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19 10:55:43

미야기현 제5구

미야기 5구에서 넘어옴
도호쿠 지방 국회의원
아오모리현, 이와테현, 미야기현, 아키타현, 야마가타현, 후쿠시마현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참의원 의원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아오모리현 선거구 이와테현 선거구 미야기현 선거구
2025년 개선
다키사와 모토메 요코사와 다카노리 이시가키 노리코
2028년 개선
다나부 마사요 기도구치 에이지 사쿠라이 미쓰루
아키타현 선거구 야마가타현 선거구 후쿠시마현 선거구
2025년 개선
테라다 시즈카 하가 미치야 모리 마사코
2028년 개선
이시이 히로오 후나야마 야스에 호시 호쿠토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중의원 의원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아오모리 1구 아오모리 2구 아오모리 3구 이와테 1구 이와테 2구
쓰시마 준 간다 준이치 오카다 하나코 시나 다케시 스즈키 슌이치
이와테 3구 미야기 1구 미야기 2구 미야기 3구 미야기 4구
오자와 이치로 오카모토 아키코 가마타 사유리 야나기사와 쓰요시 아즈미 준
미야기 5구 아키타 1구 아키타 2구 아키타 3구 야마가타 1구
오노데라 이쓰노리 도가시 히로유키 미도리카와 다카시 무라오카 도시히데 엔도 도시아키
야마가타 2구 야마가타 3구 후쿠시마 1구 후쿠시마 2구 후쿠시마 3구
스즈키 노리카즈 가토 아유코 가네코 에미 겐바 고이치로 오구마 신지
후쿠시마 4구
사카모토 류타로
비례 1 비례 2 비례 3 비례 4 비례 5
에토 아키노리 바바 유키 모리시타 치사토 데라다 마나부 기쿠치 다이지로
비례 6 비례 7 비례 8 비례 9 비례 10
후쿠하라 준지 쇼지 겐이치 마스타 세키오 미노리카와 노부히데 사와라 와카코
비례 11 비례 12
사이토 유키 네모토 다쿠
일본공산당의 당색은 #db001c이나, 자민당과의 구별을 위해 #9f001c로 표기함. }}}}}}}}}
{{{#fff 홋카이도 · 도호쿠 · 기타칸토 · 미나미칸토 · 도쿄 · 호쿠리쿠신에쓰 · 도카이 · 긴키 · 주고쿠 · 시코쿠 · 규슈-오키나와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선거구
{{{#!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tablebordercolor=#112FA7><tablebgcolor=#112FA7>
파일:일본국 내각총리대신 심볼.svg
미야기현 제5구
宮城県第5区
}}}
파일:미야기 신 선거구.png
<colbgcolor=#112FA7><colcolor=#ffffff> 선거인 수 344,329명 (2023)
상위 도도부현 미야기현
하위 행정구역
[ 펼치기 · 접기 ]
게센누마시, 토메시, 구리하라시,
오사키시, 카미군, 토오다군,
모토요시군
국회의원

오노데라 이쓰노리


[clearfix]

1. 개요

미야기현의 북부 지역 중 이와테현 인접 지역들[1]로 구성된 일본의 중의원 선거구다.

현재 지역구 국회의원은 방위대신을 역임한 자유민주당 정무조사회장 오노데라 이쓰노리.

2. 상세

===# 구 미야기 5구 (1996-2022) #===
49회 중원선까지를 기준으로 이 선거구의 정치 성향을 한마디로 요약하면, 미야기현에서 민주당 지지도가 가장 강한 선거구다. 이는 아즈미 준 의원 개인의 지지도 또한 강해서라고 볼 수도 있는데, 민주당이 참패했던 제44회, 46회, 47회 중의원 선거때도 다른 의원들은 줄줄이 낙선하고 있는 와중에 아즈미 준 의원 혼자서 무려 과반 이상의 득표율을 기록하며 자민당 후보를 30% 차이로 누르고 당선되었다. 또한 이 당시 미야기현의 6개 선거구들 중 민주당 소속으로 지역구에서 당선된 사람이 이 지역구에서 당선된 아즈미 의원밖에 없었다. 때문에 근처에 있는 이와테현 제1구, 이와테현 제3구 등과 같이 ‘민주왕국’이라고 불리는 선거구다. 바로 옆 지역구가 반대로 자민당 의원의 강력한 지지기반인 것과는 대조적이다. 2017년 48회 중원선에서는 아즈미 준 의원이 아예 무소속으로 출마해 63.9%를 기록하며 당선되었는데, 이때는 상대 자민당 후보가 석패율 제도를 통한 구제도 받지 못해 낙선해버렸다.

민주당계 정당의 흥망성쇠와 상관 없이 시간이 지날수록 아즈미 의원의 지지율이 더욱 오르는 지역구로, 아즈미 준 의원의 지역구 내 신임이 두텁다고 볼 수 있다. 실제로 아즈미 의원은 자민당 소속 지방의원과도 좋은 관계를 유지하는 등 지역 맹주로서의 면모를 강하게 하고 있으며 역대 그와 대립해온 후보는 이시노마키시에 사무실도 두지 못할 정도였다고 한다. 다만 가장 최근에 치러진 49회 중원선에서는 격차가 상당히 줄어들었다.

1996년 중의원에 소선거구제가 도입된 이래 단 한 번도 자유민주당 후보가 소선거구에서 당선된 적이 없는 선거구이다.[2]

2.1. 신 미야기 5구 (2022-현재)

2022년 공직선거법 개정에 따른 미야기현의 중의원 선거구 감소로 인해, 선거구의 중심 지역이었던 이시노마키시 등이 4구로 넘어가고 폐지된 6구의 게센누마시 등이 5구로 조정되는 등 관할구역이 전체적으로 변경되었다.

기존 6구는 현직 의원인 자민당 오노데라 이쓰노리의 세가 막강한 지역구이기 때문에, 기존 6구의 강력한 자민당 지지세는 신 5구로 이어질것으로 보인다.

3. 역대 국회의원

파일:일본국 정부기.svg 미야기현 제5구 역대 국회의원
선거 연도 의원명 소속정당
제41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1996년 아즈미 준
제42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2000년
제43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2003년
제44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2005년
제45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2009년
제46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2012년
제47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2014년
제48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2017년

[[무소속(정치)|
무소속
]][3]
제49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2021년
제50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2024년 오노데라 이쓰노리

4. 역대 선거 결과

4.1. 제41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rowcolor=#000> 미야기현 제5구
이시노마키시, 토다군, 모노우군, 오시카군
<rowcolor=#373a3c,#dddddd> 후보 득표수 비고
<rowcolor=#373a3c,#dddddd> 정당 득표율 당락
파일:민주당(일본 1996년) 로고.svg 아즈미 준 54,550표 1위

40.09% 당선
파일:신진당 로고 white.svg 도이 기미오 50,139표 2위

36.85% 낙선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 후타미 쓰요시 16,407표 3위


12.06% 낙선
파일:사민당 로고 하얀색.svg 스다 요시타카 8,122표 4위


5.97% 낙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 나이토 다카지 6,854표 5위
5.04% 낙선
<rowcolor=#373a3c,#dddddd> 유효표 수 136,072표 투표율
<rowcolor=#373a3c,#dddddd> 선거인 수

첫 선거부터 자민당 부진의 조짐이 보였다. NHK 기자 출신인 민주당 아즈미 준 후보가 처음으로 당선되었고, 신진당 도이 기미오 후보가 근소한 표차로 패배했다. 자민당 후보는 겨우 12.06%를 득표하며 1위와 2위보다 한참 처진 3위에 그쳤다.

4.2. 제42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rowcolor=#000> 미야기현 제5구
이시노마키시, 토다군, 모노우군, 오시카군
<rowcolor=#373a3c,#dddddd> 후보 득표수 비고
<rowcolor=#373a3c,#dddddd> 정당 득표율 당락
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 아즈미 준 69,459표 1위

47.23% 당선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 도이 기미오 68,237표 2위


46.40% 낙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 하라 노부오 9,355표 3위
6.36% 낙선
<rowcolor=#373a3c,#dddddd> 유효표 수 147,051표 투표율
<rowcolor=#373a3c,#dddddd> 선거인 수

현역 의원인 민주당 아즈미 준 후보와 자민당 도이 기미오 후보가 다시 대결한다. 도이 후보는 신진당이 해체되자 여당인 자민당으로 넘어왔다.

지난 선거보다도 더 박빙이었지만, 민주당 아즈마 후보가 1,222표(0.83%) 차이로 지역구를 수성한다. 자민당 도이 후보는 1%도 안되는 득표율차로 접전패했음에도, 자민당이 소선거구에도 출마하지 않은 인물들로 비례명부 앞번호들을 채우는 바람에 석패율제를 통해 비례대표로 부활하지 못하고 낙선한다.

이후 도이 기미오는 2003년부터 2009년까지 이시노마키시 시장으로 재직한 뒤, 2011년 3월 11일 동일본 대지진으로 인해 사망한다.

4.3. 제43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rowcolor=#000> 미야기현 제5구
이시노마키시, 토다군, 모노우군, 오시카군
<rowcolor=#373a3c,#dddddd> 후보 득표수 비고
<rowcolor=#373a3c,#dddddd> 정당 득표율 당락
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 아즈미 준 73,135표 1위

50.75% 당선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 사이토 마사미 64,122표 2위


44.50% 낙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 다카노 히로시 6,853표 3위
4.76% 낙선
<rowcolor=#373a3c,#dddddd> 유효표 수 144,110표 투표율
63.00%
<rowcolor=#373a3c,#dddddd> 선거인 수 232,148인

4.4. 제44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rowcolor=#000> 미야기현 제5구
이시노마키시, 토다군, 모노우군, 오시카군
<rowcolor=#373a3c,#dddddd> 후보 득표수 비고
<rowcolor=#373a3c,#dddddd> 정당 득표율 당락
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 아즈미 준 78,205표 1위

50.66% 당선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 사이토 마사미 68,485표 2위


44.36% 낙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 다카노 히로시 7,691표 3위
4.98% 낙선
<rowcolor=#373a3c,#dddddd> 유효표 수 154,381표 투표율
67.57%
<rowcolor=#373a3c,#dddddd> 선거인 수 230,833인

4.5. 제45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rowcolor=#000> 미야기현 제5구
이시노마키시, 토다군, 모노우군, 오시카군
<rowcolor=#373a3c,#dddddd> 후보 득표수 비고
<rowcolor=#373a3c,#dddddd> 정당 득표율 당락
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 아즈미 준 89,484표 1위

58.57% 당선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 사이토 마사미 63,303표 2위


41.43% 낙선
<rowcolor=#373a3c,#dddddd> 유효표 수 152,787표 투표율
68.48%
<rowcolor=#373a3c,#dddddd> 선거인 수 226,277인

낙선한 사이토 마사미는 낙선 후 2011년 미야기현 의회 의원 선거에 출마해 당선되었으며, 2019년 이시노마키시장 선거에선 자신과 대립한 아즈미 준의 지원을 받아 시장에 당선되었다.

4.6. 제46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rowcolor=#000> 미야기현 제5구
이시노마키시, 토다군, 모노우군, 오시카군
<rowcolor=#373a3c,#dddddd> 후보 득표수 비고
<rowcolor=#373a3c,#dddddd> 정당 득표율 당락
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 아즈미 준 62,928표 1위

57.86% 당선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 오쿠보 미요 30,138표 2위


[공]
27.71% 비례당선
파일:일본 미래당 로고.png 아베 노부코 8,029표 3위

7.38% 낙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 와타나베 마사아키 6,046표 4위
5.56% 낙선
슈토 히로토시 1,621표 5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1.49% 낙선
<rowcolor=#373a3c,#dddddd> 유효표 수 108,762표 투표율
52.86%
<rowcolor=#373a3c,#dddddd> 선거인 수 211,113인

이 선거에서 낙선한 슈토 히로토시 후보는 2013년 이시노마키시 의회 의원 보궐 선거에 입후보해 당선되었다.

4.7. 제47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rowcolor=#000> 미야기현 제5구
이시노마키시, 히가시마츠시마시, 오사키시 일부,
토다군, 오시카군
<rowcolor=#373a3c,#dddddd> 후보 득표수 비고
<rowcolor=#373a3c,#dddddd> 정당 득표율 당락
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 아즈미 준 64,753표 1위

59.51% 당선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 가쓰누마 시게아키 34,293표 2위


[공]
31.52% 비례당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 다카무라 나오야 9,763표 3위
8.97% 낙선
<rowcolor=#373a3c,#dddddd> 유효표 수 108,809표 투표율
48.15%
<rowcolor=#373a3c,#dddddd> 선거인 수 231,081인

4.8. 제48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rowcolor=#000> 미야기현 제5구
이시노마키시, 히가시마츠시마시, 오사키시 일부,
미야기군 일부, 쿠로카와군 일부, 토다군,
오시카군, 모토요시군
<rowcolor=#373a3c,#dddddd> 후보 득표수 비고
<rowcolor=#373a3c,#dddddd> 정당 득표율 당락
아즈미 준 89,423표 1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63.91% 당선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 가쓰누마 시게아키 50,496표 2위


[6]
36.09% 낙선
<rowcolor=#373a3c,#dddddd> 유효표 수 139,919표 투표율
54.01%
<rowcolor=#373a3c,#dddddd> 선거인 수 263,675인

민진당 출신인 현역 아즈미 준 의원이 이번에는 무소속으로 출마해 60% 이상의 득표율로 여유있게 당선되었다. 한편 자민당 가쓰누마 의원은 이번엔 워낙 큰 차이로 패배해 석패율제로도 구제되지 못해 낙선했다.
당선 후 연설하는 아즈미 준

4.9. 제49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rowcolor=#000> 미야기현 제5구
이시노마키시, 히가시마츠시마시, 오사키시 일부,
미야기군 일부, 쿠로카와군 일부, 토다군,
오시카군, 모토요시군
<rowcolor=#373a3c,#dddddd> 후보 득표수 비고
<rowcolor=#373a3c,#dddddd> 정당 득표율 당락
파일:입헌민주당(2020년) 로고 하얀색 CDP 포함.svg 아즈미 준 81,033표 1위

56.89% 당선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 모리시타 치사토 61,410표 2위


[공]
43.11% 낙선
<rowcolor=#373a3c,#dddddd> 유효표 수 142,443표 투표율
57.34%
<rowcolor=#373a3c,#dddddd> 선거인 수 252,373인
국회의원 선거 (미야기 5구)
<colbgcolor=#eee,#353535> 정당 파일:입헌민주당(2020년) 로고 하얀색 CDP 포함.svg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 격차
(1위/2위)
투표율
(선거인/표수)
후보 아즈미 준 모리시타 치사토
득표수
(득표율)
81,033
(56.89%)
61,410
(43.11%)
+19,623
(△13.78)
252,373
(57.34%)
이시노마키시 56.18% 43.82% △12.37 54.97
히가시마츠시마시 55.12% 44.88% △10.25 57.50
오사키시 5구 58.91% 41.09% △17.82 58.50
미야기군 5구 57.12% 42.88% △14.24 63.33
쿠로카와군 5구 55.08% 44.92% △10.17 58.64
토다군 62.00% 38.00% △24.00 60.22
오시카군 51.98% 48.02% △3.97 63.65
모토요시군 50.98% 49.02% △1.96 60.39
당선 후 연설하는 아즈미 준

현역 입헌민주당 아즈미 준 의원이 재출마한다.

워낙 아즈미 준의 기반이 탄탄한 지역이라 자민당에서 후보 선정에 어려움을 겪었다. 지난 중의원 선거에서 낙선한 가쓰누마 시게아키 전 의원은 이시노마키시 시장선거 출마를 위해 지역구 지부장에서 사퇴했고, 이후 시장 선거에서도 낙선했다.

이후 자민당은 2021년 3월에 그라비아 모델 출신인 모리시타 치사토를 차기 선거 후보로 공천했다. 당선 가능성은 낮지만 전국 뉴스에서도 보도되는등 어느정도 화제가 되었다. 자민당과 입헌민주당 이외의 정당이나 무소속 후보가 출마하지 않아, 입헌민주당 아즈미 후보와 자민당 모리시타 후보의 1대1 승부가 펼쳐진다.

선거 결과 아즈미 준 후보가 56.9%를 득표, 당선되었다. 그러나 모리시타 치사토 후보는 기반, 지역 인지도도 없는 상태에서 43.1%를 얻으며 비례부활 당선권에 한끝 모자라는 패배를 했고, 상당히 선전하였다는 평가를 받았다. 아즈미 후보의 득표율이 7%나 줄어든 것으로 보아, 이곳도 당락이 뒤바뀌지는 않았지만 그래도 일본 전역에서 분 다선 중진에 대한 심판 여론이 어느정도 퍼졌다.

4.10. 제50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rowcolor=#000> 미야기현 제5구
게센누마시, 토메시, 쿠리하라시,
<rowcolor=#373a3c,#dddddd> 후보 득표수 비고
<rowcolor=#373a3c,#dddddd> 정당 득표율 당락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 오노데라 이쓰노리
(小野寺五典)
132,361표 1위


[공]
74.66% 당선
파일:일본유신회 로고만.svg 사카이 츠네하루
(境恒春)
26,502표 2위


14.95% 낙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 나카지마 렌
(中嶋廉)
18,413표 3위


10.39% 낙선
<rowcolor=#373a3c,#dddddd> 유효표 수 177,276표 투표율
53.68%
<rowcolor=#373a3c,#dddddd> 선거인 수 337,529인
국회의원 선거 (미야기 5구)
<colbgcolor=#eee,#353535> 정당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 파일:일본유신회 로고만.svg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 격차
(1위/2위)
투표율
(선거인/표수)
후보 오노데라 이쓰노리 사카이 츠네하루 나카지마 렌
득표수
(득표율)
132,361
(74.66%)
26,502
(14.95%)
18,413
(10.39%)
+105,859
(△59.71)
337,529
(53.68%)
게센누마시 79.83% 13.70% 6.47% △66.12 58.71
토메시 77.62% 13.75% 8.63% △63.87 51.34
쿠리하라시 76.34% 13.36% 10.31% △62.98 58.17
오사키시 69.11% 17.36% 13.53% △51.76 49.80
카미군 76.86% 14.11% 9.03% △62.75 56.07
토오다군 69.56% 16.55% 13.89% △53.01 53.31
모토요시군 83.28% 11.93% 4.78% △71.35 55.36

2022년 공직선거법 개정안(일명 10증10감법)이 통과되면서 관할 구역이 대폭 조정되었다. 게센누마시, 토메시, 쿠리하라시, 오사키시, 카미군, 토오다군, 모토요시군을 관할하게 되었는데, 사실상 기존 6구 지역이 대부분인 수준이라 5구 현역인 아즈미 준 의원이 쭉 압도하던 민주왕국이던 이 선거구의 양상과 정반대로 오노데라 이쓰노리 의원이 계속 압도하는 보수왕국이 될 가능성이 높아졌다.

따라서 자민당에서는 기존 6구 현역인 오노데라 이쓰노리 의원이 9선에 도전한다. 입헌민주당 아즈미 준 의원은 대부분의 기존 5구 지역이 4구로 옮겨갔기에 4구에 출마하며, 새로운 5구에 출마할 입헌민주당이나 기타 야당의 지역구 지부장 및 후보는 결정되지 않았었다.

이후 입헌민주당을 이당한 사카이 츠네하루 전 미야기현 현의원이 유신회 소속으로 출마한다.

선거 결과 오노데라 이쓰노리의 압승으로 끝났다. 미야기현의 다른 지역구들이 입헌민주당에게 넘어갔지만 이 지역구 만큼은 사수하면서 체면치례를 했다.


[1] 원래는 인근에 있던 6구가 이와테현 인접 지역들을 관할하던 선거구였으나, 2022년 선거구 조정으로 미야기현 제6구가 폐지되면서 해당 지역들이 미야기현 제5구의 관할 구역이 되었다.[2] 이렇게 소위 민주왕국으로 불리는 선거구에는 이외에도 이와테현 제1구, 가나가와현 제8구, 아이치현 제2구, 그리고 미에현 제3구가 있다.[3] 당적을 가진 채 무소속 출마, 당선 후 입당.[공] 추천[공] 추천[6] , 추천[공] 추천[공] 추천