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3-12-10 10:21:02

베테-파인만 방정식

핵물리학
Nuclear Physics
{{{#!wiki style="margin:0 -10px -5px;min-height:2em"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bgcolor=#01012e><colcolor=#fff> 기반 양자역학(양자장론) · 상대성 이론(질량-에너지 동등성) · 통계역학 · 통계학 · 미분방정식
원자핵 구조 강입자(양성자 · 중성자 · 쿼크) · 전자 · 표준모형
모형 및 정식화 보어의 원자모형 · 파인만 다이어그램(전파인자) · 핵반응 수율 공식 · 수소 원자 모형
현상 안정성의 섬 · 방사선 · 핵붕괴(알파 붕괴 · 베타 붕괴 · 감마 붕괴 · 반감기) · 오비탈 · 쌓음 원리 · 훈트 규칙 · 섭동(스핀 - 궤도 결합 · 제이만 효과 · 슈타르크 효과) · 동위원소 · 결합 에너지 · 핵분열 · 핵융합 · 핵력 · 핵합성(양성자-양성자 연쇄 반응)
응용 원자력공학(원자력 공학 둘러보기 · 원자력 발전) · 핵무기(핵개발) · 방사선의학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ccc , #ececec 20%, #ececec 80%, #ccc)"
{{{#!wiki style="margin:-12px"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ececec><tablebgcolor=#ececec> 파일:파인만 흑백 사진1.png리처드 파인만
관련 문서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bgcolor=#000><colcolor=#fff> 연구 분야 및 업적 <colcolor=#000,#fff>양자역학(헬만-파인만 정리)
양자전기역학(경로적분, 파인만 다이어그램, 파인만 매개변수화)
맨해튼 계획(베테-파인만 방정식)
양자정보과학(양자컴퓨터의 공리)
강한 상호작용(쿼크)
행적 및 활동 행적 · 활동
소속 로스 앨러모스 국립 연구소 · 코넬 대학교 · 캘리포니아 공과대학교
관련 학자 폴 디랙 · 한스 베테 · 존 폰 노이만 · 줄리어스 로버트 오펜하이머 · 엔리코 페르미 · 도모나가 신이치로 · 줄리언 슈윙거 · 프리먼 다이슨 · 머리 겔만 · 스티븐 울프럼 · 피터 쇼어
저서 파인만의 물리학 강의
기타 파인만 알고리즘 · 파인만 포인트 · 확률컴퓨터 · 확률미적분학 · 경로적분/응용 · 나노머신 · STS-51-L · 트리니티 실험 · 파인마늄
}}}}}}}}} ||


1. 개요2. 설명3. 참고

1. 개요

Bethe-Feynman efficiency formula

1942년에 개발하기 시작하여 1943년 도출한 방정식으로, 맨해튼 계획 당시 이론팀에서 근무하던 한스 베테리처드 파인만이 고안한 방정식이다.

2. 설명

핵반응의 수율을 계산하기 위한 방정식으로, 특히 짧은 시간내 큰 에너지를 발산하기 위한 핵무기에 쓰인다. 이 방정식을 정립하게 되면 핵반응 효율이나 특정 효율에 필요한 방사성 원소의 양이나, 에너지같은 물리량을 예측 할수 있다. 그러므로, 핵개발이 매우 빠르게 진척되기 때문에, 자세한 사항은 미군 군사기밀로 취급된다. 소련도 안드레이 사하로프 등 학자들을 동원시켜서 독자적으로 이 방정식을 개발한다.

현재 대중에게 공개되어 있는 방정식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math(a \approx (bc)^2 f)]

여기서
* [math(a)] = 그램 당 내부에너지
* [math(b)] = 성장률
* [math(c)] = 구 반지름

그러므로, 위를 고려한 효율함수 [math(f_{eff})]는 아래와 같다.

[math(f_{eff}=\frac{1}{(\gamma - 1)E_2}\times \alpha_{max}^2 \times r_{c}^2 \times \frac{\delta \times \left(1 + \frac{3\delta}{2}\right)^2}{(1 + \delta)})]


* [math(\gamma)] = 광자 구름의 열역학적 지수
* [math(\alpha)] = [math(\dfrac{v_{neutron}}{\lambda_{tot}})][1]
* [math(\delta)] = [math(\frac{r-r_c}{r_c})][2]

베테-파인만 방정식에는 규모에 따른 값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하여 여러 비례계수 및 상수, 기타 함수들이 포함되는데, 대략적인 내용만 적으면 위 변수대로 할 때 이런 값이 나오게 된다. 하지만 [math(a)]에서 도출된 값은 '근삿값'이며 정확한 값이 아닌 거의 근접한 값이라는 것이기에 100% 신뢰 할 수 있는 방정식은 아니다. 그 이유는 단위 그램 당 에너지 방출 과정에서 반경 내에 존재하는 물질들이 연소 되는 과정에서 유실 혹은 유입되는 에너지가 분명 존재하기에 근삿값을 쓴 것이다.

이 방정식을 정립한 파인만은, 히로시마, 나가사키 원폭 투하 당시의 폭발력을 정확히 계산하는데 성공했다며 기뻐했다고 한다

3. 참고

자세한 내용이 궁금하면 아래링크 참고.

[1] [math(\lambda_{tot})]는 전체 핵반응의 평균 자유 경로.[2] 임계 반응을 일으킬때 초과되는 질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