테 개방된 곳은 보현산 정상의 방문객 센터(전시관) 이다.

영천시에서 산 밑에 건립한 영천보현산천문과학관이 일반인을 대상으로 천문학을 교육하고 관측하는 시민천문대이며, 경상북도 영천시 화북면 별빛로 681-32 (정각리 689) 에 있다. 보현산천문과학관에서 일반 관람객들을 상대로 야간에 별 관측 행사를 하는 곳이다. 보현산천문대와 헷갈리지 말자.

3. 연혁

1985 보현산천문대 건설 추진
1992 보현산천문대 도로 건설 시작
1994 7월 슈메이커-레비 혜성 목성 충돌 장면 관측
1996 4월 보현산천문대 준공
1996 1K CCD 극미광 영상장비 개발
1998 진공증착기 설치
1999 2K CCD 시스템 개발
2003 BOES (고분산 에쉘 분광기) 개발
2008 KASINICS (근적외선카메라) 시스템 개발
2010 4K CCD 시스템 개발
2014 리모델링 1차
2015 망원경 제어 시스템 (TCS) v.3 개발
2015 리모델링 2차

1980년대 들어 한국의 우주 과학 역량이 발전함에 따라 기존 소백산천문대의 70cm급 망원경으로는 천문학자들이 연구에 한계를 느끼게 되었다. 이에 좀 더 큰 구경의 망원경을 탑재한 제2천문대 건설 사업이 발주되었고, 월악산, 소백산 등 여러 부지를 놓고 경쟁하다 경상북도 영천시 보현산이 가장 광해차[3]가 적은 것으로 나타나 보현산 정상에 천문대 건설을 추진하여 완공되었다.

4. 관측 장비[4]

5. 발견한 천체

34666 보현산
68719 장영실(소행성)
94400 홍대용(소행성)

6. 교통

산기슭인 보현산천문과학관까지만 대중교통이 다니며, 보현산천문대는 대중교통이 다니지 않는다.

6.1. 보현산천문대

영천시내에서 가려면 69번 지방도를 거쳐야 되는데, 영천댐 때문에 길이 구불구불하기 때문에 조심해야 한다. 보현산천문대로 올라가는 길부터는 도로 폭이 좁아지기 때문에 운전에 주의를 요한다.

영천역 기준으로 보현산천문대까지 자가용으로 이동할 경우, 거리는 37km. 영천역동대구역까지의 거리보다 더 멀다.[7]

6.2. 보현산천문과학관

보현산천문과학관까지 대중교통으로 가려면 360, 360-2, 361, 363, 450, 450-2, 451번 버스 중 하나를 타고 정각삼거리에서 하차 후 약 400m 정도 걸어가면 된다. 배차 간격이 매우 긴 노선들이므로, 영천시 버스정보시스템 사이트에서 필히 미리 시간표를 검색해서 확인해야 한다.

영천역 기준으로 보현산천문과학관까지 자가용으로 이동할 경우, 거리는 30km.[8]

[1] 한국전쟁 초반 벌어진 영천 전투의 격전지 중 하나였다.[2] 일부 시설은 청송군과 접한다.[3] 도시의 불빛 등으로 인한 광공해.[4] 참고로 맨 눈으로 관측하기 위한 장치는 존재하지 않아서 이걸 가지고 안시 관측을 할 수는 없다. 19세기 망원경이라면 모르겠으나, 현대에는 망원경으로 안시 관측을 하면서 천문학 연구를 하는 경우는 사실상 없기 때문에 그런 장치가 필요 없다.[5] 2019년 국제천문연맹에서 진행한 외계행성 이름짓기 공모전에서 명명권을 한국천문연구원으로 배정하였으며, 공모전을 통해 한라(Halla)로 확정하였다.[6] 모항성은 백두/작은곰자리 8(Baekdu/8 UMi), 한라와 마찬가지로 2019년 공모전을 통해 명칭이 확정되었다.[7] 영천역동대구역 까지의 거리는 33km.[8] 영천역대구 도시철도 1호선 용계역, 영천역신경주대학교 까지의 거리와 비슷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