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뮈엘 베케트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동명의 군함에 대한 내용은 사뮈엘 베케트급 원양초계함 문서 참고하십시오. {{{#cd9f51 {{{#!wiki style="padding: 5px 0 0; margin:-5px -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582d2d, #663334, #663334, #582d2d)"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25%; min-height:2em" {{{#!folding [ 20세기 ] {{{#!wiki style="margin:-5px -1px -5px; word-break:normal" {{{#555,#aaa | <rowcolor=#cd9f51> 1901 | 1902 | 1903 | 1904 |
쉴리 프뤼돔 | 테오도르 몸젠 | 비에른스티에르네 비외른손 | 프레데리크 미스트랄 | |
<rowcolor=#cd9f51> 1904 | 1905 | 1906 | 1907 | |
호세 에체가라이 | 헨리크 시엔키에비치 | 조수에 카르두치 | 러디어드 키플링 | |
<rowcolor=#cd9f51> 1908 | 1909 | 1910 | 1911 | |
루돌프 오이켄 | 셀마 라겔뢰프 | 파울 폰 하이제 | 모리스 마테를링크 | |
<rowcolor=#cd9f51> 1912 | 1913 | 1915 | 1916 | |
게르하르트 하웁트만 | 라빈드라나트 타고르 | 로맹 롤랑 | 베르네르 폰 헤이덴스탐 | |
<rowcolor=#cd9f51> 1917 | 1919 | 1920 | ||
카를 기엘레루프 | 헨리크 폰토피단 | 카를 슈피텔러 | 크누트 함순 | |
<rowcolor=#cd9f51> 1921 | 1922 | 1923 | 1924 | |
아나톨 프랑스 | 하신토 베나벤테 | 윌리엄 버틀러 예이츠 | 브와디스와프 레이몬트 | |
<rowcolor=#cd9f51> 1925 | 1926 | 1927 | 1928 | |
조지 버나드 쇼 | 그라치아 델레다 | 앙리 베르그송 | 시그리드 운세트 | |
<rowcolor=#cd9f51> 1929 | 1930 | 1931 | 1932 | |
토마스 만 | 싱클레어 루이스 | 에릭 악셀 카를펠트 | 존 골즈워디 | |
<rowcolor=#cd9f51> 1933 | 1934 | 1936 | 1937 | |
이반 부닌 | 루이지 피란델로 | 유진 오닐 | 로제 마르탱 뒤 가르 | |
<rowcolor=#cd9f51> 1938 | 1939 | 1944 | 1945 | |
펄 벅 | 프란스 에밀 실란패 | 요하네스 빌헬름 옌센 | 가브리엘라 미스트랄 | |
<rowcolor=#cd9f51> 1946 | 1947 | 1948 | 1949 | |
헤르만 헤세 | 앙드레 지드 | 토머스 스턴스 엘리엇 | 윌리엄 포크너 | |
<rowcolor=#cd9f51> 1950 | 1951 | 1952 | 1953 | |
버트런드 러셀 | 페르 라게르크비스트 | 프랑수아 모리아크 | 윈스턴 처칠 | |
<rowcolor=#cd9f51> 1954 | 1955 | 1956 | 1957 | |
어니스트 헤밍웨이 | 할도르 락스네스 | 후안 라몬 히메네스 | 알베르 카뮈 | |
<rowcolor=#cd9f51> 1958 | 1959 | 1960 | 1961 | |
보리스 파스테르나크 | 살바토레 콰시모토 | 생존 페르스 | 이보 안드리치 | |
<rowcolor=#cd9f51> 1962 | 1963 | 1964 | 1965 | |
존 스타인벡 | 요르기우스 세페리스 | | 미하일 숄로호프 | |
<rowcolor=#cd9f51> 1966 | 1967 | 1968 | ||
슈무엘 요세프 아그논 | 넬리 작스 | 미겔 앙헬 아스투리아스 | 가와바타 야스나리 | |
<rowcolor=#cd9f51> 1969 | 1970 | 1971 | 1972 | |
사뮈엘 베케트 | 알렉산드르 솔제니친 | 파블로 네루다 | 하인리히 뵐 | |
<rowcolor=#cd9f51> 1973 | 1974 | 1975 | ||
패트릭 화이트 | 에위빈드 욘손 | 하뤼 마르틴손 | 에우제니오 몬탈레 | |
<rowcolor=#cd9f51> 1976 | 1977 | 1978 | 1979 | |
솔 벨로 | 비센테 알레익산드레 | 아이작 바셰비스 싱어 | 오디세우스 엘리티스 | |
<rowcolor=#cd9f51> 1980 | 1981 | 1982 | 1983 | |
체스와프 미워시 | 엘리아스 카네티 | 가브리엘 가르시아 마르케스 | 윌리엄 골딩 | |
<rowcolor=#cd9f51> 1984 | 1985 | 1986 | 1987 | |
야로슬라프 사이페르트 | 클로드 시몽 | 월레 소잉카 | 조지프 브로드스키 | |
<rowcolor=#cd9f51> 1988 | 1989 | 1990 | 1991 | |
나기브 마푸즈 | 카밀로 호세 셀라 | 옥타비오 파스 | 나딘 고디머 | |
<rowcolor=#cd9f51> 1992 | 1993 | 1994 | 1995 | |
데릭 월컷 | 토니 모리슨 | 오에 겐자부로 | 셰이머스 히니 | |
<rowcolor=#cd9f51> 1996 | 1997 | 1998 | 1999 | |
비스와바 심보르스카 | 다리오 포 | 주제 사라마구 | 귄터 그라스 | |
<rowcolor=#cd9f51> 2000 | ||||
가오싱젠 | ||||
}}}}}}}}}
- [ 21세기 ]
- ##
||<tablebgcolor=#663334><rowcolor=#cd9f51> 2001 || 2002 || 2003 || 2004 ||
}}}}}} ||
물리학 | 화학 | 생리학·의학 | 평화 | 경제학 |
<colbgcolor=#000><colcolor=#fff> 사뮈엘 베케트 Samuel Beckett | |
1969년 노벨문학상 수상자 | |
본명 | 새뮤얼 바클리 베킷 Samuel Barclay Beckett |
출생 | 1906년 4월 13일 |
그레이트브리튼 아일랜드 연합왕국 더블린 (現 아일랜드 더블린) | |
사망 | 1989년 12월 22일 (향년 83세) |
프랑스 파리 | |
국적 | [[아일랜드| ]][[틀:국기| ]][[틀:국기| ]][1] |
직업 | 작가 |
분야 | 희곡, 소설, 시 |
학력 | 트리니티 칼리지 더블린 (현대 문학, 로망스어 / 학사) (1923년 – 1927년) |
종교 | 무종교(불가지론) (추측)[2] |
서명 |
[clearfix]
1. 개요
20세기 부조리극을 대표하는 극작가이자 실험 문학의 대표 소설가, 그리고 시인이다.본명은 새뮤얼 바클리 베킷(Samuel Barclay Beckett)으로 사뮈엘 베케트라는 이름은 본명을 프랑스어로 읽은 것이다. 아일랜드에서 태어났지만 주로 프랑스에서 활동했으며, 근현대 문학의 대표적인 거장 중 하나로 평가받고 있다.
(사이)/(pause) 를 처음 사용한 극작가이기도 하다.
2. 생애
1906년에 아일랜드의 더블린[3]에서 태어났고, 트리니티 칼리지 더블린에서 프랑스 문학과 이탈리아 문학을 공부한 후 프랑스로 가서 파리 고등사범학교를 졸업했다.졸업한 직후인 1920년대 후반, 그는 모교인 파리 고등사범학교에서 영어 강사로 취직해 활동했다. 그때, 그는 당시 파리에 머물고 있던 제임스 조이스의 영향을 받아 조이스의 <피네간의 경야>에 관한 비평문을 첫 공식적인 글로 발표했고, 1930년에는 자신의 첫 시집 <호로스코프>를, 이듬해 1931년에는 비평집 <프루스트>를 펴냈다. 이후 그는 아일랜드에 귀국하고나서 자신이 다녔던 트리니티 칼리지 더블린에서 프랑스어 강사로 활동하지만 이내 그만두었다. 이 시기에 그는 자신의 첫 장편소설 <그저 그런 여인들에 대한 꿈>[4]을 쓰고, 1934년 첫 단편소설집 <발길질보다 따끔함>을, 1935년 시집 <에코의 뼈들 그리고 다른 침전물들>을, 1938년 장편소설 <머피>를 출간하며 작가로서 발판을 다졌다.
프랑스로 옮겨 정착한 것은 1937년의 일로 그는 제2차 세계 대전 중 아일랜드인로서는 드물게 프랑스 레지스탕스로서 전쟁을 치르고[5], 1951년부터 1953년까지 소설 3부작인 <몰로이>, <말론 죽다>, <이름 붙일 수 없는 자>를 발표해서 화제를 모았다. 그 사이 1952년에는 그 유명한 <고도를 기다리며>를 발표해 문학계에서 큰 명성을 얻게 된다.
1961년에는 구두점을 전혀 넣지 않은 산문 <어떤 식으로 그것이>를 발표했고, 말년에는 어둠 속에서 입술만이 강조되어 보이는 희곡 <내가 아니다>를 집필했으며, 1969년에 노벨 문학상을 수상했다. 그 후 아일랜드로 돌아가지 않고 계속 프랑스에서 살다가 1989년에 파리에서 생을 마감했다.
3. 대표 작품
3.1. 희곡
- 고도를 기다리며(En attendant Godot) (1952)
- 승부의 종말(Fin de Partie / Endgame)[6] (1957)
- 오, 행복한 날들(Happy Days) (1963)
3.2. 소설
- 발길질보다 따끔함(More Pricks Than Kicks) (1934)
- 머피(Murphy) (1938)
- 몰로이(Molloy) (1951)
- 말론 죽다(Malone meurt) (1951)
- 이름 붙일 수 없는 자(L'innommable) (1953)
- 그게 어떤지(Comment c'est) (1964)
- 그저 그런 여인들에 대한 꿈 (Dream of Fair to Middling Women) (1992)
3.3. 시집
- 호로스코프(Whoroscope) (1930)
- 에코의 뼈들 그리고 다른 침전물들(Echo's Bones and other Precipitates) (1935)
- 시들(Poèmes) (1968)
3.4. 비평
- 프루스트(Proust) (1930)
- 세계와 바지(Le monde et le pantalon) (1989)
4. 여담
- 프랑스에서 살 때 어린 앙드레 더 자이언트를 통학길까지 태워줬다는 이야기가 있다. 다만 증언들을 확인해보면 앙드레만 태워줬던 건 아니고, 평소에도 통학하는 마을 아이들을 태워줬다고. 출처.
- 고도를 기다리며 등 작품 여럿을 모국어 대신 후천적 언어였던 프랑스어로 집필했다. 모국어로 글을 쓰면 본의 아니게 미사여구를 사용하여 맥락에 모호성이 생긴다고 여겼기 때문이다.
- 말년에는 독일의 지원을 업고 텔레비전 예술희곡들을 다수 시도했다. 이에 대해 질 들뢰즈가 '소진된 인간'이라는 제목으로 논평한 것이 또 유명하다. 단순히 '피로한' 인간이라는, 에너지가 없는 인간이 아니라 더 이상 창조해낼 가능성이 사라진 '소진된' 인간을 다루기 위해 그가 언어에 대해 그 기초라고 주장한 랑그의 개념들이 다각화되어 나타난다고 주장한 독특한 철학적 논평으로 잘 알려져 있다.
- "도전 했는가? 실패했는가? 괜찮다. 다시 시도하라. 다시 실패하라. 더 나은 실패를 하라." 라는 명언을 남긴 사람이기도 한다
- 1961년 9살 연상의 여성과 결혼했으며 결혼 당시 아내가 60대였기에 자녀는 없었다. 아내는 베케트가 죽기 몇 개월 전 향년 89세로 먼저 사망했다.
- 노년에 들어 멋지게 주름살이 든 것으로 유명하다.
[1] 태어날 당시에는 영국의 일부였고 성장기 이후엔 프랑스에서 쭉 살았으므로 영국, 프랑스 국적까지 해서 삼중국적자로 알려져 있으나 노벨상 수상 당시에는 아일랜드 단독 국적으로 수상했다.[2] C.J. Ackerley, "Samuel Beckett and the Bible: A Guide", euppublishing.com[3] 당시에는 영국의 일부였다.[4] 출판은 1992년에 이루어졌다.[5] 이에 대해 본인은 보이스카우트나 다름없었다고 일축했다.[6] 영제 <Endgame>도 베케트 본인이 붙인 제목이다. 프랑스어로 워낙 다양한 뜻을 가지고 있는 partie 탓에 제목의 의미에 대한 해석이 광범위해지자, 체스 용어인 엔드 게임(경기 종반)을 통해 의미를 좁혀 보려 한 듯하다. 일반적으로 국내에서는 <승부의 종말>, <승부의 끝>, <엔드게임> 정도로 번역 출간, 공연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