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8-14 20:03:18

베트남 전쟁/호주군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베트남 전쟁
베트남 전쟁
미군의 참전 호주군의 참전
한국군의 참전(논란) 인도차이나 전쟁
오해와 편견 사용 장비

1. 개요2. 참전 명분3. 터무니없이 높은 교환비4. 자주적 군사 운영5. 철수6. 사용장비7. 미디어에서

1. 개요

베트남 전쟁 당시 오스트레일리아뉴질랜드의 연합군. 즉, 앤잭군은 남베트남을 지원하기 위하여 1965년부터 약 8천 여명의 전투 병력을 파병보낸다.

2. 참전 명분

당시 호주 역시 도미노 이론을 철석같이 믿고 있었던 반공 국가였다. 이미 호주는 6.25 전쟁에도 참전했으며, 인도네시아의 수카르노가 중국과 연합해서 동남아시아와 오세아니아 전체를 적화하려고 한다고 보았다. 이 때문에 로버트 멘지스 내각은 이미 말레이시아, 싱가포르, 파푸아뉴기니를 사수하려는 영국의 인도네시아 전쟁에 많은 병력을 파견하였다. 이 과정에서 말레이시아와 싱가포르에만 집중하면서 베트남전 참전은 거절한 영국과 달리 호주는 1965년에 호주군을 베트남에 파병할 것을 결정하였고, 뉴질랜드의 키스 홀리오크 총리도 곧바로 이에 동의하여 8천 여명의 앤잭군이 베트남에 파병되게 된다. 뉴질랜드 같은 경우, 보병은 보내지 않았고 포병부대, 헬리콥터 파일럿만 소수 보냈다.

3. 터무니없이 높은 교환비

이들은 베트남 전쟁 당시, 남베트남 지원국군들 가운데 북베트남군베트콩을 상대로 가장 높은 교환비를 자랑했던 군대다. 평균 1:50. 호주군의 교환비가 이토록 엄청났던 이유는 당시 호주가 정예 중에서도 최정예, 가장 전투능력과 체력이 뛰어난 악바리 같은 군인들만 골라서 베트남에 파병했기 때문이다. 게다가 이고 부사관이고 장교고 60년대에 시퍼렇게 어린 청년들로만 뽑은 미국과는 달리 호주는 태평양 전쟁에서 일본군을 상대로 정글전을 펼친 경험이 있던 노련한 간부들을 선발해 최정예 병사들을 훈련시키기 위해 베트남에 파병하였다. 이러한 것들이 전부 시너지 효과를 일으켜 그런 엄청난 교환비를 낼 수 있었던 것이다.

1966년 롱탄 전투 당시, 호주군은 푸옥 투이 성의 롱탄이라는 지역에서 베트콩 부대에게 완전히 포위당한 상태였고 그 어떤 지원도 받을 수가 없는 상태였다. 베트콩들의 숫자는 호주군의 수 십배는 되었고 누가봐도 호주군이 처참하게 무너질 상황이였고 다들 그럴 것이라 예상했다. 하지만 모든 이들의 예상을 뒤엎고 호주군은 겨우 하루만에 245명 이상의 베트콩들을 전멸시켜서 위기를 극복했고 호주군 전사자는 겨우 18명에 불과했다.[1]물론 호주군은 미공군 지원과 APC 장갑부대 그리고 포병지원까지 포함하여 롱탄 전투에서 투입할 수 있는 것은 거의 다 투입시켰다.

다른 예로는 호주의 특수부대 SASR와 뉴질랜드의 NZSAS는 1966년에서 1971년에 이르기까지 1200여번의 정찰 임무를 수행해냈고 492회의 확인된 사살, 106회의 추정된 사살을 이뤄냈다. 그 과정에서 사상자는 33명, 그 중 전사자는 4명이었다. 그들은 월맹군이나 베트콩과 전투하면서 전사자가 단 1명도 없는 경우조차 수두룩했다.

4. 자주적 군사 운영

한국군과 마찬가지로 호주군도 미군에 의존하지 않고 자주적으로 주월사령부 운영과 군사 운용을 했다.[2] 오히려 호주군이 한국군보다도 더 자주적인 주월 군사운용을 했는데 한국군은 미군에게 M16A1을 받아서 썼고 주월 한국군사령부는 주월 미군사령부에 매우 간절히 M16A1의 지원을 원한 반면, 호주군은 베트남 철수 그 날까지 자국에서 FN FAL을 개량해서 만든 L1A1을 주력소총으로 고집했다. 심지어 L1A1는 반자동소총이였는데 이는 사실 AK-47을 주력으로 사용하고 있는 월맹군, 베트콩과 맞서 싸우기는 상당히 불리한 일이였다. 오죽하면 미군이 호주군을 걱정하여 M16A1을 지원해줄테니 M16A1으로 좀 싸우라고 했을 정도. 하지만 놀랍게도 호주군은 한사코 M16A1을 거부하고 자국의 L1A1 반자동소총을 고집하면서 미군이나 한국군보다도 더 우월한 교환비를 내고 다녔다.[3]

그리고 남베트남군, 미군과 함께 유일하게 본격적으로 공군을 군사 작전에 투입한 군대다.[4] 대표적으로 호주군이 대량 운용한 기체가 바로 잉글리시 일렉트릭 캔버라 폭격기. 그리고 UH-1H을 개조하여 'Bushranger' 이라는 공격, 수송 겸용 헬기를 운용하기도 했다.

그리고 미군과 함께 특수부대를 베트남에 파병보낸 군대 가운데 하나이기도 하다.[5] 오히려 미군 특수부대보다도 더 큰 활약을 펼쳤다. 호주군 SASR이나 뉴질랜드군 SAS은 1 : 100 정도의 교환비로써 북베트남에게 큰 피해를 안겨주며 임무를 완료하였다.

5. 철수

그러다가 데탕트 분위기가 불어오면서 아시아에는 평화가 정착할 것으로 보였고 미국과 북베트남의 협상도 진행되었다. 이에 맥마흔 내각은 베트남에 주둔한 호주군의 수를 감축하기 시작하여 공군과 해군은 모두 철수시켰고 남베트남을 위한 군사고문단과 육군만을 남겨두었다.

그리고 1972년 12월, 고프 휘틀럼의 노동당 내각이 집권하게 되면서 휘틀럼은 징병제를 폐지해버리고 베트남에 주둔한 호주군을 대사관 경비 병력만 남기고 모조리 철수시킴으로 퇴각시킨 후, 1973년 1월, 호주총독의 명의로 정전을 선포하였다.

6. 사용장비

베트남전기의 호주·뉴질랜드 연합군 보병장비
파일:호주 국기.svg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px -11px;"
베트남 전쟁
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 군단(ANZAC)보병장비
개인화기 소총 볼트액션 소총 <colbgcolor=#fefefe,#393b42>SMLE No. 1 Mk. III* (HT), L81A1
반자동소총 L1A1 SLR, M21 SWS
자동소총 M14, M16A1, CAR-15, XM177
기관단총 Owen Mk.I, L2A1 SMG, F1
권총 L9A1, M1911A1
지원화기 기관총 L2A1 LMG, M60
유탄발사기 M79, XM148, M203
대전차화기 L4, L6, M20, M72
화염방사기 M2A7-7
박격포 L16
폭발물 수류탄 M26
화학탄 M7A2, M18, M25A2
지뢰 M18A1
냉병기 총검 M7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운용장비 |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 운용장비 | 파일:gun_icon__.png 냉전기 보병장비 }}}
}}}}}}



7. 미디어에서

호주 내에서는 포크 밴드 Redgum의 I was only 19라는 노래가 매우 유명하다. PTSD를 묘사한 상당히 우울한 내용의 곡. 번역가사

그리고 1966년에 있던 호주군의 대표적인 전투인 롱탄 전투를 다룬 영화가 2019년에 개봉을 했다! 영화 이름은 DANGER CLOSE. 트레일러는여기에 다만 국내에서는 개봉하지 않았다.

라이징 스톰 2: 베트남에서도 주요 팩션 중 하나로 등장한다.
[1] 물론 이 전과 통계는 호주군 측의 주장이며, 베트남 측의 주장으로는 50명 전사, 100명 부상이다. 베트남 전쟁 특성상 바디카운트가 매우 정확하지 못하므로 실제 손실은 둘 사이의 어딘가 쯤일 것이다.[2] 단, 뉴질랜드군은 주월호주군사령부 측에 소속되어 있었다.[3] 다만 SASRNZSAS를 위시한 특수부대 및 기타 일부 부대에서 M16A1이나 이의 15인치 단축형 바리에이션인 M605를 운용하기도 했다고 한다.[4] 한국군, 태국군, 필리핀군 등도 공군을 베트남에 파병 했지만 기지방어 정도의 임무만 수행했지 직접적으로 전투에 참여하지 않았다.[5] 당장 육군특수전사령부 문서의 역사 항목을 들어가 보면 베트남 지역에서 특수작전을 벌이는 제 1공수특전단(일명 제 1공수)의 사진들을 볼 수 있다. 우리가 그렇게 특수작전이 와닿지 않는 이유는 한국군이 주로 지역 평정 및 안정화 임무들을 수행했고, 국군의 특수부대들도 그에 맞춰 각 사단에 배속되어 특수정찰 등의 특수임무로 현지 안정화를 수행하는 각 사단들을 조력하는 임무들을 담당했기 때문인 듯 하다. 만약에 국군이 미군이나 호주군처럼 월경 임무에 더 집중했으면 이들에 준하는 교환비 성적을 낼 수도 있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