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사전적 의미
반정부군(한자: 反政府軍, 영어: Antigovernmental Armed Forces)은 정부에 대항하는 군사조직이다. 비슷한 의미로 반군, 반란군 등이 있다. 이 경우 자국의 정부에 맞서서 싸우는 것이므로, 침략당한 나라의 민중이 결성하는 독립군과는 성격이 다르다.2. 역사상 실존하는 반정부군의 사례
순수한 반정부군이 아닌 특정 세력의 영향을 강하게 받거나 지시를 받아 움직인 경우 ●표시.- 적백내전 시기의 백군
- 제2차 세계대전 시기 이탈리아 사회 공화국의 레시스텐자
- 국공내전 시기의 인민해방군[1]
- 6.25 전쟁의 조선인민유격대●
- 베트남 전쟁의 베트콩●[2]
- 알제리 전쟁의 비밀군사조직
- 방글라데시 독립 전쟁의 묵티바히니 해방군
- 스리랑카 내전의 타밀엘람해방호랑이
- 시에라리온 내전의 혁명연합전선
- 르완다 내전의 르완다 애국전선
- 제1차 이라크 내전의 낙쉬반디 기사단군 및 이라크 이슬람군
- 제2차 이라크 내전의 이라크 레반트 이슬람 국가
- 아프가니스탄 이슬람 공화국의 탈레반
- 아프가니스탄의 아프가니스탄 국민 저항 전선
- 이란, 파키스탄의 발루치스탄 해방군
- 제1차 리비아 내전의 자유 리비아군 등 리비아 시민군
- 시리아 내전의 자유 시리아군, 알누스라 전선, 하야트 타흐리르 알샴
- 시리아의 구 시리아 아랍군 잔존세력
- 미얀마의 국민통합정부(미얀마 시민방위군), MNDAA, 아라칸군, 카친 독립군, 카렌 민족해방군
- 멕시코의 사파티스타
- 콜롬비아의 콜롬비아 혁명군(FARC), 콜롬비아 민족해방군(ELN), 콜롬비아 연합자위군, 클란 델 골포
- 멕시코 마약 카르텔
3. 창작물에 등장하는 반정부군의 사례
[1] 군벌시대라면 서로가 서로를 지도자로 인정하지 않으니까 상관없지만 분명 중국공산당은 장제스를 국가 지도자로 인정하고 있었다.[2] 다만 베트콩은 순수한 자생조직이 아니라 북베트남의 지시를 받아 움직였기 때문에 논란의 여지가 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