벨처창고기 Belcher's lancelet | |
학명 | Branchiostoma belcheri Gray, 1847 |
<colbgcolor=#fc6> 분류 | |
계 | 동물계 Animalia |
문 | 척삭동물문 Chordata |
강 | 창고기강 Leptocardii |
과 | 창고기과 Branchiostomatidae |
속 | 창고기속 Branchiostoma |
종 | 벨처창고기 B. belcheri |
[clearfix]
1. 개요
창고기의 일종.2. 상세
일본 아리아케해 남부에 분포하는 창고기로 처음에 아마쿠사 제도에서 보고되었고 이후 사가현 남부 해안에서도 보고되었다. 척삭, 등쪽 신경삭, 인두, 협강, 극모, 꼬리, 등지느러미, 신경삭, 체절 근육 및 단순한 눈을 가지고 있어 척삭동물의 가장 기본적인 특징을 보인다. 중요한 기관이 발달하는 진정한 체강을 가지고 있다. 척삭의 외부에는 매끄러운 결합 조직 층이 있고 느슨하게 뭉쳐 있고 체액으로 채워진 공간이 있는 세포로 된 내부 핵을 덮고 있다. 바깥쪽 덮개는 척삭의 체액 압력 변화에 저항하여 유연성을 허용하고 동시에 수축을 견뎌낸다. 근육이 수축하는 동안 척삭은 신체의 단축을 견뎌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등쪽 신경삭은 척삭 뒤에 있다. 먹이를 먹기 위해 연골로 만들어진 또 다른 구조인 인두는 목 근처에 있다. 항문이 뒷면의 맨 아래에 위치하기 떄문에 꼬리는 소화관을 따라 몸에서 뻗어 있다. 등지느러미는 뒷면에 위치하고 연골로 단단하게 만들어졌다. 신경삭은 비슷한 영역에서 발견되며 중공관에서 시작된다. 신경삭 내부에는 빛에 민감한 작은 세포 덩어리인 눈세포가 있다. 근육은 몸의 측면을 따라 분리된 부분에서 찾을 수 있고 몸의 움직임과 유지 자세를 가능하게 한다. 헤엄을 칠 수 있는 능력이 있어 위쪽 방향으로 헤엄친다. 이는 전방 끝에서 시작하여 한 번에 한 근절씩 세로 근육을 따라 아래로 이동하는 수축을 통해 이루어진다. 이러한 수축은 신체의 좌우측에서 번갈아 가며 발생하며 좌우로 비틀어 신체를 앞으로 밀고 축을 중심으로 나선형으로 헤엄할 수 있게 해준다.다른 창고기속 동물들과 달리 벨처창고기는 둔각 끝이 있는 약간 둥근 등지느러미가 있고 80개 이상의 가느다란 전항문지느러미 방으로 구성되어 있고 좁은 꼬리지느러미와 등지느러미와 윗꼬리지느러미 사이, 태아지느러미와 아마부지느러미 사이에 둔각이 있다는 차이점이 있다.
체외수정을 통해 번식하는 난포성 유생이며 처음에 플랑크톤 형태의 영양 유생으로 발달한 후 나중에 저서성의 성체로 자란다. 매년 3~6개월 동안 진행되는 산란기에 번식하며 봄과 여름에 발생한다. 수컷과 암컷은 수층에 정자와 난자를 방출한다. 세포는 접합자-분열-배반포-배낭-신경관-부교세포-유체-탈바꿈-아성체-성체의 10가지의 뚜렷한 기능을 나타내도록 발달한다. 접합자에서 시작하여 탈바꿈으로 끝나는 기간은 플랑크톤 상태로 지내며 아성체와 성체일 떄는 저서성이며 기질에 묻혀 산다.
바다에서 서식하며 특히 모래 속에 꼬리를 파묻는다. 입을 사용하여 많은 양의 물을 빨아들여 틈새를 통해 물을 밀어내고 그 과정에서 작은 먹이 입자를 잡는다. 입 안의 공간은 '협강'이라고 불리며 입의 바깥쪽은 섬모로 둘러싸여 있다. 간맹장은 장과 함께 소화액을 분비하며 영양소 흡수를 돕는다. 수질 오염과 양식업 확장, 불법 어업, 모래 채굴, 퇴적물 운송, 해상 교통 증가로 생존에 위협을 받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