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4-29 21:26:39

바티칸-베트남 관계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아시아·유럽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파일:대만 국기.svg
대만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파일:베트남 국기.svg
베트남
파일:팔레스타인 국기.svg
팔레스타인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아시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파일:대만 국기.svg
대만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파일:태국 국기.svg
태국
파일:캄보디아 국기.svg
캄보디아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인도네시아
파일:필리핀 국기.svg
필리핀
유럽 · 아메리카 · 오세아니아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파일:폴란드 국기.svg
폴란드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파일:바티칸 국기.svg
바티칸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과거의 대외관계
파일:베트남 국기.svg 파일:베트남 공화국 국기.svg
북베트남-남베트남 관계
}}}}}}}}} ||
파일:바티칸 국기.svg 파일:베트남 국기.svg
바티칸 베트남
1. 개요2. 역사적 관계
2.1. 20세기2.2. 21세기
2.2.1. 2010년대2.2.2. 2020년대
3. 관련 문서

1. 개요

바티칸베트남의 관계에 대한 문서다. 바티칸과 베트남은 베트남 전쟁 이후, 외교관계가 단절됐다.# 하지만 21세기 이후에는 관계가 개선되고 있다.

베트남내 가톨릭 신자는 600만명이다.#

2. 역사적 관계

2.1. 20세기

베트남은 베트남 전쟁 이후, 가톨릭 신자들을 탄압하면서 바티칸과 갈등이 존재했다. 다만 이것은 베트남의 입장도 들어봐야 하는 것이 베트남은 프랑스의 식민지 시절 가톨릭을 믿는 베트남인들이 프랑스의 앞잡이 노릇을 하고 자국민들을 탄압한 전적이 있어 당시 남베트남, 북베트남 두 세력 전부 가톨릭에 대한 반감은 엄청났다.

린든 존슨 전 미국 대통령이 베트남 전쟁을 중지시키기 위해 바티칸에 전쟁 종식 지원을 요청한 적이 있었다.#

2.2. 21세기

바티칸과 베트남의 갈등은 2000년대 이후로 개선되고 있다. 베트남 정부가 종교의 자유를 허용하면서 바티칸과의 관계도 개선중이다.

2002년 9월 18일에 교황청은 베트남 출신의 추기경 프랑소아 사비에르 응우옌 반 투안이 사망했다고 밝혔다.#

2005년 4월 1일에 요한 바오로 2세의 선종 임박설이 퍼지면서 하노이 교구의 조셉 은고 쾅 기에트 대주교는 교황을 위해 기도하라고 요청했다고 밝혔다.# 요한 바오로 2세가 선종한 뒤, 4월 20일에 베네딕토 16세가 새 교황에 취임하자 베트남 정부가 공식 축하했다.# 11월 20일에 베트남과 바티칸이 화해 움직임을 보이기 시작했다.#

2007년 1월 25일에 바티칸과 베트남을 수교를 위한 중요한 계기를 선언했다.# 2월 1일에 베트남 정부가 종교백서를 발표해 바티칸과의 수교를 하기로 바티칸과 합의했다.#

2008년 1월 29일에 베트남의 가톨릭 신도들은 1954년까지 바티칸 대사관이 있었던 1헥타르에 달하는 부지에 설치된 철문을 제거하고 건물 입구에 큰 십자가를 세우고 텐트까지 치는 등 몰수된 토지 반환 시위를 진행했다.# 하지만 베트남 정부가 반환을 거부하자 가톨릭 신도들이 반발해 시위를 진행했다.#

2009년 2월 13일에 바티칸과 베트남은 수교를 위한 문제를 논의한다고 밝혔다.# 2월 22일에 바티칸 라디오는 팜 딘 퉁 추기경이 하노이에서 선종했다고 보도했다.# 12월 14일에 베트남은 바티칸과의 관계개선을 밝혔다.#

2.2.1. 2010년대

2010년 6월 26일에 교황 베네딕토 16세는 교황청과 베트남의 관계개선을 위한 첫번째 조치로 교황청의 베트남 대표를 임명할 것이라고 밝혔다.#

2013년 1월 24일에 베네딕토 16세가 베트남 공산당 총서기와 만났다.# 팜 민 반 추기경이 교황청의 콘클라베에 참가했다.#

2014년 9월 11일에 바티칸은 베트남과 재수교를 희망한다고 밝혔다.#

2016년 11월 23일에 프란치스코 교황과 쯔언떤상 주석이 만났다.#

2.2.2. 2020년대

2022년 4월 23일에 양국은 외교관계 증진을 위해 노력하기로 합의했다.#

2023년 12월. 프란치스코 교황은 마렉 잘레프스키 대주교를 베트남 상주 교황사절로 임명했다.#

2024년 1월. 바티칸에서 베트남 공산당 대표단을 비공개로 접견했다.#

3.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