핑크레이디 클래식의 등장인물에 대한 내용은 반 메헤렌(핑크레이디 클래식) 문서 참고하십시오.
한 판 메이헤런
Han van Meegeren
1889년 10월 10일 ~ 1947년 12월 30일
1. 개요
네덜란드의 유명한 위작 작가. 얀 페르메이르(=얀 베르메르)[1]의 위작을 가장 많이 그린 인물로 본명은 헨리퀴스 안토니위스 판메이헤런(Henricus Antonius van Meegeren)으로 이름 한은 헨리퀴스의 약칭이다. 네덜란드어 외래어 표기법이 제정되면서 공식적인 자료에는 판메이헤런[2]으로 표기하고 있지만 아직까지 사람들 사이에서는 반 메헤렌이란 이름으로 더 알려져 있다. 미술품 위작은 부업으로, 본업은 술을 파는 유흥업소 사장이었다.2008년 BBC에 의해 인류 역사상 가장 위대한 사기꾼 1위로 선정되었다.
2. 개인사
어릴 때부터 미술 쪽으로 진로를 개척하고 싶어했으나, 아버지의 강력한 반대 & 건축학 공부 강요 크리가 터졌기에 울며 겨자 먹기로 해당 분야로 공부할 수밖에 없었고, 대학 역시 델프트 공과대학교의 건축공학 쪽으로 진학할 수밖에 없었다. 하지만 대학 진학하기 이전에 다녔던 학교에서 화가였던 바르튀스 코르텔링(Bartus Korteling)을 멘토삼아 종종 의견을 나누면서 미술가의 꿈을 꾸고 있었고, 이 시기에 얀 페르메이르의 작품을 소개받아 큰 감명을 받았다. 어쨌든 본인의 의지와 관계없이 진학한 것이었기에 판메이헤런은 곧 건축학 공부를 포기하고 본격적으로 미술을 공부하기 시작하였다.판메이헤런이 화가로 활동하던 시절의 미술계는 인상주의 사조가 주류였는데 공교롭게도 판메이헤런은 고전화가들의 화풍을 추구하고 있었다. 그 영향으로 비평가들은 주류에서 벗어난 작품에 그닥 호의적인 평가를 주지 않았다. 심지어는 고전화풍이나 흉내낼 줄 아는 구닥다리 화가라는 식으로 혹평을 가하는 비평가들도 있었는데 결국 계속되는 혹평에 시달린 판메이헤런은 결국 비평가들을 엿먹이기로 작정했다. 당시 고전화풍이 찬밥신세라고 해도 만약 네덜란드 황금기의 유명화가가 그린 작품이라면 비평가들이 찬사를 늘어놓았는데, 이런 점을 노려 얀 페르메이르의 위작을 만들어 비평가들에게 보여주어 온갖 찬사를 하게 한 다음 "사실 내가 그린 주작이었다. 네놈들은 비평가라면서 안목이 그것밖에 안 되냐?"이란 말을 하여 공개적인 망신을 주려 하였다.[3]
이에 근 4년간 페르메이르의 화풍을 완벽하게 흉내낼 수 있도록 연습하였다. 17세기에 제작된 캔버스를 구해 당시 스케치 방식을 그대로 모방하였으며, 페르메이르가 사용했다는 붓과 동일한 붓을 구하여 그림을 그렸다. 그리고 이 그림이 오래된 그림처럼 보일 수 있도록 페놀과 포름알데히드로 처리를 하였으며, 베이클라이트를 이용해 딱딱하게 굳힌 그림을 100도~120도 사이의 높은 온도에 구워낸 후 드럼통 위에 놓고 굴려서 의도적으로 균열이 생기도록 하였다. 그리고 균열에는 검은 잉크를 흘려 채워넣는 형태로 17세기에 그린 그림처럼 보이게 만드는 방법을 고안하였다. 기법적인 부분에서 기존의 페르메이르 작품과는 차이가 있었지만 도리어 그 부분이 전문가들의 눈을 속였다. 그 당시 학계에서는 페르메이르에게는 밝혀지지 않은 숨은 작품들이 존재한다고 생각하고 있었는데, 메이헤런의 그림에서 나타난 기법상의 차이가 학계에서 추측했던 숨은 작품과 일치했던 것이다. 그래서 판메이헤런의 위작은 페르메이르 작품들 사이의 미싱 링크로 여겨졌다.
그렇게 1936년 처음 완성한 작품이 『엠마우스에서의 만찬(The Supper at Emmaus)』이다.[4] 그리고 판메이헤런은 얀 페르메이르의 전문가로 이름높았던 브레디위스 박사를 찾아갔다. 세심한 기법이 들어간 위작이란 사실을 알아차리지 못한 브레디위스는 이 작품이 페르메이르의 작품이라 감정하였고 여러 비평가들은 명작에 찬사를 늘어놓으면서 하악하악거렸으며, 예술 협회에서는 거액의 돈을 지불하고 이 그림을 사들였다. 더불어 어딘가에 묻혀 빛을 보지못할 뻔 했던 명작을 발견해낸 판메이헤런의 명성 역시 올라갔다. 비평가들을 골탕먹이려고 시작했던 작업이 부와 명성을 가져다주자 여기에 맛들인 판메이헤런은 이제 돈을 위해서 위작을 그리기 시작했다. 이후, 판메이헤런은 1936년~1946년까지 페르메이르, 프란스 할스, 피터르 더호흐의 화풍을 흉내낸 위작 8편을 제작하여 공개하였으며, 그 때마다 사람들은 거액의 돈을 지불하고 판메이헤런의 위작을 사들였다. 게다가 제2차 세계 대전으로 네덜란드가 나치 독일에 점령당하여 혼란스러운 상태였고, 페르메이르의 경우 작품이 워낙 적다보니 이후로도 다른 사람의 작품을 오인하여 페르메이르의 작품으로 인정된 사례도 종종 있었기 때문에 새로운 페르메이르의 작품이 나온다고 해도 크게 의심을 하는 사람이 없었다.
3. 한 판 크게 벌이다
2차 대전이 끝날 무렵 연합군은 헤르만 괴링이 약탈한 것으로 추정되는 예술작품 중에서 페르메이르의 그림으로 추정되는 작품(『간음한 여인과 예수(Jesus with the Adultress)』)을 발견하였고, 그것이 판메이헤런이 판매한 작품임이 밝혀졌다. 당시 나치 청산에 열을 올리고 있던 네덜란드 사람들 입장에서는 판메이헤런은 국보급 그림을 나치 독일에 팔아넘긴 전범 협력자였으며 반역죄로 법정에 세워 처벌하려 하였는데 이 경우 당시 네덜란드 국법에 의거해 사형을 피할 수 없었다. 하지만 판메이헤런의 입에서 나온 한 마디로 인해 재판은 전혀 다른 양상으로 전개되는데…
…결국 경찰 관계자들의 감시하에 6주 동안 위작을 그리는 퍼포먼스를 보여주었고, 처음에는 저 사기꾼이 책임을 면피하려고 거짓말한다고 생각했던 사람들도 서서히 정교한 위조작품이 나오는 걸 보고 혀를 내둘렀다. 이 문서 맨 위의 사진이 바로 이 마지막 위작인 《성전에서 설교하는 어린 예수》(Young Christ in the Temple)를 그리는 장면. 이를 계기로 판메이헤런은 전세계적인 관심을 받게 되었으며, 네덜란드에서도 국보급 보물을 팔아넘긴 매국노에서 더러운 나치놈들을 골탕먹인 위대한 사기꾼으로 평가가 수정되었다. 이렇게 판메이헤런이 위작을 그리는 기술이 있음을 보여주었으니 나머지는 판메이헤런이 판 작품이 위작이란 사실을 증명하면 결백이 입증되는 것이었다.
당대 미술전문가들과 비평가들은 주작질에 넘어갔다는 사실에 X팔려서 심사는 피하려 하였으나, 진위를 밝히기 위해 벨기에 왕립박물관 연구소장 폴 코어만스 박사를 필두로한 코어만스 위원회가 조직되었고 어쩔 수 없이 심사를 하게 되었다. 그리고 17세기에는 사용되지 않았던 방법이 확인되어 판메이헤런의 작품은 모두 정교한 위작으로 판명나게 되었다. 좀 늦긴 했지만 결국 판메이헤런의 원래 의도대로 비평가들을 엿먹이는데 성공한 것. 결국 판메이헤런은 미술품 위조 혐의에 대해서만 유죄를 인정받게 되었고 1년형을 선고받았지만 건강 문제로 인해 수감되지는 않았고, 1947년 심장마비로 사망하였다.
이 양반이 죽고 난 이후로도 계속 논란이 불거져 얀 페르메이르 및 동시기 화가들의 작품과 판메이헤런의 위작에 대한 조사가 여러 차례 있었지만 아직까지는 1946년의 결론을 뒤엎는 증거를 발견하지 못했다. 방사능을 이용한 조사에서도 시대적으로 위작임이 인정됐다.
우스운 건 괴링이 미술품을 사면서 지불한 돈조차 위조지폐였다는 것이다.[5]
오랫동안 술과 담배, 모르핀에 중독되어 있었던 판메이헤런은 괴링에게 그림을 넘기던 시점에서 이미 건강이 대단히 좋지 않았으며, 약물 중독으로 골골대며 그려낸 그림의 품질도 그리 좋지 못했기 때문에 얀 페르메이르의 진품 그림과 비교를 한 번만 했어도 괴링은 속지 않았을 것이라는 견해 또한 있다. 그러나 당시 대부분의 미술관들은 전쟁과 나치의 미술품 약탈 때문에 얀 페르메이르의 작품을 비롯한 주요 작품들은 비밀 수장고에 피신시켜놓은 상태라 얀 페르메이르의 그림 진품을 구하는 것은 불가능에 가까웠으며, 설령 어딘가에서 얀 페르메이르의 그림을 구해 비교를 했더라도 그 그림 또한 판메이헤런의 위작이었을 가능성도 있었기 때문에 진실은 아무도 모른다. 덧붙여 괴링은 죽기 전 누군가에게 자신의 얀 페르메이르 그림이 판메이헤런이 그린 위작이라는 사실을 알게 되었는데, 듣고 나서 세상의 쓴맛을 처음 맛본 아이 같은 절망에 빠진 표정을 지었다고 한다.
더불어 위작 작가라서 위작만 그린 사람으로 오해하는 경우도 있지만, 남의 작품을 사칭하지 않은 오리지널 작품도 남아있다. 게다가 워낙 유명세를 탔던 인물인 까닭에 판메이헤런의 진품도 제법 높은 가격에 거래된다고 한다. 위작임이 이미 판명된 작품조차 고가에 팔린다고. 워낙에 실험정신이 뛰어났던 사람이라 수천점에 달하는 그림을 아주 다양한 기법으로 그려 남겼으며, 장르 또한 고전적인 풍경화부터 배경과 사물이 뒤섞인 초현실주의적 그림까지 두루 섭렵했다. 초상화가 특히 높은 평가를 받는다고. 아이러니하게도 판메이헤런이 유명해지고 그의 그림들이 높은 가격에 거래되자 판메이헤런 본인의 아들인 자크 판메이헤런을 비롯해 판메이헤런의 그림을 위조하는, 즉 위작의 위작을 그리는 위작 작가들도 덩달아 늘어났다고 한다.
4. 신비한 TV 서프라이즈
wony의 웹툰
신비한 TV 서프라이즈에서도 소개되었는데, 나무위키에 적혀있는 것과는 경위가 전혀 다르다. 판메이헤런이 처음부터 일부러 위작임을 밝힌 것으로 나오고, 그림을 그린 방법도 공개되었다.
그런데 서프라이즈는 2002년 10월 26일에도 한 판메이헤런을 소개한 적이 있었다. 물론 이때에도 평론가들에게 혹평을 받아 화가로써의 생명이 사실상 끝나게 되었고 이로 인해 브레디위스에게 복수할 목적으로 위작을 그렸다는 얘기는 똑같이 나오지만, 구체적인 방법은 완전히 다른데, 여기서는 38년 전인 1907년부터 복수를 계획했다고 나오며 위에 나오는 기법같은 것에 대한 언급은 전혀 없이 한 작품당 5년의 시간을 들여서 6점의 위작을 만들었다고만 나온다. 그리고 이후 이 작품들이 모두 위작이라는 것을 밝히면서 브레디위스를 나락으로 떨어트린 후에 본인도 위작을 만든 죄로 1년형을 선고받았지만 괴링에게 위작을 팔고 받은 돈으로 보석을 신청하면서 위기를 빠져나가려고 한다. 하지만 그 돈이 모두 위조지폐라는 것이 밝혀지고, 그 충격으로 인해 심장마비로 사망했다는 것이 이야기의 끝. 여기서는 한스라는 이름으로 나온다. 얼핏 보기에는 비슷한 이름 같으나 실제 두 이름은 기원이 전혀 다르므로 완벽한 오류.
그리고 링크된 영상도 오류가 있는데 브레디위스 박사가 한 판메이헤런의 위작을 진품으로 감정한 것은 맞으나, 1946년 6월 위작이라는 감정 결과가 나오면서 브레디위스 박사의 명성은 땅으로 떨어졌고, 평단을 떠나야 했다고 나오는 언급은 거짓이다. 실제 브레디위스 박사는 감정결과가 나오기 전인 1946년 3월 세상을 떠났다. 게다가 한 판메이헤런의 위작을 진품으로 감정한 게 브레디위스만 해당되었던 것도 아니고, 지금도 네덜란드에는 그의 이름을 딴 박물관이 남아있을 정도라서 그냥 흑역사 정도라면 몰라도 평론가로써의 삶이 끝났다는 식의 표현은 명백히 과장이다.
5. 기타
그의 재판과정을 영화화한 2020년작 '라스트 베르메르'라는 영화가 있는데, 가이 피어스가 메이헤런을 맡았다. 영화의 평 자체는 괜찮은 편.. 다만 영화적 각색으로 메이헤런이 법정에서 그림을 그리지 않고 이미 그려진 위작에 자신의 이니셜을 새겨넣었다는 사실이 증명됨으로써 위작임이 증명된다.[1] 유명한 작품으로 '진주 귀고리를 한 소녀'가 있다.[2] 암스테르담 방언에 가깝다. 네덜란드어 외래어 표기법은 이례적으로 사전 발음이 아닌 현지 발음을 기반으로 했다.[3] 이 점에 대해서는 반론도 존재하는데, 하버드 출신 예술 역사학자 조너선 로페즈(Jonathan Lopez)는, 2008년에 출판한 책을 통해 판메이헤런이 술, 담배, 모르핀에 동시에 중독되어 있었던 마약 중독자였다는 사실과 판메이헤런이 쓰고 친필 헌사까지 곁들인 책이 아돌프 히틀러의 서고에 꽂혀 있었다는 점을 들어 판메이헤런은 단순히 금전 목적으로 위작을 그려 판 것이라는 주장을 했다. 결국엔 당시 콧대 높았던 평론가들에게 망신을 주긴했다.[4] 판메이헤런은 성경에 나오는 예수의 일화를 위작 소재로 많이 썼다. 판메이헤런의 위작에서 저런 모습의 예수는 지겹도록 볼 수 있다. 대조적으로 페르메이르가 예수를 소재로 그린 작품은 별로 없는데, 그 그림에서의 예수는 판메이헤런의 위작에서 그린 예수와 많이 다르다.[5] 이를 두고 앗! 시리즈의 '미술이 수리수리'라는 책에서는 "가짜 그림을 팔고 받은 가짜 돈을 가짜 은행에 가짜 저금을 하면 되겠다"라는 드립을 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