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16 11:25:41

변효성

변효성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
파일:SPOTV 로고.svg파일:SPOTV 로고 화이트.svg 파일:KBO 리그 로고(국문/다크모드).svg 중계진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555555,#AAAAAA
<colbgcolor=#000000> 캐스터 김민수 최두영 이승현 조주영 정세현
변효성
해설자 민훈기 이대형 이성우 이동현
리포터 노윤주 김윤희 김민아
}}}}}}}}}}}} ||

파일:SPOTV 로고.svg파일:SPOTV 로고 화이트.svg 파일:MLB 로고.svg 중계진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555555,#AAAAAA
<colbgcolor=#000000> 캐스터 김민수 최두영 변효성 손상혁
백승협 정세현 장영태 한재웅
한장희 류한영 이연직 김영찬
해설자 김형준 손건영 이창섭 이현우
김태우 이희영 한승훈
}}}}}}}}}}}} ||

파일:SPOTV 로고.svg 축구 중계진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000
캐스터 양동석 김명정 김민수 김영찬
김형책 백승협 변효성 손상혁
김지원 류한영 이연직 장영태
해설자 장지현 안민호 이완우 최원근
박찬하 정우원 한우준
}}}}}}}}}}}} ||

파일:SPOTV 로고.svg파일:SPOTV 로고 화이트.svg 파일:NBA 로고.svg 중계진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555555,#AAAAAA
<colbgcolor=#000000> 캐스터 김명정 최두영 이승현 조주영 변효성
해설자 조현일 이민재 박세운 맹봉주
}}}}}}}}}}}} ||
파일:SPOTV 로고.svg
파일:변효성 캐스터.jpg
<colbgcolor=#000><colcolor=#fff> 이름 변효성
출생 1991년 9월 12일 ([age(1991-09-12)]세)
국적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학력 한국체육대학교 (스포츠청소년지도학/학사)[1]
소속 SPOTV
경력 STN SPORTS (2018~2019)
SPOTV (2020~)
종교 불교
SNS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1. 개요2. 활동3. 중계 평가4. 여담5.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의 방송인. 現 SPOTV의 아나운서.

2. 활동

STN SPORTS에서 축구 중계로 데뷔했다.

2019년 하반기에 스포티비 아카데미의 추천을 받고 SPOTV에 입사하게 된다. 입사 이후 주로 해외축구[EPL]NBA,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중계를 맡고 있으며 과거 KBL 프로농구에서도 중계를 맡았다.

농구의 경우 2021-2022 시즌부터 KBL 현장중계를 시작으로 2022-2023 시즌 NBA 오프튜브 스튜디오 중계를 하고 있다.

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에서 리그 오브 레전드 1일차 경기를 중계하였다.[3]

SPOTV가 KBL 주관방송사 시절이었던 2021-2022 시즌부터 2023-2024 시즌까지 3년간 중계를 진행했다.

이로 인해 응원했던 KBL 농구 팬들은 아쉬움을 드러냈다.

야구에서도 캐스터로서 활약을 하고 있다. 2021 시즌부터 MLB 오프튜브 스튜디오 중계를 하고 있다.

2024년 7월 KBO리그 현장 생방송을 하게 된다.

3. 중계 평가

기본적인 하이텐션으로 화려한 장면이 나올 때 샤우팅이 좋은 편이다.

KBL 캐스터로써의 평가는 상당히 좋은 편이다.[4]

다만 단점은 발음이 상당히 부정확하고 소리가 답답하다는 평가.

아직 KBO 캐스터로서는 데뷔한 지 얼마되지 않은 바람에 좋은 평은 아니다. 지켜봐야 할 듯.

4. 여담

5. 관련 문서



[1] 11학번, 1년 재수한 것으로 보인다.[EPL] 및 UCL[3] 1군 대회가 아닌 ASCI까지 언급하여 설명하는 등 철저한 준비력을 보여주었다.[4] KBL이 KBO만큼 인기 있는 스포츠가 아니라서 잘 부각이 안 돼서 그러지 은근 KBL 챔피언결정전 우승콜을 잘 만들어 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